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하지 않는 죄

“징기스칸, 만약 그에게 열정이 없었다면 그는 한낱 양치기 목동에 불과했을 것이다”

연노랑연둣빛으로 싱그러운 새싹을 틔우는 어느 봄날, 호남선 열차 차창 너머 부드러운 풍경에 무심의 평온을 마음껏 누리고 있던 나는, 어느 증권회사의 텔레비전 광고 한 줄에 모골이 오싹해졌다. 이토록 엄청난 선언이 젊은이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로 전해지고 있다는 사실이 당혹스러웠다. 주변을 둘러보니 승객들의 표정은 아무렇지도 않았다. 무관심일까? 아니면 무언의 공감과 동의일까? 나는 목적지에 이르는 내내 오늘날까지 인류역사가 예찬하고 있는 징기스칸, 혹은 나폴레옹의 그 ‘열정’과 대다수 사람들이 그저 쉽게 동의하는 ‘한낱 양치기 목동’이라는 말에 대해 거듭거듭 사유했다.

그리고 이후 법회와 강의장에서, 사적인 모임에서 이 광고의 구절을 말하며 소감과 판단을 구해보았다. 대체로 다수의 사람들은 내 질문의 의도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침묵했다. 몇 사람은 옳은 말이라고 했다. “나는 그 광고의 한 구절을 동의하지 못합니다. 나는 그 한 구절의 사고를 반성하고 수정하지 않는다면, 인류의 역사는 과거의 오류를 이어 미래에도 불행해질 수밖에 없는 악순환을 면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나의 강한 문제제기에 비로소 몇 사람이 한참을 생각하고서 말했다.

“아하! 그렇군요. 그 열정이란 정복과 천하통일이라는 명분 아래 전쟁과 살상의 ‘욕망’일 수 있겠군요. 그리고 양치기 목동에게 ‘한낱’이라고 말하는 것은 결코 옳지가 않군요. 노동과 노동하는 사람을 아무렇지도 않게 폄하하고 있군요.”

이후, 생각해 보았다. 거의 유전자와도 같은 이러한 집단인식의 전이에 대해. 그리고 얻은 결론은? ‘사람들은 그리 깊게 생각하며 살지 않는다’는 것이다. 당장의 어떤 사안에 대해 분석하고 비교하며 손익을 ‘계산’하고, 자신의 이해관계와 감정에 따라 불신하고 ‘의심’은 할지언정, 결코 근본의 이치를 헤아리고 삶의 방향을 세우는 ‘사유’는 하지 않고 사는 것 같다.

즉, 정보의 분석은 있을지언정 존재의 진실과 사람의 바른 도리에 대해서는 그리 생각하고 살지 않는 것 같다. 사유! 모든 종교를 통틀어 불교만큼 사유를 으뜸가는 실천덕목으로 강조하는 곳도 없을 것이다. 부처님은 제자들에게 늘 많이 듣고(聞), 그에 대해 깊이 의미를 헤아려 보고(思), 그것이 진리에 합당하다고 확신이 들면 실천하라(修)고 가르치셨다.

또한 열반에 이르는 성스러운 여덟 가지 실천수행에서는 바른 안목(正見)과 바른 사유(正思維)와 바른 통찰(正念)을 말씀하셨다. 당시 제자들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서 나무 밑에서, 혹은 탁발하는 여정에서, 거리에서 만나는 사람들 속에서 가르침의 의미를 깊이 사유하고 음미하며 진리 체험의 희열에 젖었으리라.

그렇다면, 왜 그토록 곳곳에서 사유의 힘을 역설했을까? 그것은 사유가 곧 진리를 증명하는 첫걸음이기 때문이 아닐까? 그리고 참된 이치에 호흡하여 살 때 우리 모두는 행복과 평화를 성취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그래서 부처님은 늘 제자들에게 거듭 사유하고 사유하여 가야할 길과 가지 말아야 할 길을 확립하라고 가르치셨다.

