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호스님─’고마운 마음을 연습해야 고마운 일이 생깁니다’

‘고마운 마음을 연습해야 고마운 일이 생깁니다’

-월호스님-

하루는 인근의 젊은 불자 부부가 찾아 왔습니다.

이런저런 대화를 하는 가운데, 맞벌이 부부의 애환을 듣게 되었습니다.

특히 아이를 키워주시는 어머니와 아이에게 항시 미안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는 말을 하는데, 얼굴에도 그러한 마음이 나타나 보였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당장 맞벌이를 그만둘 수 있는 형편도 아니었습니다.

이러한 경우, 미안한 마음을 갖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미안한 마음은 불편한 마음입니다.

불편한 마음을 갖고 있으면 우선 스스로가 불편하고, 또 그 상대방도 편하지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결국 아이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지요.

그렇다고 해서 당연한 마음을 갖는다면 그 또한 뻔뻔스러울 수 있으니 이 또한 좋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마음을 가져야 좋을 지 생각해 봅니다.

아마도 미안한 마음보다는 고마운 마음을 갖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마음은 방송국의 수신 안테나와 같아서 동일한 주파수를 끌어당기는 습관이 있습니다.

미안한 마음은 미안해 할 일을 끌어당깁니다.

그리고 고마운 마음은 고마워 할 일을 끌어당깁니다.

그러므로 미안한 마음을 연습하다보면 자꾸만 미안해할 일이 생겨나고, 고마운 마음을 연습하다 보면 자꾸 고마워할 일이 생겨나는 것입니다.

생각해 보십시오.

어떤 이가 나에게 항시 미안한 마음을 갖고 어렵게 대한다면, 내 마음인들 편하겠습니까? 아이도 마찬가지입니다.

자꾸 미안해하는 느낌이 전달되니까, 아이도 불편해서 오히려 미안스러운 일을 벌이게 되는 것입니다.

예컨대, 짜증을 내거나 자꾸 아프거나 하는 식 말입니다.

그렇지 않고 ‘그래 엄마가 항상 옆에 붙어있지 않아도 이렇게 잘 커주어 정말 고맙구나.’ 하고 생각한다면, 아이에게도 그러한 마음이 전달되기 마련입니다.

고마워하는 상대에게는 자꾸 고맙게 생각 할 일을 베풀게 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누구나 상대방의 기대심리에 부응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모든 대인관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가족이나 직장 상사, 동료 등 모든 이들에게 고마워하는 마음으로 대하다 보면 고마워할 일이 생겨납니다.

특별히 누군가가 나에게 고마운 일을 베풀었기 때문에 고마워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입니다.

하지만 지금 이 상황 그대로를 고맙게 생각함으로써, 실제로 고마워할 일이 생기도록 하는 것은 주인 된 자만이 할 수 있는 일입니다.

모든 일에 감사하십시오.

당신의 탄생도 당신의 삶도 당신의 죽음까지도 말입니다.

그러면 당신의 삶은 감사할 일로 충만해 질 것입니다.

– ‘언젠가 이 세상에 없을 당신을 사랑합니다’에서 –

월호스님─ 윤회 _ 해탈한 이의 삶은 흔적 없는 ‘완전 연소’

***윤회 / 해탈한 이의 삶은 흔적 없는 ‘완전 연소’ ***

월호스님

삼세 중 어디든 집착 한다면 찌꺼기 남듯 윤회 굴레 매여 불교라고 하면, 먼저 ‘윤회’라는 말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다.

심지어 불교는 윤회를 가르치는 종교라고 알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피상적 이해에 불과하다.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불교는 윤회로부터의 ‘해탈’을 가르치는 종교이다.

부처님께서 길을 가시는 도중, 특이한 능력을 가진 사람을 만났다.

그는 죽은 사람의 해골만 보고도, 그 사람이 살아생전 무슨 직업에 종사했는지, 어떻게 살다 어떻게 죽었으며, 다음 생에는 어디에 태어났는지, 정확히 알아맞혔다.

말 그대로 족집게였다.

어떠한 해골을 갖다 대어도 틀림이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한 해골 앞에서 그는 망연자실하게 되었다.

도저히 알아맞힐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 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해탈한 이는 살아서는 물론, 죽은 이후에도 자취를 남기지 않는다.

쉽게 표현하자면, ‘완전 연소’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완전 연소하게 되면 찌꺼기가 남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다음 생을 받지도 않는다.

윤회로부터 해탈한 것이다.

‘불완전 연소’하는 삶은 찌꺼기가 남는다.

화력은 시원치 않으면서 연기만 풀풀 나온다.

눈물, 콧물이 나오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심지어 죽은 이후의 해골에도 그러한 흔적이 남게 된다.

그래서 다음 생을 받게 된다.

