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다하도록 봄을 찾아도

진일심춘불견춘 盡日尋春不見春 날이 다하도록 봄을 찾아도 봄을 보지 못하고

망혜변답농두운 芒鞋遍踏籠頭雲 짚신이 닳도록 이랑머리 구름만 밟고 다녔네

귀래소연매화취 歸來笑撚梅花臭 허탕치고 돌아와 매화꽃이 피었기에 향기를 맡았더니

춘재지두이십분 春在枝頭已十分 봄은 흠뻑 가지 위에 있었네

어떤 사람이 봄을 찾아 나섰다. 들이랑 산골짜기를 온통 쏘다니며 해가 저물도록 봄을 찾았으나 봄은 보이지 않았다. 할 수 없이 걸음을 돌려 집으로 돌아 왔더니 마당가에 있는 매화 가지에 꽃이 피어 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 반가운 마음으로 다가가 향기를 코로 맡다가 온종일 찾아 헤맸던 봄이 바로 꽃향기 속에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인간이 추구하는 모든 가치가 내면의 자기 마음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상징해 놓은 이야기다. 가령 인간이 원하는 행복이 어디 있느냐 하면 이 행복이 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다시 말하면 객관의 조건에서 행복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란 말이다. 나아가서 ‘도(道)다. 진리다’고 하는 것도 우리들 마음을 떠나서 달리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사람 곁에 도가 있고 사람 곁에 진리가 있다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자신에게 이미 내재되어 있는 진리를 찾기가 쉽지 않는 것이 중생이다. 내 곁에 행복이 있어도 그 행복을 모르고 먼 곳을 다니면서 찾는다는 뜻으로 한, “마음밖에 부처를 찾지 말라”는 선가의 말은 수행자들에게 엄격한 주의를 주는 말로 알려져 있다. 마음 빼면 인생이 없고 마음 빼면 우주가 없는 것이다. 세상은 마음에 의해 있는 것이고 마음에는 이미 모든 것이 다 갖추어져 있다. 다만 이 유심(唯心)의 도리를 사람들이 쉽게 알지를 못한다는 것이다. 어떤 면에서 이것을 알기까지는 숱한 헤맴과 시행착오를 겪는다는 사실이다. 메틸링크의 파랑새 이야기나 카알 붓세의 산너머 행복 이야기도 이 이야기와 같은 내용이지만 여기서는 부정으로 마무리하지 않고 매화향기에 서 봄을 찾았다고 긍정으로 마무리했다.

이 시의 원작자가 누군지 어느 때 사람인지 알려지지 않은 채 전해져 작자미상으로 간주되는데, 다만 어떤 비구니 스님이 지은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어찌 보면 애틋한 서정이 배여 있어 사람의 가슴을 뭉클하게 하는 것 같기도 하다.

지안스님 해설. 월간반야 2003년 3월 (제16호)

2016년 01월 16일 불교뉴스

BBS뉴스

  1. 이귀란 작가 개인전 ‘엄마의 사랑속에서’ 19일까지 열려
  2. 도시민 절반 “은퇴 후 귀농·귀촌하고 싶다”
  3. 경상수지 흑자 규모 GDP 대비 3~4% 유지
  4. 불법조업 중국어선 2척 나포
  5. 최룡해 이틀째 공개활동…남북·북중 관계 역할 주목
  6. 청소년 10명 중 8명 “우리 사회 불평등하다”
  7. 주말 고속도 정체…상행선 저녁 6시쯤 절정
  8. 올림픽 축구 대표팀…오늘 밤 예멘전
  9. 달라이라마 특별법문, BBS TV 로 만난다
  10. “북 핵실험 여파로 북러 경협사업 위기”
  11. 가야문화 재조명 하는 학술대회
  12. 선박검사 후 허위 보고서 쓴 검사원 벌금형
  13. 화성 육절기 살인사건 피고인에 사형 구형
  14. 한미 강력한 대북제재 조율…한미일 외교차관 협의
  15. 소중한 전통유산,흥천사 42수 관음상
  16. BBS 불교방송- 금강선원 경전낭독 콘서트
  17. 경북공무원교육 특화, 상생·통일대비·영호남교류 과정 신설
  18. 베네수엘라, 경제비상사태 선포
  19. 한국, 중국주식 직구…급락 여파로 작년 4분기 20% 감소
  20. 은행권 초임연봉 1위 신한은행…군필 기준 5,500만 원
  21. 타이완 첫 여성 총통 탄생 주목…총통선거中
  22. 경북도 ‘2016년 문예진흥기금사업’ 공모
  23. 주말 고속도로 정체 시작
  24. 오세훈·안대희 내일 출마지 결정
  25. 두방사 대정스님 15일 경찰 출두
  26. 여주 버섯 농장에서 불…1억 6천만 원 피해
  27. 美, “지난해 IS 공습 과정 민간인 8명 사망”
  28. 케리 장관도 중국 방문…대북 제재 논의
  29. 뉴욕증시, 유가 폭락 등으로 2%대 급락
  30. 오늘 추위는 풀리고 미세먼지는 주의
  31. [전경윤의 세상살이] 옛날 영화관이 그립다