사유의 필요성에 대한 하나의 사례를 살펴보자. 부처님 당시 많은 종교와 사상가들이 백가쟁명하면서 저마다 자기들만이 최고가는 진리이고 고통에서 구제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사람들이 혼란스러웠다. 그래서 부처님께 찾아가서 여쭈었다.

“모두들 자기들만이 진리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면 대체 누가 옳고 누가 옳지 않습니까?”

이때 부처님은 누가 옳고 그르다고 답하지 않으셨다. 그리고 대략 다음과 같은 취지로 말씀하셨다. “

절대적 권위를 가진 명망 있는 사람이 말했다고 해서, 옛날부터 전승되어 왔다고 해서 진리라고 할 수 없다. 먼저 깊이 숙고하라. 그것이 이치에 맞는지를, 그리고 그들의 주장이 모든 사람들의 무지와 욕망을 제거하고 해탈 열반을 성취할 수 있는 것인지를, 그러면 나는 그것을 진리라고 승인한다. 설령 내가 말했다고 해서 진리라고 결정짓지 말라. 나의 말도 의심하고 헤아려보아라”

그렇다. 믿음 이전에, 실행 이전에 전제되는 것이 바로 사유이다. 그렇기에 이치에 합당하기에 믿고 성찰하는 것이며, 행복과 평화에 이르게 하기 때문에 실천하는 것이다. 사유의 힘이야말로 모든 삶의 방향과 몸짓의 근간이다. 그런데 믿음과 명상을 통하여 수행하는 신도들에게서 오히려 진정한 사유를 하지 않는, 혹은 왜곡된 사유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된다.

무사유와 왜곡된 판단이 비합리적이고 반생명적인 역사를 만들어낸다. 중세시대 면죄부 판매가 그렇고, 죄없는 여성을 무수히 화형으로 죽인 마녀사냥과 현대의 휴거 소동이 그렇다. 예수님이 최고의 선으로 전파한 가르침이 무엇인가? 모두를 평등하게 보듬는 사랑의 실천이 아닌가? 형제를 궁휼하게 여기는 나눔과 비움의 사랑을 실천할 때 천국의 문은 열린다고 하지 않는가? 지극한 상식으로 판단해 보아도 면죄부와 마녀사냥의 허구성은 명백하게 드러난다. 그런데도 왜 당시에 많은 사람들은 사견에 동의하고 광신적인 만행에 침묵했을까?

성직자와 신자들의 ‘개념없는’ 신앙 형태는 오늘의 문명시대에도 아무렇지도 않게 재현되고 있으며 또한 아무런 비판없이 수용되고 있다. 수만 명이 모인 집회에서 ‘사찰이 무너져라’고 기도하는 목회자들의 발언을 문제 삼지 않는다. 쓰나미와 지진대참사가 하나님을 믿지 않아서라고 일어난 재앙이라고 말해도, 그것은 ‘아니다’라고 말하지도 않고 분노하지도 않는다. 그 말은 듣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논술고사를 통과하여 대학교육도 받았을 것이고, 정보화사회에 매우 논리적이고 비판적 안목을 가지고 있을 터인데, 왜 어처구니없는 비상식에 정상적인 사고가 작동하지 않는 것일까? 참으로 난해한 현상이 아닌가 말이다.

명상도 자신과 사회에 대한 사유를 가로 막을 위험성이 많다. 당신은 고요한 곳에서, 세상의 번거로운 일 내려놓고서, 자신의 내면을 철저하게 응시하고 몰입하면서. 잡념과 욕망에서 벗어나 마음의 평안함과 무욕의 자족에 머물면서 미묘한 희열을 경험하게 된다. 명상수행은 매우 좋고 의미있는 일이다. 그러나 고요함과 편안함에 갇혀 자신과 이웃에 대한 관심을 외면하고 있지는 않는가.

혹은 그런 관심은 부질없고 세속적 망상이라고 판단하고 있지는 않는가? 나아가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세상 삶의 고통과 모순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통찰하는 일이 명상수행에 방해가 되고 분별심을 조장하는 장애물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가? 만약 그렇다면 부처님에게로 돌아가 생각해보라. 세간에 대한 분석과 통찰, 그리고 해결방법을 제시하고 실천한 부처님의 삶을 정밀하게 살펴보기를 바란다.

