방하착(放下着)

“趙州因嚴陽尊者問 一物不將來時如何 師云放下着 嚴云 一物不將來 放下箇甚麽

師云 伊麽則擔取去 尊者大悟”

옛날 중국의 엄양존자(嚴陽尊者)라 불리우는 스님이 하루는 조주(趙州)스님(779-897)에게 물었습니다.

“모든 것을 버리고 한 물건도 가져오지 않을 때는 어찌해야 합니까?”

조주스님이 대답하기를 “내려놓아라(放下着).”

이 말씀을 들은 엄양존자는 도대체 무엇을 내려놓아야 하는 것인지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다시 물었습니다.

“한 물건도 가지고 오지 않았는데 무엇을 내려놓으라는 말입니까?”

그러자 조주스님은 “그렇다면 짊어지고 가게”하고 대답했습니다.

이에 엄양존자는 크게 깨쳤습니다.

위의 일화는 ‘방하착(放下着)’이라는 화두로 우리들에게 잘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방하착이란 ‘내려놓아라’는 뜻으로 여기서 ‘착(着)’은 ‘방하(放下)’를 강조하기 위한 어조사(語助辭)로 특별한 의미는 없습니다. 원래 ‘방하착’이라는 용어는 『오등회원 (五燈會元)』<세존장(世尊章>에서 나오는 말로써 흑씨범지(黑氏范志)가 오동꽃을 받들어 세존께 공양하자 부처님께서 흑씨범지를 불러 ‘방하착하라’고 말씀하셨다는 일화에서 유래합니다.

즉 부처님께서 흑씨범지에게 꽃을 공양했다는 집착된 마음마저 내려놓으라는 뜻으로 말씀하셨을 것입니다. 여기 공안에서 조주스님께서 ‘방하착하라’고 하신 의미는 모순적 취사선택의 상황에서 어느 한 쪽을 선택하거나 양쪽 모두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양쪽 모두를 놓아버리고 분별적 사고에서 벗어나라는 말씀이십니다. 더 나아간다면 ‘놓아버린다’는 것도 또한 분별이므로 무분별의 분별마저도 놓아버리는 것으로 마치 서양논리학에서 말하는 모순율을 극복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계를 뛰어 넘어야 만이 선에서 말하는 절대적 선의 경지에 들 수가 있는 것입니다. 이 공안은 『선문염송』 435칙, 『종용록』 57칙과, 『조주록』 등에서 찾아 볼 수가 있습니다.

인해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10월 제58호

밤은 깊고 산은 비어

夜靜山空萬籟沈 밤은 깊고 산은 비어 만상이 잠겼는데

寂寞燈下費孤吟 적막한 등불 아래 홀로되어 읊조리니

庭前唯有靑松韻 뜰 앞에 소나무가 우우우 소리 내어

添却騷人一段心 오히려 내 마음을 달래 주누나.

고요한 적막 속에 산속의 밤은 깊어졌다. 만상이 잠들어 있을 때 희미한 등불 아래 이 세상에 가장 외로운 사람 하나 있어 홀로 밤을 샌다. 그는 만상이 잠들어 있을 때 깨어 있기를 좋아 했다. 마치 야신(夜神)이 초대한 손님처럼 밤을 지키는 나그네가 되었다. 오늘 밤 따라 온갖 심회가 서린다. 산당에 앉아 있는 자신이 하나의 정물(靜物)처럼 느껴진다. 물아일여(物我一如) 속에서도 물아의 대화가 일어난다. 우우우 소나무 가지 사이로 송뢰가 일고 그것이 잠 못 드는 사람의 심중을 알고 어떤 화답을 보내는 것 같기만 하다.

하나의 정물이 되어 밤의 산을 지키면 어둠 속에 살아나는 침묵의 언어들이 있다. 산의 숨소리가 들리는 것 같기도 하고 우주의 숨소리가 들리는 것 같기도 하다. 시원(始原)으 알 수 없는 태고의 원음 같은 것이 들려오기도 한다. 물론 이것은 바로 자기 마음속에서 들려오는 영혼의 모음일 수도 있다. 산이 깊으면 밤이 더 깊고, 밤이 깊으면 사람의 마음도 더 깊어진다. 바다의 밤과 사막의 밤이 산속의 밤을 따르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설암추붕(雪巖秋鵬)이 남긴 설암잡저(雪巖雜著)에 수록되어 있는 이 시는 원제목이 야중즉사(夜中卽事)라 되어 있다. 한 밤중에 일어난 일이란 뜻으로 다분히 즉흥적으로 읊은 시상이 전개되고 있는 시이다. 선시에 보면 밤을 배경으로 지은 시들이 꽤 많다. 밤이 그만큼 시를 짓는 적시가 되는 것은 밤의 고요함과 작자의 고독이 잘 조화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마치 세인들이 밤에 잠을 못 이루며 그리워하는 것이 있듯이 수도자들도 자기 내면을 깊이 응시하는 것은 아무래도 밤의 고요할 때가 더 좋기 때문이 아닐까?

