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보다 진품을 찾는 세상이라야

산업사회가 시작되고부터 자본주의가 발달해 물품의 소유욕구가 대단히 높아진 나머지, 좋은 물품을 갖는 것이 명예 못잖은 자기만족 내지 자랑이 되는 시대가 되었다. ꡐ소유냐? 존재냐ꡑ하는 에리히 프롬의 책이 나온 지가 이미 오래 되었지만 삶의 목적이 소유량을 늘려가는 데에 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것이 자본주의의 속성이 되어버렸다. 상업주의에 있어서도 고급 메이커라야 상권(商圈)의 우위를 차지하는 것은 당연시 되고 있다. 물질이 고급화 된다는 것은 상품의 질이 높아지는 것이므로 반기고 환영할 일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물질의 고급화가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라고 비례적으로 볼 수 없는 데서 문제가 생긴다. 오히려 반대로 물질에 지나치게 탐착할 때 정신적 오염이 더욱 심해, 삶의 질은 그만큼 타락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된다.

소위 명품족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현대사회의 고급품 우선주의가 판을 치고 있으나 아무리 명품을 쓰고 사는 세상이라도 정신 수준이 따라가지 못하면 명품족이 얼마든지 하품족이 되어버리는 결과가 올 것이다. 명품이란 글자 그대로 이름난 물건으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물품이지만, 이를 통해 다분히 허세를 부리려는 인간의 그릇된 사고방식이 숨어 있음을 잘 알아야 한다. 사실 내사 쓰는 물건이 질이 좋고 실용적이면 그것으로 사용가치는 충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품을 선택하려는 선호도가 왜 그리 높은 것일까? 아마 그것은 소유했다는 자기 만족도가 자기 기분을 좋게 해 주는 이유에서일 것이다.

현대의 생리는 우상주의가 그 극을 이루어 어떻게 하면 사회적 지명도를 얻을 수 있는가 하는 데로 쏠리고 있다. 프랜시스 베이컨의 우상론에 나오는 바와 같이 종족의 우상에서 동굴의 우상으로, 다시 시장의 우상에서 극장의 우상으로 우상의 대상이 변해와 종교적이고 철학적이었던 고대나 근대의 우상과는 달리 사회적 우상이 되어버렸다. 사회적 우상이란 대중에게 어필하여 인기를 얻어 유명해지고자 하는 지극히 속된 욕구이다. 이것 때문에 자기나 자기 소유의 주가를 어떻게 하면 올릴까하는 것이 최대의 관심사가 되어, 필요이상의 선전과 홍보로 대중의 관심을 얻으려고 혈안이 되어가고 있다. 신문지 마다 광고용 전단이 끼어있지 않은 것이 없으며 거리마다 선전용 플래카드와 벽보들이 어지럽게 나부끼고 있다.

과장되거나 거짓된 홍보용어에 속고 사는 시대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우리 사회는 천박한 상업주의가 너무나 판을 치고 있다. 불교의 용어를 빌려 해석하자면 너무나 상(相)을 내면서 살고 있다는 말이다. 상없이 살라는 『금강경』의 가르침이 아예 무색해져 버린 판국이다.

이러한 폐단이 인간성 유린을 예사로 하고 물질적 이익추구에만 집중되어 물신론(物神論)을 만들어 내면서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건강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 정말 허풍으로 사는 세상 같고 거품 같은 세상이 되었다. 자칫 자기중심을 잃고 허둥대기 일쑤며 가만히 있으면 뒤떨어지고 소외된다고 생각하고 정관할 여유를 잃어버린다. 소박하고 순수한 모습이 없어지고 가식과 위선이 득실거리며 어디까지나 교언영색(巧言令色)으로 살려고 한다.

공자님도”교언영색은 어짊(仁)이 없다”는 말을 하였지만 어질지 못한 상태로 세상은 자꾸 조작만을 거듭하니 이것 또한 시대의 병이다. 사람이나 물건이 명품이 되려하고 명품을 만들려고 한다. 그러나 한번쯤 명품을 추방하고 차라리 진품을 찾으려는 사회적 운동이 일어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명품은 요란스럽고 시끄럽지만 별로 사람을 감동시키지 못한다. 비록 흥에 도취된 박수를 받겠지만 인기가 내려가면 그만인 것이다. 진품은 소박하고 무심하다. 누가 보아주지 않아도 외로워하지 않는다. 묵묵히 제할 일만 하고 있는 바보와 같다. 인기 떨어질 걱정은 아예 없다. 그러나 진품이라야 언젠가 남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유명하지 않아도 진품이 되면 언젠가 그 가치가 명품을 능가할 것이다. 그리고 인생도 진품에서 참된 행복과 기쁨이 찾아질 것이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6월 제 55호

멀리 보고 살아야지

사람이 사는 한 생애의 기간을 일기무상(一期無常)이라고 말한다. 불교에서 무상을 말할 때 찰나(刹那)무상과 일기무상의 둘로 설명을 한다. 이 무상이라는 말은 시간이 짧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다. 순간의 일이란 의미에서 무상을 붙여 쓰기도 한다. ꡒ세상만사가 무상사다ꡓ고 할 때의 무상은 ꡐ덧없다ꡑ는 뜻과 함께 ꡐ순간에 불과한 일ꡑ이라는 뜻을 가진다. 찰나에 생겼다가 찰나에 없어지는 것, 이것이 모든 현상계를 단적으로 파악할 때 쓰는 수식어다.