올바른 사유, 우리를 행복에 이르게 하는 사유를 위해서는 어찌 해야 하는가? 무엇보다도 헛된 욕망을 내려놓아야 한다. 욕망이 눈을 가리면 정직한 판단이 흐려지고 무지가 욕망을 충동질하여 또 다른 욕망을 낳게 만들기 때문이다. 다음은, 연민과 자애의 눈으로 세상을 정직하게 바라보라. 그 다음은 끊임없이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고, 많은 사람들의 말과 삶에 편견없이 귀기울이는 성찰을 해야 한다. 이미 그대들도 알고 있듯이,

“묻지 않으면 진리가 내게로 오지 않는다.”

법인 스님. 조계종 교육부장. 월간반야 2012년 7월 제140호

화의 예방

서울 가는 비행기 안에서 신문을 보다가 안타까운 기사 하나를 읽었다. 노부부가 말다툼을 하다 76세의 할머니가 83세의 할아버지를 각목으로 때려죽인 사건이었다.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할아버지가 치료를 거부하고 병원을 나와 버리자 ‘고집부리지 말고 제발 치료 좀 받으라’는 할머니의 말이 듣기 싫다고 역정을 내다가 할머니가 계속 치료 받기를 종용하자 화가 난 할아버지가 먼저 주먹으로 할머니를 때렸다. 이때 할머니는 자신이 살아온 생애를 돌아보며 이 나이 들도록 맞고 살아온 과거의 행적들이 떠올라 갑자기 치가 떨렸다. 방을 뛰쳐나간 할머니는 헛간에서 기다란 나무 막대기 하나를 들고 들어와 사정없이 할아버지를 마구 두들겨 패었다. 얼마 사이에 일어난 우발적인 일로 할아버지는 그만 절명하고 말았다.

경찰서에 잡혀간 할머니는 하염없는 눈물을 흘리며 울고 또 울었다. 졸지에 영감을 죽인 살부殺夫의 아낙이 되어 자신도 죽고 싶은 심정뿐이었다. 20살에 시집을 왔던 이 할머니는 결혼 초기부터 맞고 살았다. 남편이 술만 먹으면 폭력을 행사해 어떤 때는 이웃집으로 도망을 가, 피해 숨어있기도 하였다. 딸을 일곱이나 낳은 할머니는 아들을 못 낳고 딸만 낳는다고 구박을 받으며 맞고 살았다. 그러다 늦둥이 아들 하나를 낳았으나 그렇다고 남편의 폭력은 없어지지 않았다. 걸핏하면 부인을 북처럼 생각하는 남편을 그래도 섬기고 살아왔다.

그런데 일흔 여섯의 나이에 또 맞았다. 이렇게 평생을 남편의 폭력에 시달려온 할머니가 드디어 자신도 모르게 맞고 살아온데 대한, 뭉쳐 있던 한이 폭탄처럼 터져버린 것이다. 할머니의 독백은 “이 나이에도 내가 맞고 살아야 하나?”였다.

사람은 누구나 가슴에 폭탄을 하나씩 안고 산다. 맺혀 있는 한(恨), 증오, 부아가 폭탄이 되어 언제 터질지 모르는 불안한 존재가 되어 살고 있다. 비록 성품이 온순하고 착한 사람이 있다 하여도 그에게도 폭탄은 있다. 중생의 마음속에 선과 악의 업인이 동시에 갖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 폭탄이 터지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핀은 없을까? ‘참으면 되지.’ 하는 책임성 없는 상투적인 말 외에는 없는 것일까?