요산 지안 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8년 8월 제93호

수령(守令)의 칠사(七事)

세월이란 기다리는 자에겐 한없이 더디고 무심한 사람에겐 참으로 빠른 것 같다. 벌써 세간엔 1년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에 관한 이야기가 언론을 필두로 서서히 열기를 더해간다.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지난 선거 때 제시한 공약을 점검하는 매니패스트 활동을 소개하여 그간의 업적을 평가하는가 하면 자천타천의 인물들이 거명되기도 한다. 언제부터인지 한국인들의 정치에 관한 관심은 부와 명예와 권력을 얻는 첩경으로 인식되어 너도나도 정치에 꿈을 꾸는 것 같다. 위로는 북악 밑의 푸른집에서부터 여의도 주변을 맴도는 사람이 줄잡아 수만 명은 족히 될 테고, 지방에서도 내년 6월 초엔 광역시ㆍ도지사, 광역의원, 교육감, 교육위원, 시장, 시의원, 군수, 군의원의 8가지 선거가 동시에 이루어지니 이들 자리에 목을 매는 사람 또한 얼마나 많겠는가.

다들 나름대로 자질을 갖추고 일전불사의 준비에 여념이 없을 것이다. 그런데 정작 이들이 원하는 자리에서 무엇을 하고 어떻게 해야 할 지를 제대로 알고 덤비기나 하는지 걱정이다. 눈앞의 부(富)와 권력과 명예에만 눈이 어두워 정작 목민관의 사명이나 정치의 요체를 알고나 있는지 말이다.

조선시대 지방 수령(守令 ; 관찰사, 목사, 부사, 군수)은 임지로 떠날 때 임금 앞에서 교지를 받고 지방행정의 요체인 ‘수령 칠사(守令 七事)’를 외었다고 한다. 그 첫째가 농잠의 흥성이요〔農桑盛〕, 둘째가 호구의 증가요〔戶口增〕, 셋째가 학교의 발달이며〔學校興〕, 넷째가 군정의 정돈이요〔軍政修〕, 다섯째가 부역의 균등이고〔賦役均〕, 여섯째가 송사의 간략함이며〔詞訟簡〕, 마지막이 간활의 멈춤〔奸猾息〕이라고 하였다

현대사회라고 크게 달라진 것은 없는 것 같다. 누가 뭐래도 지역경제를 살리는 것이 으뜸이요, 인구가 늘어나야 한다. 산업이 발달하고 생활환경이 좋아지면 자연히 인구가 유입될 것이기 때문이다. 거짓으로 위장전입을 하여 인구를 늘리고 지방교부금을 많이 받아내려 노력하지 않아도 될 테니까. 물론 교육여건도 좋아야 한다. 좋은 학군의 집 값이 올라가는 이유가 어디 있는가.

다산(茶山) 정약용이 쓴 「목민심서」의 72개조를 굳이 열거하지 않더라도 정치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더 나아가 백성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자 하는 사람들은 자기의 재산과 생명을 내놓을 각오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작금의 지방자치단체들은 하나같이 경제를 살린답시고 이벤트성 행사에 열을 올리고 있다. 모두를 싸잡아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무슨 ‘엑스포’ , ‘국제 ооо’. ‘оо축제’, ‘세계 оо대회’ 등 고을마다 행사에 목민관들은 목을 맨다. 유권자가 모이는 곳에는 목민관과 정치지망생이 모여들기 마련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행사들이 그 지역 공무원들이나 관변단체 등 그 분야에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을 가진 사람들에 의한 기획과 집행이 아니라는데 실패의 위험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럴듯하게 계획서를 만들고 용역비를 들여 성공 가능성을 제시하고는 국비나 도비, 지방비 – 사실은 국민의 혈세 -를 끌어들여 잔치를 하고 몇몇 인사들이 생색을 내는 것으로 행사는 끝이 난다. 제대로 된 평가회를 거쳐 진정 지역경제를 위하고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는지는 뒷전이다.

일찍이 부처님께서는 「우바새경」에서 “지혜로운 사람이 모든 것을 보시하는 것은 즐거움을 받기 위함도 착한 명성의 유포를 위함도 아니며, 삼악도의 괴로움을 두려워함도 아니다. 지혜로운 사람의 보시는 연민(憐愍) 때문이며, 남을 안락(安樂)하게 해 주고자 하기 때문”이라고 설하셨다. 모름지기 정치를 하고 목민관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참된 ‘보시’의 공덕을 쌓는 자세로 임해야 할 것이다.

김형춘 교수님 글. 월간 반야 2009년 8월 10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