그런데 무상이란 존재하던 사물이 없어진다든지 전성을 누리던 사람이 몰락한다든지 하는 상황퇴보에서 느끼는 감정의 표현으로 곧잘 쓰이는 말이지만, 원래는 생각이 움직이는 것에서 나온 말이다. 생각이 일어났다 없어지는 염기염멸(念起念滅)의 생멸심을 말한다. 사념처(四念處)의 관법(觀法)에서 관심무상이 나온다. 마음을 무상한 것으로 보란 말이다. 특히 중생의 마음은 번뇌가 일어나 마음이 고요할 때가 없이 마치 파도치는 물결처럼 항상 출렁거리고 있다고 한다. 그리하여 일념이 유지되기 어려운 것이 중생의 마음이다. 자꾸만 다른 생각으로 옮아가면서 생각과 생각이 상속된다. 그리하여 물이 흘러가면서 이어지듯이 의식의 흐름이 생겨 시간과 공간에 스며든다.

인간의 의식이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해 경계를 접하는 속도가 빨라지는 현대에 와서는 신경이 예민해져, 깊은 사고를 할 수 있는 염력 곧 생각의 힘이 약해진다. 다분히 감각적이고 말초적인 1차신경의 피상적인 생각만으로 현실의 제반사항을 안이하게 판단해 버리는 경향이 짙다. 때문에 즉흥적이고 돌발적인 행동이 많이 일어난다. 더구나 모든 것이 스피드 위주로 가속화 되어가는 현대사회의 물리적 기능이 인간의식의 템포를 빠르게 하므로 인스턴트의 찰나주의가 횡행한다. 급기야 순간에 죽고 순간에 산다는 즉흥적인 감정에 사로잡혀 현재에서 미래로 이어지는 인과의 관계를 생각하기 싫어한다. 내일은 내일 가서 보자며 오늘의 원인이 초래할 내일의 결과에 의도적으로 관심을 두지 않으려고 한다. 자포자기하는 성미를 부리며 될 대로 되라고 채근을 한다. 이러므로 감정을 순화시키지 못하고 사는 것이다. 심리적 상황으로 볼 때 현대의 불행이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사람은 멀리 보려는 사고방식을 가져야 한다. 오늘의 환경이 좋건 나쁘건 멀리 보고 생각하면 모든 상대적 차별이 좁혀지게 된다. 행복과 불행의 대차도 멀리 보고 생각하면 줄어든다. 아무리 한 평생 호의호식하는 부의 복이 있다 해도 일회적인 한정된 생의 것이며, 그것이 세세로 이어지려면 우선은 다음 생을 바라보는 안목이 있어야 한다. 대승불교의 보살들은 언제나 삼세를 함께 관찰한다고 한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똑같이 본다고 한다.

기실 모든 존재는 삼세를 함께 누리는 것이다. 오늘을 산다는 것이 어제와 내일을 동시에 사는 것이 아닌가? 해를 거듭할수록 나이는 많아지는 것이며 나이가 많아지면 그 속에 많은 과거가 들어 있는 것이다.

『아함경』에 장수왕(長壽王)의 이야기가 있다. 이웃나라와 전쟁을 하다 망한 장수왕이 다른 나라로 도망을 하여 광대처럼 악기를 들고 노래를 부르며 가난한 사람들을 즐겁게 하며 지낸다. 그러다가 아들 장생동자를 낳았다. 이 아들이 매우 총명하고 무예가 뛰어나 장차 잃어버린 나라를 되찾을 수 있는 역량이 엿보였다. 장수왕을 멸망시킨 이웃나라 가사국왕이 후환이 두려워 장수왕을 죽인다. 임종 순간에 장수왕이 아들 장생 동자에게 이 말을 남긴다.

“원수를 갚지 말라. 멀리보고 살아라.”

원한은 복수로 갚아지는 것이 아니다. 복수는 또 복수를 불러오는 것, 세월이 흘러 멀리 멀리 지나가면 사랑도 미움도 함께 용해되어 나중에는 증발되어 사라진다. 다만 한 생각에 마음을 안정시키면 일념이 만년이 되어 간다. 한 생각 일념이 만년이 되어 가면 무심에 합해진다. 무심은 무상을 뛰어 넘어 영원을 기약한다. 멀리 보고 사는 것이 오래 오래 사는 것이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4년 10월 제 4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