배고프면 밥을 먹듯이 목마르면 물을 마시듯이 이젠 사람이 생리적으로 해야 할 게 하나 있다. ‘남을 화나게 하지 말라.’ 이것이 우리 사회의 제일의 계율 조목이 되어야 할 때가 되었다. 아무리 가까운 사람이라도 자존심을 건드려 기분이 나쁘게 해 화를 내게 해서는 안 된다. 이것이 가정생활이나 직장생활 나아가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생활 헌법(?) 제1조다. 바야흐로 폭탄의 시대에 있어서는 사람을 폭탄처럼 조심해 상대해야 한다.

얼마 전 뉴스에서는 아버지의 권위로 아들을 꾸짖던 어느 가정에 방화사건이 일어나 할아버지와 할머니까지 다 죽은 일이 보도되었다. 이제는 부모가 자식을 대할 때도 어떤 면에서는 폭탄을 다루듯 해야 한다. 잘못 건드리면 터진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고함을 지르거나 야단을 치던 시대는 끝났다. 차근차근 설득하고 타이르는 시대가 되었다. 아니 그 보다도 귓속말로 속삭이듯이 대화를 나누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어느 시대이건 인생살이는 ‘역경계’와 ‘순경계’가 있다. 다시 말해 내 기분에 맞고 안 맞는 좋고 싫은 게 있다. 내가 좋아한다고 남이 따라 좋아하는 것이 아니고 내가 싫어한다고 남도 그런 것은 아니다. 남을 대할 때는 남이 내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남의 마음에 있는 기분은 전혀 내 기분과는 다르다는 것, 이것을 미리 알고 남을 대해야 한다. 내 기분대로 일방적으로 하는 시대는 이제 끝났다. 생존의 무게만 더해가는 메마른 시대를 살다보면 나도 모르게 내가 폭탄을 품고 있는 터지지 않은 화약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현대의 삶의 비극이다.

그대의 가슴에 폭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내부에서 인생관의 변화를 시도해야 한다. 내가 바라는 내 행복이 불행일 수 있고 내가 당한 불행이 행복일 수 있다는 행복과 불행을 등치시키는 일이다. 어디 인생이 웃으면서만 살아질 수 있던가? 웃는 때가 있으면 우는 때도 있다. 웃다가 울고 울다가 웃는 것이 인생이다.

기쁜 것도 내 마음이요, 슬픈 것도 내 마음이다. 슬픔을 느끼는 마음이나 기쁨을 느끼는 마음이나 그 마음이 똑같다는 사실을 알라. 본래의 마음으로 돌아올 줄 알면 되는 것이다. 본래의 마음은 어떤 마음인가? 기쁘지도 않고 슬프지도 않는 마음이다. 행복하지도 않고 불행하지도 않는 마음이다. 이 마음을 선수행에서는 ‘무심(無心)’이라 한다. 범부의 감정을 두고 말할 때 이 마음은 ‘잠자는 마음’이다. 화가 날 땐 차라리 마음을 잠재우라. 이것이 폭탄을 제거하는 안전핀이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0년 11월 120호

호랑이 계곡에서 세 사람이 웃다

중국 강서성(江西省) 구강현(九江縣) 남쪽에 여산(廬山)이라는 산이 있다. 이 산은 경관이 수려한 명산으로 알려져 역대의 많은 시인과 묵객(墨客)들이 찾아와 시를 읊고 그림을 그린 곳이다.

향로봉, 오로봉, 자소봉, 철선봉 등 40여개의 봉우리가 있어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하였다. 당대(唐代)의 시선(詩仙) 이백(李白)이 이곳을 드나들며 시를 지었으며 백낙천(白樂天) 역시 유애사(遺愛寺) 부근에 초당(草堂)을 지어 머물기도 하였고, 송대(宋代)에도 소동파(蘇東坡)가 여산을 소재로 오도송(悟道頌)라 칭송된 시를 남기기도 하였다.

廬山煙雨浙江潮(여산연우정강조) 여산의 실안개 비 정강의 물결이여

未到千般恨不消(미도천반한불소) 와 보지 못했을 땐 온갖 한이 남더니만

到得還來無別事(도득환래무별사) 와서 보고 나니 아무 별것 없고서

廬山煙雨浙江潮(여산연우절강조) 여산의 실안개 비 절강의 물결이네.

