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가는 길

사람마다 자기가 가는 길이 있다. 이는 오직 자기 혼자만 가는 길이다. 누구와도 동행이 불가능한 이 길은 기실 그 사람의 인생 자체라 할 수 있다. 이 세상에는 내가 둘이 없다. 나는 하나뿐인 오직 나이기만 한 것이다. 설사 비슷하다고 말 할런지 모르지만 어느 누구도 나를 모방하거나 흉내 낼 수도 없다. 왜냐하면 나는 나만의 나이기 때문이다. 석가모니가 태어나서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惟我獨尊)”을 외쳤다는 말처럼 유일무이한 나이기에 내가 가는 길 또한 하나뿐이다.

“장부에겐 스스로 하늘을 찌르는 뜻이 있으니 여래가 향한 곳을 향해 가지 말라(丈夫自有衝天志 莫向如來向處行)”고 하는 선가(禪家)의 유명한 격언이 있다. 오직 나만이 갈 수 있는 길을 찾아서 나 홀로 간다는 뜻이 들어 있는 말이다. 우리는 나를 너와 나의 상대적인 나라고 생각하지만 상대적인 입장에서는 나의 정체는 알아지지 않는다. ‘내가 누구인가, 나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남을 의식하면서 남과 비교하면서 하는 질문이 아니다. 자신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바로 알려면 우선 자아를 탐구하는 자기공부를 해야 한다. 자기공부란 거울을 통해 자기 얼굴을 보듯이 명상과 사색을 통해 조용히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이다. 거울을 통해서는 누구나 자기 얼굴을 볼 수 있지만 아무리 사색을 하고 명상을 해도 자기의 마음을 바로 아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한다. 바꾸어 말하면 나를 바로 알기가 참으로 어렵다는 것이다. 그릇된 망념이 마음에서 일어나 자기의 본래 순수한 마음 그대로가 보이지 않고 번뇌가 일어난 상태가 곧잘 보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사람은 감정을 가지고 살기 때문에 어떤 감정이 선입견이 되어 그 선입견에 감염된 상태의 마음을 자기 주관이라 하고 그 주관이 자기 존재의 근본이라고 착각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사상의 노예가 되거나 이데올로기의 추종자가 되어 자기의 정체를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자신에 대해 그릇된 확인을 해버린다. 자기 확인을 틀리게 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임에도 예사로 틀린 확인을 하고 따라서 틀린 주장을 내세우게 되는 어리석음을 범하게 된다. 마치 옥 아닌 잡석을 옥이라 하는 것처럼 가치의 전도를 초래해 참 진리에서 어긋나져 버리는 것이다.

불교의 수행에서 나를 목적으로 하여 수행한다고 한다. 우리는 세속적인 환경에서 어떤 목표를 세울 때 객관적인 어떤 상황이 성취되도록 노력을 기울여 그 결과가 객관적으로 나타나기를 원한다. 가령 부자가 되거나 자기의 지위가 높아지거나 하는 것들이 대외적으로 자기 존재를 의식하는 차원에서 있다. 그런 점에서 보면 나의 목적은 내 주위의 환경에 가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나는 항상 내 밖의 객관 대상에 어떤 목적을 두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수도적인 입장에서는 자기 자신에 대한 올바른 확인이 선행되지 않는 한 밖으로 구하고 다니는 것은 부질없는 짓이라고 보게 된다. 내 자신의 정체를 아는 것을 최우선의 과제로 삼는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내가 가는 곳은 내가 있는 곳이라는 은유적 표현을 쓴다. 이 말은 곧 내가 나를 찾아 간다는 것이다. 선 수행에 있어서는 이를 곧잘 고향 찾아가는 것에 비유하여 말한다. 오랜 세월을 객지에서 유랑하다가 어느 날 홀연히 고향 길을 밟았다고 오도의 순간을 묘사해 놓은 말들이 많이 전해진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의 길이 있다. 세속적 환경의 인연이 만들어준 길이 있는가 하면 자신을 자기답게 스스로 가꾸어 가는 길이 있다. 이 길은 영원히 가야 하는 길이다. 한 순간도 쉬지 않고 꾸준히 가고 가야 하는 길이다. 출발한 그 자리에서 출발한 그 자리로 돌아오는 길, 그래서 옛 사람들은 가도 가도 그 자리라고 하였다.

남아도처시고향(男兒到處是故鄕) 사나이 가는 곳이 고향인 것을

기인장재객수중(幾人長在客愁中) 얼마나 많은 사람 객수에 시달렸나

일성갈파삼천계(一聲喝破三千界) 한 소리 크게 질러 온 세상을 깨뜨리니

설리도화편편비(雪裏桃花片片飛) 눈 속에 복사꽃이 펄펄 날린다.

만해 한용운 스님의 오도송으로 알려진 시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3월 제52호

남겨 두는 일도 있어야 한다

사람이 일생을 살면서 하고 싶은 일이 수없이 많을 것이다. 개인의 능력과 소질에 따라 하고 싶은 일을 하여 성취감을 맛보는 것이야 말로 인생의 즐거움이라 할 수 있다. 부지런히 노력해서 성공을 거두기 위하여 정열을 바치고 사는 것이 인생이다.

