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경전 (19)밀린다왕문경 2

왕은 또 나가세나에게 무엇 때문에 출가했으며 또 출가의 목적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

“나가세나 스님! 스님이 출가한 것은 무엇 때문이었으며 또 그 목적이 무엇입니까?”

“대왕이여! 원컨대 인생의 괴로움을 없애고 그 괴로움이 다시 일어나지 말기를 바라는 목적에서 우리는 출가를 한 것입니다. 참으로 우리의 최상의 목적은 생존에 집착하는 일이 없는 완전한 열반인 것입니다.”

왕은 이 대답에 만족을 얻지 못하여 다시 날카롭게 묻는다.

“스님! 출가자 모두가 이 목적을 위해서 출가를 하는 것인가요?”

“대왕이여!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어떤 사람은 도적의 위험을 받고 출가하고, 어떤 사람은 부채에 시달리다가 출가를 하고 또 어떤 사람은 생활을 위해서 출가를 합니다. 그러나 떳떳하게 출가를 하는 사람들은 이 목적을 위해서 출가를 하는 것입니다.”

이 대화에서 출가의 본래 목적과 현실적인 상황이 설명되어지고 있다.

“나가세나 스님! 그렇다면 스님은 이 목적을 위해 출가를 한 것입니까?”

“대왕이여! 사실은 나는 유년 시절에 출가를 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야말로 이 목적을 위해서 내가 출가를 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나는 이렇게 생각을 했습니다. ‘출가 수행자인 부처님의 제자들은 현자이다. 이들은 나를 가르쳐 줄 것이다.’라고요. 그래서 나는 그들의 가르침을 받고 출가를 하는 일은 참으로 이 목적을 위해서라고 알았고, 또 본 것입니다.”

다음은 이 세상의 사람들이 불평등하게 살아가는 원인이 무엇인가를 묻는 이야기가 나온다.

“나가세나 스님! 어떤 이유 때문에 사람들은 모두 평등하지를 못한 것인가요? 즉 어떤 사람은 명이 짧고 또 어떤 사람은 명이 깁니다. 또 어떤 사람은 병이 많고, 어떤 사람은 병이 적습니다. 또 어떤 사람은 추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어떤 사람은 우아하고 단정합니다. 어떤 사람은 힘이 약하고 어떤 사람은 힘이 강합니다. 또 어떤 사람은 재산이 적고 또 어떤 사람은 재산이 많습니다. 어떤 사람은 비천한 집안에 태어나고 또 어떤 사람은 고귀한 집안에 태어납니다. 어떤 사람은 어리석고 어떤 사람은 현명합니다.”

이 질문에 나가세나는 이렇게 되묻는다.

“대왕이여! 어째서 수목은 똑같지 않은 것일까요? 어떤 나무의 과일은 시큼하고 어떤 나무의 것은 달콤하고 어떤 것은 떫고 어떤 것은 쓴데 왜 그럴까요?”

“스님! 나는 그 나무들의 종자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왕이여! 부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모든 중생은 각기의 업을 가지고 있고 업을 상속하며 업을 모태로 하고 업을 친족으로 하고 업을 의지하고 있다. 업은 모든 생명체를 전한 것과 귀한 것으로 차별한다.’고요”

이렇게 말해 주자 밀린다 왕은 고개를 끄덕이며 수긍을 한다. 나가세나의 해답은 인간의 불평등을 과거에 누적된 업의 결과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초기 불교에서는 인간의 평등을 주장하면서 사람에게 신분의 차이가 본래부터 있는 것이 아니라 한다. 예를 들면 숫다니파타에 ‘태어남으로 인하여 바라문인 것은 아니다. 태어남으로 인하여 바라문이 아닌 것도 아니다. 행위로 인하여 바라문인 것이요 행위로 인하여 바란문이 아닌 것이다.’ 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여기서 행위는 업(Karma)을 말하는 것이다. 왕과 나가세나의 열띤 담론이 계속되면서 불교의 교리적인 사고 유형이 서구의 사고 유형을 갖고 있는 한 왕을 끝내 이해시키고 만다.

“나가세나존자여, 사람이 죽을 때 윤회의 주체가 저 세상에 옮아감이 없이 다시 태어날 수 있습니까?”

“그렇습니다. 옮아감이 없이 다시 태어날 수 있습니다.”

“어찌하여 그럴 수 있습니까? 비유를 들어 주십시오.”

“대왕이여, 어떤 사람이 한 등에서 딴 등에 불을 붙인다고 합시다. 이 경우 한 등이 딴 등으로 옮아간다고 할 수 있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대왕이여, 마찬가지로 윤회의 주체가 한 몸에서 딴 몸으로 옮아감이 없이 다시 태어나는 것입니다.”

“다시 한 번 비유를 들어 주십시오.”

“대왕이여, 그대가 어렸을 때 어떤 스승으로부터 배운 시를 기억합니까?”