여산에 안개비 내리는 풍경과 절강의 강물을 읊은 이 시가 선을 참구하여 체험한 도의 경지를 비유적으로 묘사한 오도의 경지를 읊었다고 찬탄 받은 시이다. 여산의 경치를 소문만 들었을 적에 가보고 싶어, 가보지 못한 것을 탄식했는데 가서 보고 나니 별것 아니더라는 말로, 굳이 덧붙이자면 깨닫고 나면 깨달은 것이 별 거 아니란 뜻이다.

보기 전이나 보고 난 후의 여산의 경치가 그대로이듯이 깨닫기 전이나 깨달은 후의 나의 정체도 아무 변화가 없는 그대로라는 것이다.

여산은 동진(東晋) 시대부터 불교와 깊은 인연이 있던 곳이다. 동림사를 위시해서 서림사, 천불사, 개선사, 만장사 등 산속에 70여개의 사찰이 있어 명실공이 강남 불교의 중심이 되었던 곳이다.

불교의 역사에서 보면 일찍이 안세고(安世高)가 이곳에 머문 적이 있으며, 그후 도안(道安)법사가 머물었고 그의 문인 혜영(慧永)이 이곳에 와 서림사(西林寺)를 짓고는 혜원을 청해 오게 해 혜원이 당시 자사 환이桓伊의 도움을 받아 산의 동쪽에 동림사(東林寺)를 지었다. 이 두 절을 여산 이림(二林)이라 했는데 이 절들에 얽힌 많은 설화가 전해지게 되었다.

동림사는 향로봉 아래에 위치해 주변 경치가 뛰어났으며, 근처에 폭포가 있는 계곡이 있었다. 이 계곡에 자주 호랑이 울음소리가 들렸으므로 호계(虎溪)라 불렀다. 혜원은 이 절에 선림을 세우고 서역지방에 있는 불영굴(佛影窟)을 모방해 불영당(佛影堂)을 조성하였다.

그 뒤 이곳에서 염불 삼매를 닦는 모임을 만들어 염불 수행에 힘썼다. 이를 후대에 벽련사(白蓮社), 혹은 백련결사(白蓮結社)라 불렀다. 이는 사영운(謝靈運)이 이곳에 와서 연못을 파고 흰 연꽃을 심었기 때문에 불러진 말이라고 한다. 이후부터 동림사는 정토종의 발원지로 알려지게 되었다.

당나라 때에 와서 무종때 회창법란(會昌法難)을 만나 절이 황폐화 되었다가 선종(宣宗) 때 다시 복원이 된다. 당의 선도(善導) 대사가 이곳에 와 혜원의 유적을 찾기도 했으며, 지순(智舜)은 이곳에서 정토삼부경의 하나인 [관무량수경]을 강의 하였다.

원나라 때는 보도(普度)가 이곳에서 [여산연종보감(廬山蓮宗寶鑑)]을 저술하였으며, 일본에 정토종의 교의를 전한 감진(鑑眞)이 일본에 가기 전에 여기서 연종 교의를 연구하였다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토의 사적이 동림사에 남아 있는 것은 혜원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 혜원은 당시의 명사들의 내방을 맞이하여 숱한 일화를 남기기도 했는데 한 번은 시인 도연명(陶淵明)과 도사(道士) 육수정(陸修靜)이 찾아와 담론을 나누었는데 혜원이 이들을 배웅을 하다가 절 앞의 호계에 있는 다리를 넘지 않기로 서원을 세웠는데 배웅하면서도 이야기에 팔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그만 다리를 건너버렸다.

이때 계곡 안 쪽 산에서 우는 호랑이 울음소리에 정신이 들어 다리를 건너버린 줄을 알고 혜원이 웃자 세 사람이 함께 크게 웃었다는 고사가 있는데 이를 두고 호계삼소(虎溪三咲)라는 고사성어가 생겼다. 나중에 이 말은 선가의 공안(公案)이 되어 여러 사람들에게 회자되었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2년 4월 13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