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실(蘭室)을 지어 놓고

지난 정초에 서울 봉은사와 대구에 있는 서봉사, 그리고 대원사 두 사찰에 정초기도 산림 법회를 다니며 8일 동안 법문을 하였다. 가끔 나는 법문해 달라는 청을 받아 가서 설법해 주고 거마비를 얻어 온다. 이를 나는 아르바이트 수입이라 생각하고 있다. 지난 정초기도 산림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난실을 하나 짓기로 하였다. 공사비가 예상보다 많이 들어 아르바이트 수입으로 다 충당되지는 못했지만 난실이 하나 생겨, 방에 있던 난분을 그리로 옮겨 두고 또 몇 개의 분을 사들여 놓기도 하였다. 동양금과 모과나무 등 꽃망울이 예쁘게 맺혀 있는 분재도 몇 개 사들여 놓고 요즈음은 하루에 몇 번씩 난실을 드나들며 감상을 하느라 정신이 없다.

어제는 극락암에 와 산철 정진을 하고 있는 무연수좌가 반야암 근처 숲속에서 꽃대가 예쁘게 솟아 있는 춘란을 발견하고 같이 보러가자고 하였다. 가보니 낙엽 속에 새파란 잎을 몰래 드러내고 꽃대를 숨긴 춘란이 세포기가 있었다. 잘됐다 싶어 당장 캐와 난실에 옮기려 하니 무연 수좌가 반대를 했다. “스님, 이거 캐지 말고 자생하는 그대로 두고 키우면 안 될까요?” 딴엔 옳은 말이긴 하나 내 생각에 난을 캐러 다니는 사람들의 눈에 띄어 누군가가 캐 가버릴 것 같아 난실에 옮겨 키우자고 했더니 그래도 무연 수좌는 캐는 것이 내키지 않아하는 눈치였다. 마침 포행 나왔던 극락암 수좌 두 명이 우리를 보고 오기에, ‘이 난을 캐야 하느냐 그대로 두어야 하느냐’를 놓고 의논했다. 결론은 3대 1로 누가 캐 가버릴지 모르니 캐서 난실로 옮겨 영축산 난을 영축산을 떠나지 않게 하는 것이 좋겠다고 결정을 보았다. 이리하여 난실의 식구가 또 하나 늘게 되었다.

큰절에 있을 때부터 나는 내 방안에 난을 몇 분씩 두고 지내왔다. 난을 좋아하는 정서적 취향 탓이긴 하지만 거제도에 커다란 난실을 만들어 평생을 난과 함께 살다간 고(故) 향파(香坡) 김기용 거사님을 알고 지낸 인연도 한 몫 하였다. 내게 난에 대한 상당한 지식을 가지게 해 주고, 손수 재배한 제주 한란 몇 분을 선물해준 인연으로 나도 한때 난에 매우 심취하기도 하였다. 또 절에 살다보니 가끔 난분을 선물 받는 일도 생겼다. 작년 가을 은해사 우리 대학원에서 전강식을 가졌을 때 축하로 보내준 난분이 많았고, 3년 전 입적한 전 총무원장 법장 스님께서도 생일 축하 난분을 보내준 적이 있었다. 문제는 이렇게 받은 난분들을 제대로 가꿀 수가 없어 여러 해 동안 꽃을 피워보지 못했다. 방안에 햇볕이 잘 들지 않음으로 일조량이 부족해서 꽃대가 올라오지 않는 것이었다.

그런데 어느 날 서재에 놓인 잎만 무성한 난을 바라보다가 문득 이런 생각을 하였다. 저 난분 몇 개가 여러 해 동안 꽃을 피워보지 못했다. 해마다 꽃을 피울 수 있는 식물이 꽃을 피우지 못한다면 역할의 장애를 받고 있는 것이다. 내가 꽃을 보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운 것이 아니라 저 난 자체가 꽃을 피워보지 못해 얼마나 안타까울까? 이런 생각을 하니 난이 꽃을 피우도록 도와주자는 생각이 드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내가 뭐 보살 10지 경계나 되는 대단한 이타원력의 보살정신을 발한 것이 아니라 단순한 생각전환이 일어나 난실을 지으려는 마음이 일어나게 된 것이다.

아르바이트 하여 책살 돈을 난실에 투자하였지만 요즈음 난실에 의자를 놓고 가만히 앉아 있으면, 한쪽 귀퉁이에 있는 난과 분재를 보면서 내가 경전을 보고 있다는 착각이 든다. 아니 이건 착각이 아닌 착각이다. 깊은 명상에 들어가면 꽃 속에서도 경전이 보이고 책 속에서도 꽃이 보인다. 책이든 꽃이든 간에 실제로 보이는 것은 마음의 그림자, 그림자 아닌 그림자를 내는 마음을 보면 된다. 마음을 보면 이 세상에 아무 것도 보이는 것이 없다고 했고 아무 것도 보이는 것이 없으면 이 세상 모든 것을 다 본다고 했다.