“그렇습니다.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 시는 스승으로부터 그대에게 옮겨 와 버린 것입니까?”

“아닙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대왕이여, 마찬가지로 몸이 옮김 없이 태어나는 것입니다.”

“잘 알겠습니다. 나가세나 존자여.”

왕이 물었다.

“나가세나 존자여, 선행이나 악행을 짓게 되는 업(業)은 어디에 있습니까?”

“대왕이여, 그림자가 형체를 떠나지 않는 것처럼 업은 인격적 개체에 수반됩니다.”

“업은 ‘여기에 있다, 저기에 있다.’고 지적할 수 없습니까?”

“그럴 수 없습니다.”

“비유를 들어 주십시오.”

“대왕이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아직 열리지도 않은 과일을 ‘여기에 있다, 저기에 있다.’고 지적할 수 있습니까?”

“존자여, 그럴 수 없습니다.”

“대와이여, 마찬가지로 생명체와 연속이 끊어지지 않는 한 그 업이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 지적할 수 없습니다.”

“잘 알겠습니다.”

왕이 물었다.

“존자여, 저 세상에 다시 태어날 것을 압니까?”

“대왕이여, 알고 있습니다.”

“비유를 들어 주십시오.”

“대왕이여, 농부가 곡식을 땅에 심고 나서 비가 알맞게 내린다면 그는 곡식이 싹이 터서 나오리라는 것을 알겠습니까?”

“그렇습니다, 그는 압니다.”

“대왕이여, 마찬가지로 저 세상에 장차 태어날 자는 자기도 태어날 것을 미리 압니다.”

“잘 알겠습니다.”

이 『미린다 팡하』를 후대의 사람들은 ‘동서의 대화’라고도 말해 왔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4년 3월

