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행원품 (19) – 중송분 1

<경문>

그때 보현보살마하살이 거듭 이 뜻을 말씀하시고자 널리 시방을 살펴보시고 게송을 설하였다.

시방세계 안에 있는 삼세 모든 부처님께

내 몸과 말과 생각을 깨끗이 하여

빠짐없이 절을 하여 쉬지 않으리.

보현의 행과 원의 위신력으로

제불 전에 수많은 몸 널리 나타내고

한 몸에 다시 먼지 수의 많은 몸을 나타내어서

먼지 수의 부처님께 예배하리라.

한 티끌 속에 티끌 수의 부처님 계셔

각기 보살 무리 함께 처하고

다함없는 법계의 티끌에도 모두 그러해

부처님 가득함을 깊이 믿어서

각각 일체 음성으로 다함없는 미묘한 말을 내어서

끝없는 미래 겁이 다할 때까지

깊고 깊은 부처님 공덕 찬탄하리라.

가장 좋고 미묘한 꽃과 꽃다발

노래하는 악기와 바르는 향과 우산의 종류

이와 같은 제일가는 장엄구로써

내 모든 여래께 공양 올리고

가장 좋은 의복이며 가장 좋은 향

가루로 된 향과 태우는 향 그리고 등불과 촛불

하나하나 그 모두를 수미산만큼

내가 모두 여래께 공양 올리리.

내 넓고 큰마음으로 훌륭히 이해해

과거 현재 미래 부처님을 깊이 믿어서

모두 보현의 행과 원의 힘을 다하여

빠짐없이 부처님께 공양하리라.

<풀이>

시를 읊듯이 설하여 운문체로 표현된 것을 게송이라 한다. 12부 경문의 체제 가운데 ‘가타(伽陀)’와 ‘기야(祇夜)’가 그것이다. 산문체 형식으로 설해진 장행의 내용을 거듭 요약하여 겹쳐 설하는 것이 ‘기야’로, 응송(應頌), 혹은 중송(重頌)이라 번역한다. 반면에 장행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설해진 것은 ‘가타’라 하며, 고기송(孤起頌), 혹은 부중송(不重頌)이라고 번역한다. 보현의 십종대원을 기야로 다시 요약 설하는 대목이다. 같은 내용도 문장의 형식에 따라 느끼는 감동이 달라질 수 있다. 시를 좋아하는 사람은 게송에서 더 진한 감동을 느낄 것이다. 사실 불교 경전 전체가 위대한 문학작품이다. 특히 《화엄경》은 일대 로망대서사시라 할 수 있는 경전이다. 인간의 의사를 표현하는 말과 글은 감동의 효과가 클수록 감화력이 커지므로 언어가 가지는 생명력의 차이가 있다고 하는 것이다. 똑같은 말이라도 누가 설했느냐의 설주에 따라 의미의 무게가 달라지는 것이다. 더구나 부처님의 말씀은 모두가 삼매에서 나온 지혜의 말씀이다. 번뇌와 망상 속에서 나오는 말씀이 전혀 아니다.

언제나 한결같은 마음으로 부처님께 예배하고 찬탄하고 공양하는 것은 부처님을 섬기는 기본자세다. 나아가 부처님을 섬기는 이 기본자세가 기실은 인간 상호에 적용되는 삶의 태도이다. 태도가 좋아야 성숙된 삶을 살 수가 있다. 서툴고 미숙한 삶을 사는 것은 범부요, 현인이나 성인의 삶은 성숙된 인간성이 발휘되므로 공경과 덕을 베푸는 마음 씀이 인색하지가 않는 것이다. 예배는 생명의 공경을 나타내는 행위며, 찬탄은 남을 높여줄 때 내 자신의 도덕이 높아지는 것이며, 공양은 뜻이 통해지는 화목한 사이를 만드는 최상의 방편인 것이다. 열 가지 행원 중에 이 세 가지 행원이 닦아지면 부처의 마음이 길들여진다.

일반적으로 불교의 신앙 정서를 네 가지로 설명한다. 귀의하는 마음, 찬탄하는 마음, 참회하는 마음, 발원하는 마음이다. 사찰에서 기도를 할 때 필수적으로 독송하는 천수경이 있는데, 이 천수경의 내용이 귀의, 찬탄, 참회, 발원으로 되어 있다. 사람이 누구나 태어난 고향에 대한 향수를 가지듯이 자신의 영혼에 대한 향수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상도 할 수 없는 감상이 영혼 깊숙이 울려 나올 때 비로소 내 영혼의 활동은 시작되는 것이며, 이 활동을 준비하는 것이 귀의하고 찬탄하고 참회하고 발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교에서 내세우는 기도는 자기 영혼을 순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2장경』에는 이런 말이 있다. “마음의 때가 다하면 영혼이 오고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육체의 활동은 제한적이지만 영혼의 활동은 무한한 것이다. 우리들의 기도는 잠자는 영혼을 일깨우는 일이다. 어느 시인은 말하기를 “일생에 기도를 한번도 해 본 일이 없는 사람은 이 세상에 태어나서 한 번도 꽃을 본 일이 없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11월 제60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