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십이장경>은 일상의 수행에 있어서 지극히 중요한 덕목을 간추려 설해 놓은 경전이다. 특정 부류의 곧 출가자나 재가자를 구별해서 설한 것이 아니고 모든 인간의 일상적인 생활 교훈을 하나하나 사례를 들어가면서 설하고 있다. 더욱이 소승적인 차원을 넘어 자비와 인욕의 행을 설하고 보시를 권장하며 참회를 강조하는 대승적인 수행 정신을 알기 쉽게 설해 놓고 있다.
부처님께서 복은 항상 자비를 베푸는 데 있으며 남을 해치려고 하는 것은 도리어 화를 가져온다고 하시면서, 악한 자가 어진 자를 해치려는 것은 마치 하늘에 대고 침을 뱉는 것과 같다고 말씀하신다. 사람들이 불도를 배우기 위해 힘써서 중생들을 널리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며 덕을 베풀고 재물을 베풀어주는 착한 일을 한다면 얻는 복이 한없이 클 것이라고 설했다. 설사 남이 악으로 대하더라도 자기는 선으로써 대하라고 가르쳤다. 깨달음의 길을 생각하여 순간도 쉬지 말 것이며 흡사 뗏목이 강의 양쪽에 닿지 않고 흐르듯이 수행해 가야 한다고 하시면서 중도의 실천도 강조한다.
또한 부처님은 수행에도 자기의 근기에 맞게 하는 조현지법(調絃之法)이 있다고 하면서 극단으로 흘러가는 것을 경계하라 하였다. 조현지법이란 거문고 줄을 알맞게 조여 놓고 곡조를 연주해야 제 소리가 난다는 것이다. 너무 느슨하게 해 놓으면 거문고의 소리가 제대로 나지 않으며 또 너무 팽팽히 조여도 소리가 제대로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줄이 끊어질 위험이 있다 했다. 여기서 중도(中道, Madham ma- pratipad)라는 말씀을 하였다.
이 중도의 뜻이 불교 수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불교를 사상적으로 표현할 때 중도사상이라 하기도 한다. 대승소승을 막론하고 중요시되는 불교의 근본 입장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중도이다. 중도란 치우치지 않은 중정(中正)의 도(道)란 뜻으로 곧 양극단에 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물론 이 중도설은 불교의 각 종파와 경전에 따라서 약간씩 다른 방법으로 설해지기도 한다. 가령 {아함경}에서 설해지는 팔정도(八聖道)의 실천에 있어서는 쾌락주의와 고행주의의 어느 한쪽에 치우친 생활태도를 버리고 중도에 의하여 지혜를 완성하여 열반을 얻으므로 팔정도를 중도라 한다. 또 12연기의 진리를 옳게 이해하는 것은 常見(중생의 생명의 주체인 아(我)는 영원히 존속한다는 생각)과 斷見(사후에 아무것도 없는 滅無로 돌아간다는 생각) 또는 有無에 치우친 생각에서 떠나는 것을 중도라 했다.
또 대승의 중관파(中觀派)에서는 반야바라밀을 근본 수행으로 삼으면서 모든 집착과 분별을 떠난 공해진 경지의 무소득 상태에 있는 것을 중도라 한다. 또 중국의 천태사상에 있어서는 삼관(三觀)을 설하면서 공으로 보는 관점인 공관(空觀)과 현상의 가상을 기준하는 가관(假觀)에서 공관·가관을 함께 초월하면서 ‘공(空)’이 ‘가(假)’이고 ‘가(假)’가 ‘공(空)’인 양변을 회통하는 것을 중관(中觀)이라 하며 이것이 곧 중도라 한다. 우리 불교인들이 잘 알고 있는 {반야심경}의 색불이공(色不異空) 공불이색(空不異色)은 곧 색이 공과 다르지 아니하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아니하다는 중도의 사상을 설한 말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의 낙을 버리는 것이 중도라 하기도 하고 이것을 부처님의 근본법륜의 중도대의라고도 한다.
세상에는 두 변이 있으니 가까이하지 말지니라. 첫째는 애욕을 탐하여 욕망은 허물이 없다고 말하는 것이요 둘째는 사견으로 형체를 괴롭혀 도의 자취가 없는 것이니라. 이 두 변을 버리고 곧 중도를 얻느니라. 비구들이여! 세상에 두 변이 있으니 출가자는 가까이하지 말지니라. 무엇을 둘이라 하는가? 첫째는 온갖 욕망으로 애욕에 탐착하는 일은 하열하고 비천하여 범부의 소행이요 현성(賢聖)이 아니고 의에 상응하지 않는다. 둘째는 스스로 번뇌하고 고뇌하는 일은 고로움으로써 현성이 아니고 의에 상응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여래는 이 두 변을 버리고 중도를 바르게 깨달았느니라.
한전의 『오분율가』, 남전의 『율부』에 나오는 부처님 말씀이다. 이것을 부처님의 ‘중도대선언(中道大宣言)’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지안스님 강의. 월간반야 2004년 1월 제3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