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수투조사관(參禪須透祖師關)이요
묘오요궁심로절(妙悟要窮心路絶)이니라
참선은 모름지기 조사관을 뚫어야 하고
묘오는 반드시 마음길이 끊어져야 하느니라.
조사관이란 필경 뚫어야만 하는 것이다. 깨달아 놓고 보면, 없다면 없는 그놈이 그대로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그대로 없어지고 말면 될 것인가. 없는 것에 갖추었으면 있는 것에도 그대로 갖추어 버리는 것이다. 말로 표현하자니 이렇게 밖에는 할 수가 없다.
만공 스님 당시 각 회상에서 논란된 바 있는 ‘소당파(燒堂婆)’라고 하는 공안이 있는데,
어떤 암주가 공부를 하는데 시주 노파 한 분이 그 스님을 20년간 양식을 정성껏 대어드렸다. 20년이 다된 어느 날, 그 노파는 암주 스님의 공부가 얼마나 되었는지 시험해 보려고 자기의 예쁜 딸을 보내면서 말하기를, “네가 가서 그 스님을 꼭 껴안고, <스님! 이러한 때 어떻습니까?>라고 물어보아라.” 하였다.
딸은 어머니가 시킨대로 하였더니 그 암주가 답하기를, “고목이 찬 바위에 의지하니 삼동에 따뜻한 기운이 없다.(枯木倚寒岩 三冬無暖氣)” 라고 하였다.
딸은 그대로 어머니께 전했다. 노파는 그 말을 듣고는 바로 암주의 패궐(敗闕)을 알아차리고 토굴로 가서 “내가 저런 속한이한테 20년간 양식을 대었구나!” 하고는 암주를 쫓아내고 암자를 태워버렸다.
어째서 그 노파는 그렇게 청정하게 지내온 암주를 속한이라고 했을까? 암주는 어째서 속한이를 면치 못하고 쫓겨나야만 했겠는가, 이 무슨 연고인가? 이것이 공안인 것이다.
여기에 대한 답을 그 당시 큰스님들께서 모두 한마디씩 하셨지만 일일이 다 적을 수는 없고 몇 개만 적어보면, “원앙이 녹수(綠水)를 만났다.” “직접 경계를 쓰겠다.” “배필이 되어 살겠다.” “할을 하겠다.” “방을 쓰겠다.” 등의 답이 있었다.
그렇지만 이 공안에는 ‘할’도 ‘방’도 소용없는 것이다. ‘방’ 내릴 때 벌써 속인이 되어버린 것이고, ‘할(喝)’할 때 계행은 파한 것이다. 위에 적은 어떤 답도 속한을 면치 못하는 것이다.
대승계는 부처님께서도 범하지 않고서는 설하지 못하는 법이다. 이 공안이 대승계를 판단하는 공안인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답을 조금이라도 지체하며 찾다가는 벌써 파계승이 되어 버리는 것이니, 함부로 여기에 대해서 입을 열 수가 있을까? 이러한 공안에 눈이 어두워 가지고서야 어찌 중생에게 대승계를 함부로 설하겠는가?
큰스님네께서 이르신 답이 많이 있었지만 나로서는 “아닙니다.”라고만 하여 왔다. 여러 번 답을 이르라는 요청도 받았지만 답할 것이 따로 있지, 이와 같은 공안에 함부로 답을 할 것인가. 미래 학자들을 살리기 위해서 오늘날까지도 끝내 답을 이르지 않았다.
금봉 스님께서는 돌아가실 때까지 한번 일러 달라고 말씀하셨지만 일러 드리지 않았다. 지금은 금봉 스님마저 돌아가셨으니 누구에게 일러 볼 것인가, 죽어 황천에 가서 염라대왕에게나 일러볼까?
공부하는 학자들이여! 확연(廓然)한 뒤에 한 번 찾아오면 그때는 산승이 더불어 탁마하리라.
만공 스님 회상에 있다가 혜월 스님 회상으로 간 정운암(鄭雲庵) 스님으로부터 <삼세심을 다 얻을 수가 없는데 어느 마음에다 점치겠습니까? (三世心 都不可得 點何心)>라는 공안을 만공 스님 회상으로 물어왔던 것이다.
이 공안은 금강경 대강사로 큰소리치던 주금강(덕산스님)이 <경에는 삼아승지겁(三阿僧祗劫)을 닦아서 성불한다고 하였는데 남방에서 ‘바로 사람 마음을 가리켜 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하게 한다’ 하니, 이런 외도놈들을 혼내주리라.>하고 남방으로 가다가 마침 시장기가 들어 점심을 먹으러 어떤 주막에 들어갔다.
주인 노파에게 점심을 부탁하니 노파가 주금강을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스님, 짊어진 것이 무엇입니까?” 하고 물으니
주금강은 대답하기를 “금강경소초(金剛經疏抄)입니다.” 하니,
“아! 그렇습니까? 그러면 금강경에 <과거심도 얻을 수 없고, 현재심도 얻을 수 없고, 미래심도 얻을 수가 없다>고 했는데, 점심을 달라 하시니 스님은 어느 마음에 점을 치실려고 합니까? 이것을 바로 일러야 점심을 드리겠습니다.” 하니
꽉 막혀 한마디 말도 못하고 점심도 못 얻어먹고 그냥 돌아설 수밖에 없었다.
노파의 지시로 용담 스님을 친견하고 방장에 밤늦도록 있다가 나오는데 밖이 깜깜하였다. 용담 스님이 촛불을 켜서 주금강에게 주자 주금강이 받으려고 할 때 훅 꺼버렸다. 순간 주금강은 활연대오 하였다.
그런데 이 공안에 대해서 만공 큰스님께서 답을 하시되, “과거 위음왕불(威音王佛) 이전에 점심을 먹어 마쳤느니라.” 하시고는 엽서에 써서 보낼려고 하셨다.
그때 보월 스님께서 그 답을 보시고는 “큰스님 죄송합니다만……” 하며 성냥불로 태워버리고 그냥 나가버리셨다.
만공 스님께서는 그 자리에 정좌하신 채 꼼짝도 하시지 않고 일주일 간 용맹정진 하셨다. 칠일만에 큰 소리로 “보월아! 내가 자네한테 십 년 양식을 받았네.” 라고 하셨다.
그리고는 두 스님간에 밀계(密契)가 있은 후 보월 스님께서 이 답을 쓰시되, <호서를 등지고 영남으로 향하는 것은 심중에 남은 의심을 끊지 못하더니 여금에도 남은 의심을 끊지 못하였구나. 본 뒤에 소각하고 다시 남은 의심을 끊을 지어다. (背湖西向嶺南 心中不絶餘疑 如今不絶餘疑 見後燒却 更絶餘疑)> 이렇게 쓰셨는데 만공 스님께서 이 답을 보시고는 점두하시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