세속적 환경에서 보면 하고 싶은 일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은 정상적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 할 수 없다. 설사 생산적인 노동의 일이 아니라도 취미를 즐기거나 유흥을 즐기고 싶은 야한 욕구도 하고 싶은 일에 속하는 것이다.

또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것은 매우 좋은 것으로 그 일로 인하여 행복을 느낄 수도 있다. 일이 없는 사람은 스스로의 마음이 쓸쓸해질 수밖에 없는 법이다. 할 일을 선택할 수 없는 경우는 스스로의 패배감을 맛보는 괴로움의 시련이 시작되는 일인 것이다. 일이란 삶의 에너지를 축적하고 방출하는 것이므로 인생이란 일을 위해 있는 것이다. 인도의 옛말에 “인생에 있어서 가장 소중한 것은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다.” 라는 말이 있다. 그리고 일은 개인이 갖고 있는 소망과 함께 있게 된다. 가야할 목적지가 있기 때문에 역에 가서 기차를 타거나 터미널에 가서 버스는 타는 것처럼 내 소망 때문에 내가 일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일하지 않고 놀고 먹는 것은 아무데도 보탬이 되지 못하는 마이너스 인생이라고 할 것이다. 톨스토이는 “일하지 않고도 살 수 있다고 일하지 않는 것은 죄악이다.”라고 말했다. 즐겁게 일을 하면 그것이 낙원이 되고 싫은 일을 억지로 괴롭게 하면 곧 지옥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일에도 공적인 일과 사적일 일이 있다. 공직에 종사하면서 하는 공적인 일은 사적인 개인의 입장에서 하는 일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사회생활에 있어 공사 관계는 사실 엄격히 구분되어야 하는 것이다. 사사로이는 수레가 통할 수 있지만 공적으로는 바늘귀만큼도 들어갈 틈이 없다고 하였다. 공사의 구분은 예로부터 사람의 인격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하였다. 공사를 가릴 줄 아는 것, 이것이 바로 일을 할 줄 아는 사람의 역량이 되는 것이다.

일은 욕심으로서 하면 안 된다. 또한 그릇된 생각을 가지고 일을 해서도 안 된다. 언제나 바른 생각 순수한 정신으로 일에 임해야 한다. 일에도 공경과 겸손이 있어야 한다. 객기 만용으로 하는 일은 성공하기 어렵다. 공리적 타산만 앞세워 하는 일은 설사 벌이에는 성공하였다 하드라도 일의 과정이 올바른 가치를 잃어버리기 때문에 실패하는 일이 되는 수는 얼마든지 있다. 내가 하는 일이 결과적으로 남에게 이로움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또 일은 할 때가 있고 그만 해야 할 때도 있다.

경제가 어려워 일자리가 없다는 산업현장의 안타까운 이야기가 사회적 불안마저 조장하고 있는 요즈음 무리한 일을 벌여서 오히려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얼마 전 종교인 가운데 가장 많은 존경을 받고 있는 사람 가운데 한 분인 어느 스님께서 불교계를 향하여 경제가 어려운 기기에 돈 드는 불사를 자제하여 중단하자고 호소한 적도 있다. 물론 가람 수호를 위하여 꼭 해야 할 불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지나친 외형 위주의 허장성세를 과시하는 불사들이 자행되는 경우도 있다. 개중에는 일을 하고 싶은 욕심 때문에 이기적 오버페이스를 하다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다.

인생은 여백을 남기고 살아야 한다는 말이 있다. 여백이란 호흡을 가다듬고 새로운 숨을 쉴 수 있는 정신적 공간이다. 하고 싶은 것을 자제하여 내가 다하지 말고 남이 하도록 남겨 두라는 말이다. 사람의 욕망이 한이 없는 점에서 보면 사람은 하고 싶은 일을 다 하고 살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마치 그림을 그리는 화가가 도화지에 여백을 남겨 두듯이 하고 싶은 일에도 때로는 내 자신을 위하여 여백을 남기고 남을 위하여도 할 수 있는 일을 남겨두라는 말이다. 이는 인간적 윤리 의식에서 하는 말로 몫을 남겨 두어 남에게 제공해 준다는 의미이다. 내가 앉아 있던 자리를 때가 되면 남에게 물려주어야 하는 것이 순리이듯이 사람은 자리를 떠날 준비와 함께 물려줄 준비를 하여야 한다. 사회적 공공관계에서도 이 일 저 일을 내가 다하여 업적을 남기고 싶어 하는 턱없는 공명심은 결코 아름다운 것이 아니다. 이기적 아집의 오점을 남기는 일 밖에 안 될 갓이다. 내가 앉아 있는 의자는 언젠가 누구에게 비워주어 앉게 해 주어야 하는 것이 인륜의 도리이다. 사람은 일을 하되 도리에 맞게 하여야 한다.