윤회의 수레바퀴 속에서 돌고 도는 것이다.

결국 윤회는 불완전 연소하는 삶 때문에 생겨난다고 말할 수 있다.

마음이 과거ㆍ미래ㆍ현재의 어딘가에 머물거나 무언가에 애착한다면, 윤회하게 된다.

몸이 윤회하는 것이 아니다.

마음이 자신의 깜냥에 맞는 몸을 만난다고 보면 될까? 그래서 불교에서는 죽음을 ‘옷 갈아 입는다’고 표현한다.

부인이 넷이나 되는 남자가 있었다.

어느 날, 자신의 죽음이 머지않았음을 알게 된 그는 첫째로 사랑하고 애지중지하던 부인에게 죽음에의 동행을 요청했다.

하지만, 그녀는 냉정하게 거절하고 말았다.

상심한 그는 두 번째로 정을 나누던 부인에게 부탁했지만, 그녀 역시 ‘당신이 가장 아껴주던 부인도 안 가는데, 내가 왜 갑니까?’하고는 야멸차게 거절하였다.

세 번째로 아끼던 부인 또한, “성 밖까지는 전송하지요”하고는 거절하였다.

마지막으로 평상시에는 돌아보지도 않고, 관심조차 없던 네 번째 부인에게 요청하자, 그녀가 말했다.

“저는 당신이 가는 곳이라면 어디든 따라가겠습니다.” 여기서 첫 번째로 아끼던 부인은 몸뚱이를 말한다.

사람마다 제 몸을 사랑하는 것이 첫째 부인 이상이지만 죽을 때에 몸은 땅에 누워 따라나서려 아니한다.

둘째 부인은 재물이다.

죽을 때 재물은 세상에 남아 따라나서려 아니한다.

셋째 부인은 일가족과 친구 등이다.

살아있을 때는 서로 친근하지만 죽고 나면 성 밖 무덤까지 따라왔다가는 되돌아간다.

함께 무덤 속으로 들어가는 이는 없다.

넷째 부인은 사람의 마음이다.

마음이야말로 몸이 죽고 나서도 그대로 따라나서 윤회의 주체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윤회에서 벗어나 해탈할 수 있을까? 해탈이란, 풀 해(解), 벗어날 탈(脫), 즉 속박을 풀고 벗어난다는 의미이다.

3조 승찬스님이 물었다.

“누가 그대를 묶은 일이 있는가?” 4조 도신스님이 대답하였다.

“아무도 묶은 이가 없습니다.” 3조가 다시 물었다.

“그런데 어찌 다시 해탈을 구하는가?” 그런데 어찌 다시 해탈을 구하는가? 월호/쌍계사 강원 강사 -불교신문에서-

월호스님─ 발원 중의 발원 ‘법륜을 굴리겠습니다_’

발원 중의 발원, ‘법륜을 굴리겠습니다.’

-월호스님-

불교는 자각의 종교이다.

자각에 이르기 위해서 자력과 타력을 함께 쓴다.

자력과 타력을 함께 쓰는 비결이 있다.

그것은 바로 발원이라고 한다.

발원 중의 발원이 바로, ‘법륜을 굴리겠습니다.’이다.

‘법륜을 굴리겠습니다.’라는 발원을 세우면 5가지 공덕이 있다.

첫째는 인생의 목표가 바로 선다.

능동적인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구걸형에서 벗어나서 능동적인 삶을 살게 되는 비결 ! 둘째는 가피를 흠뻑 받는다.

셋째는 공부가 잘 된다.

넷째는 가족이 잘 된다.

다섯째는 열심히 살되 애착이 없게 된다.

열심히 살되 애착하지 않을 수 있는 비결이 여기서 나오는 것이다.

불교는 중도 사상이다.

그래서 누구나 자기의 가능성을 무한히 활용해서 써 나가는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열심히 살되 애착하지 않는다.

야~~~ 이거 쉽지 않을 것 같죠? 어떻게 열심히 살지만 애착하지 않을 수가 있느냐? 바로 법륜을 굴리겠다는 발원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왜냐? 일반적으로 사는 사람들은 나를 위해서, 내 가족을 위해서 열심히 산다.

그러나 이 발원을 세우면 열심히 살지만, 법륜을 굴리기 위해서 열심히 살기 때문에 저절로 무아법에 통달하게 되는 것이다.

나를 위해서 열심히 사는 것이 아니라, 법륜을 굴리기 위해서 열심히 사는 것이다.

밥을 먹는 것도 법륜을 굴리기 위해서, 잠을 자는 것도 법륜을 굴리기 위해서, 돈을 버는 것도 법륜을 굴리기 위해서, 일을 하는 것도 법륜을 굴리기 위해서, 이렇게 하다 보면, 저절로 무아법에 통달해진 참다운 보살이 된다고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