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불교의 근본 원리

일체 만법이 나지도 않고
일체 만법이 없어지지도 않나니
만약 이렇게 알 것 같으면
모든 부처님은 항상 나타나는도다.

이것은 “화엄경”에 있는 말씀인데 불교의 골수입니다. 결국 팔만대장경이 그렇게 많고 많지만 한마디로 축소하면 ‘불생불멸’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불생불멸은 불교의 근본원리로서, 부처님이 깨치신 것이 바로 불생불멸입니다. 그래서 이것을 자세하게 설명하면 팔만대장경이 다 펼쳐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보통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면 세상 만물 전체가 생자필멸입니다. 난 자는 반드시 없어진다는 말입니다. 생자는 필멸인데 어째서 모든 것이 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는다 하셨는가? 그것은 빨간 거짓말이 아닌가? 당연히 그런 질문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세상에 생자필멸 아닌 것이 무엇이 있습니까? 무엇이든지 났다고 하면 다 죽는 판입니다. 그런데 부처님은 모든 것이 다 불생불멸이라고 하신 것인지, 이것을 분명히 제시해야 안 되느냐 말입니다. 그것도 당연합니다.

이것을 참으로 바로 알려면 도를 확실히 깨쳐서, 일체가 나지도 않고 일체가 멸하지도 않는 이 도리를 바로 알면 그때는 아무 관계가 없습니다. 그렇게 되기 전에는 누구든지 의심 안 할래야 할 수 없습니다.

모든 것이, 일체 만법이 불생불멸이라면 이 우주는 어떻게 되는가? 그것은 상주불멸입니다. 그래서 불생불멸인 이 우주를 불교에서는 상주법계라고 합니다. 항상 머물러 있는 법의 세계라는 말입니다.

그래서 이것을 바로 알면 불교를 바로 아는 동시에 모든 불교 문제가 다 해결되는데, 이것을 바로 모른다고 하면 불교는 영영 모르고 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누구든지 모두 다 산중에 들어와서 눈 감고 앉아 참선을 하든지 도를 닦아 결국에는 깨쳐야지 안 깨치고는 모를 형편이니 이것도 또 문제 아니냐, 그것도 당연한 질문입니다. 그런데 설사 도를 깨치기 전에는 불생불멸하는 이 도리를 확연히 알지 못하더라도, 요즘은 과학만능시대이니 이것을 과학적으로 좀 근사하게 풀이를 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불생불멸이 과학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

자고로 철학도 종교도 참 많지만 불생불멸에 대해서는 불교와 같이 이토록 분명하게 주장한 철학도 없고, 종교도 없습니다. 그래서 이 불생불멸이라는 것은 불교의 전용이요, 특권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과학이 자꾸 발달되어서, 요즘은 불교의 불생불멸에 대한 특권을 과학에게 빼앗기게 되었습니다.

어때서 빼앗기게 되었는가?

과학 중에서도 가장 첨단과학인 원자물리학에서 자연계가 불생불멸의 원칙 위에 구성되어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하는 데 성공해 버린 것입니다. 말이 좀 어렵게 되는 것인지 모르겠는데, 이 이론을 처음으로 제시한 사람이 아인슈타인(A. Einstein)입니다.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에 등가원리라는 것을 제시했습니다.

이 자연계는 에너지와 질량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전 물리학에서는 에너지와 질량을 두 가지로 각각 분리해 놓고 보았습니다. 그러나 등가원리에서는 결국 에너지가 곧 질량이고, 질량이 곧 에너지입니다. 서로 같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 이전에는 모든 자연현상을 에너지는 에너지 보존 법칙, 질량을 질량불변의 법칙을 가지고 설명했는데, 요즘은 에너지와 질량을 분리하지 않고 에너지 보존 법칙 하나만 가지고 설명을 하며, 또 하나밖에 없습니다.

즉 질량이라는 것은 유형의 물질로 깊이 들어가면 물질인 소립자이고, 에너지는 무형으로 운동하는 힘입니다. 유형인 질량과 무형인 에너지가 어떻게 전환할 수 있는가? 그것은 상상도 못해 보았던 일입니다.

50여 년 전 아인슈타인이 등가원리에서 에너지와 질량 두 가지가 별개가 아니고 같은 것이라는 이론을 제시하였을 때 세계의 학자들은 모두 다 그를 몽상가니 미친 사람이니 하였습니다. 그런 이론, 즉 에너지와 질량이 어떻게 같을 수 있는가 하고.