樂山 지안 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9년 3월 제100호

난실(蘭室)을 지어 놓고

지난 정초에 서울 봉은사와 대구에 있는 서봉사, 그리고 대원사 두 사찰에 정초기도 산림 법회를 다니며 8일 동안 법문을 하였다. 가끔 나는 법문해 달라는 청을 받아 가서 설법해 주고 거마비를 얻어 온다. 이를 나는 아르바이트 수입이라 생각하고 있다. 지난 정초기도 산림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난실을 하나 짓기로 하였다. 공사비가 예상보다 많이 들어 아르바이트 수입으로 다 충당되지는 못했지만 난실이 하나 생겨, 방에 있던 난분을 그리로 옮겨 두고 또 몇 개의 분을 사들여 놓기도 하였다. 동양금과 모과나무 등 꽃망울이 예쁘게 맺혀 있는 분재도 몇 개 사들여 놓고 요즈음은 하루에 몇 번씩 난실을 드나들며 감상을 하느라 정신이 없다.

어제는 극락암에 와 산철 정진을 하고 있는 무연수좌가 반야암 근처 숲속에서 꽃대가 예쁘게 솟아 있는 춘란을 발견하고 같이 보러가자고 하였다. 가보니 낙엽 속에 새파란 잎을 몰래 드러내고 꽃대를 숨긴 춘란이 세포기가 있었다. 잘됐다 싶어 당장 캐와 난실에 옮기려 하니 무연 수좌가 반대를 했다. “스님, 이거 캐지 말고 자생하는 그대로 두고 키우면 안 될까요?” 딴엔 옳은 말이긴 하나 내 생각에 난을 캐러 다니는 사람들의 눈에 띄어 누군가가 캐 가버릴 것 같아 난실에 옮겨 키우자고 했더니 그래도 무연 수좌는 캐는 것이 내키지 않아하는 눈치였다. 마침 포행 나왔던 극락암 수좌 두 명이 우리를 보고 오기에, ‘이 난을 캐야 하느냐 그대로 두어야 하느냐’를 놓고 의논했다. 결론은 3대 1로 누가 캐 가버릴지 모르니 캐서 난실로 옮겨 영축산 난을 영축산을 떠나지 않게 하는 것이 좋겠다고 결정을 보았다. 이리하여 난실의 식구가 또 하나 늘게 되었다.

큰절에 있을 때부터 나는 내 방안에 난을 몇 분씩 두고 지내왔다. 난을 좋아하는 정서적 취향 탓이긴 하지만 거제도에 커다란 난실을 만들어 평생을 난과 함께 살다간 고(故) 향파(香坡) 김기용 거사님을 알고 지낸 인연도 한 몫 하였다. 내게 난에 대한 상당한 지식을 가지게 해 주고, 손수 재배한 제주 한란 몇 분을 선물해준 인연으로 나도 한때 난에 매우 심취하기도 하였다. 또 절에 살다보니 가끔 난분을 선물 받는 일도 생겼다. 작년 가을 은해사 우리 대학원에서 전강식을 가졌을 때 축하로 보내준 난분이 많았고, 3년 전 입적한 전 총무원장 법장 스님께서도 생일 축하 난분을 보내준 적이 있었다. 문제는 이렇게 받은 난분들을 제대로 가꿀 수가 없어 여러 해 동안 꽃을 피워보지 못했다. 방안에 햇볕이 잘 들지 않음으로 일조량이 부족해서 꽃대가 올라오지 않는 것이었다.

그런데 어느 날 서재에 놓인 잎만 무성한 난을 바라보다가 문득 이런 생각을 하였다. 저 난분 몇 개가 여러 해 동안 꽃을 피워보지 못했다. 해마다 꽃을 피울 수 있는 식물이 꽃을 피우지 못한다면 역할의 장애를 받고 있는 것이다. 내가 꽃을 보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운 것이 아니라 저 난 자체가 꽃을 피워보지 못해 얼마나 안타까울까? 이런 생각을 하니 난이 꽃을 피우도록 도와주자는 생각이 드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내가 뭐 보살 10지 경계나 되는 대단한 이타원력의 보살정신을 발한 것이 아니라 단순한 생각전환이 일어나 난실을 지으려는 마음이 일어나게 된 것이다.

아르바이트 하여 책살 돈을 난실에 투자하였지만 요즈음 난실에 의자를 놓고 가만히 앉아 있으면, 한쪽 귀퉁이에 있는 난과 분재를 보면서 내가 경전을 보고 있다는 착각이 든다. 아니 이건 착각이 아닌 착각이다. 깊은 명상에 들어가면 꽃 속에서도 경전이 보이고 책 속에서도 꽃이 보인다. 책이든 꽃이든 간에 실제로 보이는 것은 마음의 그림자, 그림자 아닌 그림자를 내는 마음을 보면 된다. 마음을 보면 이 세상에 아무 것도 보이는 것이 없다고 했고 아무 것도 보이는 것이 없으면 이 세상 모든 것을 다 본다고 했다.

요산 지안 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7년 4월 제7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