요산 지안 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7년 4월 제77호.

초기경전 (8)증일아함경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Ekottaragama-sutra)』은 4아함 중 비교적 후대에 편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역에는 두 가지의 번역이 있는데, 담마난제(曇摩難題, Dharmanad?)가 번역한 것과 승가제바(僧伽提婆, Samgha-deva)가 번역한 것으로 이 중에서 승가제바 역본이 주로 전해지고 있고 때로는 역자가 혼돈되기도 한다.

이 경은 석가모니의 교법을 법문의 수에 따라 정리·편찬하여 하나하나의 갈래를 더함으로써 이루어졌다는 뜻에서 증일(增一)이라 한다. 남전 5니가야 가운데 『중지부』에 해당한다. 우리는 흔히 『아함경』을 소승경전이라 하여 너무 소홀히 취급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미 언급했듯이 불경 가운데 가장 원형적인 경이 『아함경』이다. 그리고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에 담겨 있는 대승의 사상이 조금씩 싹트고 있는 것이 엿보인다. 대승경전에서 거의 공통적으로 말하고 있는 경전의 서사 공덕을 말한 부분이 있고, 또 세존의 설법은 가지가지이나 보살의 마음을 내어 대승으로 나아간다는 말이 나오는 구절이 있다.

특히 50권 52품으로 되어 있는 전체의 경문 가운데 18권 『사의단품(四意斷品)』 에는 “여래에게 네 가지 불가사의가 있다. 그것은 소승이 알 바가 아니다.”라는 한 구절이 있다. 이 경우 여러 가지 교훈들은 전부 생활의 지혜를 일깨우는 말들이다. 불교의 기본적인 교설이 인간의 심성을 바르게 가지는 기초 교양에서 시작된다. 이것은 인간생활의 보편타당한 도덕적 의미를 평범한 상식 속에서 드러내는 것이다.

사의단(四意斷) 법문에서 지극히 쉽게 가르치는 일상의 윤리는 인간 이상의 것도 인간 이하의 것도 아닌 것이다. 사의단(四意斷)이란 팔정도(八正道)와 함께 37도품/조도품1)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악을 그치고 선을 닦는 지악수선(止惡修善)의 선근(善根)을 심는 법문이다. 사정근(四正勤), 사정승(四正勝)이라고도 하는데 다음의 내용이다.

아직 생기지 않은 악은 방편을 구하여 생기지 않게 하고[未生惡令不生],

이미 생겨난 악은 방편을 구하여 빨리 없애고[已生惡令滅],

아직 생기지 않은 착한 법은 방편을 구하여 생기게 하고[未生善令生],

이미 생긴 착한 법은 방편을 구하여 더욱 많아지게 하여[已生善令增長]

이것을 마음에 잊지 않고 항상 닦아 나가라!

또 인간의 심성을 어둡게 만드는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은 비록 이것이 범부들의 생활에 보편화된 양상이긴 하지만, 이것은 지양되어야 하는 것이라 하여 탐(貪)·진(瞋)·치(癡)의 극복을 말씀하셨다. 왜냐하면 우리의 본래 심성은 청정한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계발하는 마음에 장애가 되기 때문이다. 또 부처님의 사람의 성격을 세 가지 비유로 설명하여 성내는 마음을 없애는 법을 설하는 대목이 있다.

이 세상에는 세 가지 부류의 사람이 있다. 바위에 새긴 글씨와 같은 사람과 모래에 쓴 글씨와 같은 사람 그리고 물에 쓴 글씨와 같은 사람이다. 바위에 새긴 글씨와 같은 사람이란 화를 내고 그 화가 오래 되어도 풀리지 않는 사람이니, 마치 바위에 새겨진 글씨가 오래도록 비바람에 지워지지 않고 남아있는 것과 같다. 모래에 쓴 글씨와 같은 사람이란 화를 내기는 하지만 그 화가 모래에 쓴 글씨처럼 오래 가지 않는 사람이다. 물에 쓴 글씨와 같은 사람이란 물에 쓴 글씨가 곧 흘러 자취가 없어지는 것처럼 남의 욕설이나 언짢은 말을 들어도 조금도 마음에 그 자취를 남기지 아니하고 화평하고 즐거운 기분으로 지내는 사람이다.