그래서 아인슈타인이라는 사람이 미친 사람이 아니고 함부로 말하는 사람이 아닌 만큼, 학자들이 수십 년 동안 연구하고 실험에 실험을 거듭한 결과 마침내 질량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 성공의 첫 응용단계가 원자탄, 수소탄입니다. 질량을 전환시키는 것을 핵분열이라고 하는데, 핵을 분열시켜 보면 거기에는 박대한 에너지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때 발생되는 에너지, 그것이 천하가 다 아는 원자탄d니 것입니다. 이것은 핵이 분열하는 경우이고 핵이 융합되는 경우도 그렇습니다. 수소를 융합시키면 헬륨이 되면서 거기에는 박대한 에너지가 나온다고 합니다. 이것이 수소탄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든 저렇든 그전에는 에너지와 질량을 완전히 분리하여 별개의 것으로 보았던 것입니다만, 과학적으로 실험한 결과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한다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원자탄이 되고 수소탄이 된다는 말입니다. 미국의 유명한 물리학자인 앤더슨(C. D. Anderson)이 그런 실험에 처음으로 성공한 사람인데, 그는 에너지를 질량으로 또 질량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실험에 성공하였습니다. 그러나 그 실험은 광범위하지 못하였습니다.

그후 이탈리아의 학자로서 뭇솔리니에 쫓겨 미국에 가서 산, 세그레(Emilio Segre)라는 유명한 학자가 있었습니다. 그 사람은 여러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여러 형태의 각종 에너지가 전체적으로 질량으로 전화되고, 또 각종 질량이 전체적으로 에너지로 전환되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그래서 자연계를 구성하고 있는 근본요소인 에너지와 질량이 불생불멸이며, 부증불감이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자연계는 어떻게 되는가? 자연계, 즉 우주법계라는 것은 근본적으로 봐서 에너지와 질량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을 만큼 에너지가 질량이고 질량이 에너지여서, 아무리 전환을 하여도 증감이 없으며 불생불멸 그대로입니다. 이렇게 하여 우주는 이대로가 불교에서 말하는 상주불멸이 안 될래야 안 될 수 없습니다.

그러면 아인슈타인의 등가원리가 없었으면 불생불멸이라는 것은 거짓말인가? 그것은 아닙니다. 부처님께서는 3,000년 전에 진리를 깨쳐서 이루 말할 수 없는 혜안으로 우주 자체를 환히 들여다 본 그런 어른입니다. 그래서 일체 만법 전체가 그대로 불생불멸이라는 것을 선언하였습니다.

그러나 보통 사람들은 그런 정신력을 갖지 못했기 때문에 3,000여 년 동안을 이리 연구하고 저리 연구하고 연구와 실험을 거듭한 결과, 이 자연계를 구성하고 있는 근본요소인 에너지와 질량이 둘이 아니고 질량이 에너지이고 에너지가 질량인 동시에 서로 전환하며 증감도 없으므로, 부처님이 말씀하신 그 불생불멸의 원리가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버린 것입니다.

그러니 원자물리학이 설사 없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사람들이 이해를 못 해서 그런 것이지 부처님이 본시 거짓말할 그런 어른이 아닙니다. 요즘은 그냥 불교원리를 이야기하면 ‘너무 어려워서 알 수 없다’는 말을 많이 하기 때문에, 내가 한 가지 예로서 불교의 근본원리인 불생불멸의 원리를 상대성 이론, 등가원리로써 입증하여 설명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불교라는 것은 허황한 것이 아니고 거짓말이 아니고, 과학적으로도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냐 하는 것입니다.

흔히 또 이렇게도 말합니다. 불교란 것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없지만 말을 들어보자면 너무 높고, 너무 깊고, 너무 넓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현실적으로는 거짓말 같고 허황하여 꼭 무슨 번갯불에 콩 구워 먹는 식으로 접근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지금 내가 설명한 바와 같이 불교의 근본원리인 불생불멸, 이것이 상대성이론에서 출발하여 현대 원자물리학에서 과학적으로 완전히 증명이 되어 버린 것입니다. 그런데도 이 불교원리가 현실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해서는 곤란한 것입니다. 이처럼 과학이 발달함에 따라 불교이론을 모두 증명해 준다고 하기에는 이르지만 불교원리를 설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고, 또 현대물리학이 불교에 자꾸 접근해 오고 있는 것만은 사실입니다.

우리 불자들은 이런 훌륭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만나게 된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하고 더욱 힘써 정진합시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