/ 지안스님 강의

2. 법당의 이름과 여러 부처님, 보살님들

2. 법당의 이름과 여러 부처님, 보살님들 이제 법당으로 들어설 차례입니다. 법당이란 법을 설하는 건물이라는 뜻입니다. 예전에 이곳에 황금색의 부처님이 모셔져 있다고 해서 금당(金堂)이라 불렀습니다. 법당은 불보살을 모시고 있기에 궁전이라는 뜻의 전(殿)이라 존칭하고 있습니다. 법당은 그곳에 모셔져 있는 불보살님이 어떤 분인가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이름을 갖고 특징지워집니다. 특히 사찰의 정중앙에 자리잡은 법당은 큰법당이라고 합니다. 대웅전(大雄殿) 석가모니부처님을 모신 법당입니다. 석가모니부처님은 모든 번뇌를 쓸어버리고 깨달음을 얻었기에 위대한 승리자요 위대한 영웅이라 했습니다. 그래서 대웅(大雄)이라 불렀으며 이 분을 모신 곳을 대웅전이라 이름한 것입니다. 보통 석가모니부처님 좌우에는 협시보살이나 다른 부처님이 모셔져 있습니다. 석가모니부처님 좌우에 아미타부처님과 약사여래가 자리잡고 있을 경우 그곳은 격을 높여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대적광전(大寂光殿) 화엄경에 등장하는 주존 부처님인 비로자나부처님을 모신 법당입니다. 비로자나부처님이란 태양의 빛이 만물을 비추듯이 우주의 일체를 비추며 일체를 포괄하는 부처님입니다. 진리의 본체라 하여 법신불(法身佛)이라 일컫기도 하지요. 이 법신부처님은 형상도 없고 소리도 없습니다. 그래서 전혀 설법을 하지 않습니다. 다만 법신불의 미간 백호에서 광명이 비춰 나와 시방 세계의 모든 나라를 드러냅니다. 이렇게 침묵 속에서 찬란한 진리의 빛을 발한다 하여 이 법신불을 모신 큰법당을 대적광전, 적광전, 대광명전(大光明殿), 보광전(普光殿)이라고도 부릅니다. 비로전(毘盧殿)이라는 명칭도 있습니다. 극락전(極樂殿) 인간과 모든 생명의 한계 상황인 죽음을 물리치고 영원한 생명을 주시는 아미타부처님을 모신 법당입니다. 이 부처님은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주불이기 때문에 이분을 모신 법당을 극락전이라 한 것입니다. 아미타부처님은 또한 무한한 빛이요 생명의 부처님이어서 무량광불(無量光佛), 혹은 무량수불(無量壽佛)이라 불리기에 극락전은 무량수전, 무량광전으로도 일컬어집니다. 이 밖에 아미타전, 미타전이라는 이름도 갖고 있습니다. 정토세계의 주불(主佛) 아미타부처님의 협시보살로서 좌측에 있는 분이 관세음보살이고 우측에 있는 분이 대세지보살입니다. 여기서 관세음보살은 자비를, 대세지보살은 지혜를 각각 상징합니다. 미륵전(彌勒殿) 미래에 이 사바세계에 오셔서 중생들을 구원할 구원의 부처님, 당래불(當來佛)이 미륵부처님이고 이 분을 모신 법당이 미륵전입니다. 이 법당은 미륵부처님에 의해 정화되고 펼쳐지는 새로운 불국토인 용화세계를 상징한다고도 하여 용화전(龍華殿)이라고도 부릅니다. 약사전(藥師殿) 병든 사람과 생명들을 고치고자 하는 원력을 세운 부처님이 약사여래요 이 분을 모신 전각이 약사전입니다. 약사여래는 의왕여래(醫王如來) 또는 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고 이름했고 동방 정유리세계(淨琉璃世界)의 주불이므로 약사유리광여래(藥師琉璃光如來)라고도 불립니다. 그래서 유리전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약사여래의 좌협시 보살이 일광보살(日光菩薩), 우협시 보살이 월광보살(月光菩薩)입니다. 한편 이러한 큰법당 주변에는 여러 부처님과 보살님들을 모신 법당 또한 자리잡고 있습니다. 원통전ㆍ관음전ㆍ지장전 등이 그것입니다. 원통전(圓通殿) 관세음보살님을 모신 법당이기에 관음전(觀音殿)이라고도 합니다. 관세음보살은 중생의 고통스러운 음성이나 바램을 관찰하여 그들을 구해내는 자비로운 보살님입니다. 그래서 이 분을 일러 대비성자(大悲聖者), 구제대비자(求世大悲者)라고도 불렀습니다. 그리고 원통대사(圓通大士)라는 말도 있는데, 이것은 관세음보살의 능력이 두루 미치지 못하는 바가 없음을 의미하는 말 입니다. 원통전은 이 관세음보살의 원통대사로서의 능력을 강조한 명칭임을 알 수 있습니다. 지장전(地藏殿) 온갖 죄악으로 죽어서 육도 윤회를 거듭하는 중생, 특히 처참한 살풍경이 벌어지는 지옥 중생에게 구원의 손길을 보내 그곳에서 그들을 구원해 내는 분이 지장보살님입니다. 이 지장보살님을 모신 법당을 지장전이라 합니다. 한편 지장보살은 지옥중생을 구제하기 때문에 지옥의 세계인 명부세계 주존으로 모셔져 있습니다. 그래서 지장전은 명부전(冥府殿)이라 일컫기도 합니다. 그리고 명부전에는 망자를 심판하는 열명의 심판관이 들어서 있으므로 시왕전(十王殿)이라 지칭하기도 합니다. 나한전 석가모니부처님의 제자로서 아라한의 지위에 오른 나한님들을 모신 전각입니다. 아라한은 번뇌를 남김없이 끊어버린 분들로서 진리와 합치하기 때문에 응진(應眞)이라고도 합니다. 그래서 응진전은 나한전의 또다른 이름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나한전은 영산회상의 모습을 재현했다 해서 영산전(靈山殿)으로도 불립니다.

가지에 얼어붙은 눈 편편이 떨어지고

한지착설낙편편 寒枝着雪落翩翩 가지에 얼어붙은 눈 편편이 떨어지고

송운풍청후만천 松韻風淸吼晩天 저무는 하늘에 솔바람 파도소리

석상정공회수망 石上停筇回首望 돌 위에 지팡이 짚고 고개 돌리니

옥봉고엄조설변 玉峰高掩鳥雪邊 눈 덮인 봉우리 높이 새가 구름 곁을 난다.

유난히도 눈이 많은 해가 있을 때가 있다. 지난 해 서해안 지방에 내린 눈이 그런 경우다. 보름 동안 폭설이 내려 막대한 피해가 났다고 하였다. 눈이 올 때 사람들은 설경을 좋아하며 즐기려 하지만 너무 많이 내리면 그만 재해가 되어버리니 무심한 자연이지만 인간은 무심을 모르고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한다.

이 시는 설암추붕(雪岩秋鵬1651~1706)이 지은 것이다. 이조 중기 스님으로 삼장을 통달했고 언변이 좋아 설법에 능했던 스님이었다. 계행이 청정하였고, 월저도안(月渚道安)의 법을 이었다.

온 산에 눈이 하얗게 쌓인 어느 날 외출에서 절로 돌아오다 설경을 바라보고 지은 시이다. 원 제목이 설후귀산(雪後歸山)으로 되어 있다. 옥봉이란 눈 덮인 산봉우리를 가리킨 말이다. 백옥처럼 하얀 산봉우리 너머 새가 눈에 들어온 모양이다. 눈 온 뒤 석양이 질 무렵 아스라한 하늘가에 구름이 깔렸고 그 곁으로 새가 날아가는데 저무는 설국의 정적을 새가 깨뜨리는 파적의 묘미가 있는 시 같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6년 2월 제 6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