불교신문

  1. “괴로울 때, 자기비난 내려놓고 친절한 마음으로 돌보자”

불교저널

  1. [AD]신불교 영산불교의 우주적 진리의 사상, 재조명

불교플러스

  1. 불기2560년 조동종 총무원장 신년사
  2. 불기2560년 조동종 종정 신년법어
  3. 조동종 2016년 신년하례법회 봉행
  4. 불기2560년 삼론종 종정 신년법어
  5. 불기2560년 삼론종 총무원장 신년사
  6. 2016년 법화종 총무원장 신년사
  7. 2016년 법화종 종정 신년 법어
  8. 천태종 상월원각대조사 탄신 104주년 봉축법요

현대불교

  1. 통도사ㆍ진주시 燈축제 MOU 체결
  2. 통도사, 아름다운 문화 쉼터로의 초대

최종업데이트 : 2016-01-16, 11:15:29 오후

날아오르는 산

영축산은 영락없는 독수리 형상이다.

날개 크게 펼쳐 하늘 허공을 돌며

먹이를 낚아채기 직전, 저 거침없는 몰입의 긴장을 나는 느낀다.

무진장무진장 눈이라도 퍼붓는 날이면

흰 날개 파르르 떨리는 것이 보이고

산의 들숨날숨 따라가다 나도 함께 숨을 멈추고 만다.

명창의 한 호흡과 고수의 북 치는 소리 사이

그 사이의 짧은 침묵 같은, 잠시라도 방심한다면

세상 꽉 붙들고 있는 모든 쇠줄들

한순간에 끊어져 세차게 퉁겨 나가버릴 것 같은,

팽팽한 율에 그만 숨이 자지러지는 것이다.

겨울산을 면벽 삼아 수좌들 동안거에 들고

생각 놓으면 섬광처럼 날아와 눈알 뽑아버릴

독수리 한 마리 제 앞에 날려놓고

그도 물잔 속의 물처럼 수평으로 앉았을 것이다.

조금이라도 흔들리면 잔속의 물 다 쏟고 마는

그 자리에 내 시를 들이밀고, 이놈 독수리야!

용맹스럽게 두 눈 부릅뜨고 싶을 때가 있다.

나도 그들처럼 죽기를 살기처럼 생각한다면

마주하는 산이 언젠가는 문짝처럼 가까워지고

영축산은 또 문짝의 문풍지처럼 얇아지려니

그날이 오면 타는 손가락으로 산을 뻥 찔러보고 싶다.

날아라 독수리야 날아라 독수리야

산에 구멍 하나 내고 입바람을 훅 불어넣고 싶다.

산 뒤에 앉아 계신 이 누구인지 몰라도

냉큼 고수의 북채 뺏어들고

딱! 소리가 나게 산의 정수리 때려

맹금이 날개로 제 몸을 때려서 하늘로 날아가는 소리

마침내 우주로 날아오르는 산을 보고 싶은 것이다.

출처: 시집 ‘마당으로 출근하는 시인’

정일근 시인 글. 월간 반야 2011년 5월 12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