이와 같은 진심(瞋心, 성내는 마음)을 없애라는 말씀은 일상생활 속의 교양을 인격 속에 갖추어 어진 마음으로 살아가라는 법문이다. 옛날 우리나라 금강산에 홍도(弘道) 비구라는 스님이 살고 있었다. 수행을 잘하여 도를 깨칠 무렵이 다 되었을 때 소나무 밑에 앉아 좌선을 하고 있었다. 그때 바람이 불어 소나무 가지에 달렸던 솔방울이 떨어져 얼굴을 때렸다. 몸도 좋지 않았던 홍도 스님은 얼굴이 아파 자신도 모르게 화를 내었다. 이것이 잘못되어 이 스님은 공부를 이루지 못하고 얼마 후 죽게 되었다. 그런데 그후 그 스님 암자의 골짜기 밑에 있던 큰절의 후원 공양간에 이상항 일이 일어났다. 밥을 짓는 공양간의 잿더미에 큰 구렁이 한 마리가 나타나 꼬리에 물을 묻혀 글을 쓰는 것이었다. 재에다가 뱀이 꼬리에 물을 묻혀 글을 쓴 것이다. 그 글의 내용이 <홍도 비구 자계시>라 하여 지금도 절집안에 전해 내려오고 있다. 그 싯구 가운데 ‘성을 한 번 내어 뱀의 몸을 받았다.’는 말이 있다. ‘일기진심수사신(一起瞋心受蛇身)’이라는 문구가 들어 있는데 자기의 수도 실패가 솔방울에 얼굴을 맞아 화를 냈기 때문이라며 지금 큰절에 남아 수행하는 스님들은 나와 같은 실수를 저질러서 억울하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하라는 경책을 글로 썼다는 전설 같은 이야기이다.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주1) 열반의 이상경(理想境)에 나아가기 위해 닦는 도행(道行)의 종류를 말한다. 4념처(四念處)·4정근(四正勤·4여의족(四如意足)·5근(五根)·5력(五力)·7각분(七覺分)·8정도분(八正道分)이 해당한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념처(四念處: 네가지를 생각하는 것)에는 ①관신부정(觀身不淨: 몸은 깨끗 하지 않다고 보는 것) ②관수시고(觀受是苦: 감각작용은 괴롭다고 보는 것) ③ 관심무상(觀心無常: 마음은 영원하지 않다고 보는 것) ④관법무아(觀法無我: 모든 존재는 실체가 없다고 보는 것)가 해당하는데, 37조도품 가운데 첫번째 실천 수행 방법이다. (2) 사정근(四正勤: 네 가지를 바르게 정진하는 것)은 본문에서 설명된다. (3) 사여의족(四如意足: 네 가지의 뜻대로 만족하는 것)에는 ①욕(欲: 희원, 이렇게 하고 싶다고 바라는 것.) ②염(念: 기억, 마음에 분명히 새겨서 잊지 않는 것) ③진(進: 정진, 쉬지 않고 돌진하여 노력하는 것) ④혜(慧: 지혜, 바르게 사유하고 분별하여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는 것)가 해당한다. (4) 오근(五根)에는 ①신(信: 믿음) ②진(進: 정진) ③염(念: 기억) ④정 (定: 선정) ⑤혜(慧: 지혜)가 해당한다. (5) 오력(五力)에는 ①신(信: 믿음) ②진(進: 정진) ③ 염(念: 기억) ④ 정 (定: 선정) ⑤ 혜(慧 : 지혜)가 해당한다. 역(力)이란 근(根)이 증강되어 자신감이 넘침에 따라 장애가 생기면 그것을 퇴치할 수 있는 힘이다. 내용도 5根과 일치한다. (6) 칠각지(七覺支)에는 ①염(念: 기억) ②택(擇: 선택) ③ 진(進: 정진) ④ 희(喜: 환희) ⑤ 경안(輕安: 안정) ⑥ 정(定: 선정) ⑦ 사(捨: 희사) 가 해당한다. (7) 팔정도(八正道)에는 ①정견(正見: 바른 견해) ②정사유(正思惟: 바른 생각) ③ 정어(正語: 바른 말) ④정업(正業: 바른 행위) ⑤정명(正命: 바른 직업) ⑥ 정정진(正精進: 바른 정진) ⑦정념(正念: 바른 기억) ⑧정정(正定: 바른 선정)이 있다.

주2) <홍도 비구 자계시> – ‘강원도 금강산 돈도암 홍도 비구 설화’

다행히 부처님의 법을 만나고 사람의 몸을 얻어

오랜 세월 수행하여 성불이 가깝더니

송풍이 불어와 병든 사람 괴롭혀서

진심 한번 일으키고 뱀의 몸을 받았네.

천당과 불찰과 그리고 지옥도

오직 사람의 마음이 지은 바로다.

내 일찍 비구 되어 이 암자에 살았는데

지금은 뱀이 되어 그 한이 만 가지라

차라리 내 몸을 부수어 먼지를 만들지라도

다시는 이 마음에 진심을 내지 않으리

원하건대 스님께서 인간세상 돌아가시거든

나의 모습 이야기하여 뒷사람들 경계하소.

생각은 가득한데 입으로는 말을 할 수 없어서

꼬리로서 글을 써서 이 마음 알리노니

스님께서 베껴다가 벽 위에 걸어두고

진심이 날라치면 눈을 들어 한번 보소.

지안스님강의. 월간반야 2003년 4월 (제2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