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겨울, 한국전쟁이 한참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을 때였다.
피난지 부산은 말 그대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었다.
마지막 보루로 남은 부산으로 수많은 피난민들이 너도나도 모여든
때문이었다.
마지막 피난지 부산으로 모든 피난민이 모여들자 먹을 것,
잠잘 곳이 턱없이 모자랐다.
나라의 운명이 풍전등화요, 모든 백성들의 형편이 아사직전에
이르니 사찰의 형편이라고 예외일 수가 없었다.
더더구나 왜색 대처승들이 사찰의 운영권을 손에 쥐고,
청정 독신 비구승들은 대처승들로부터 양식을 얻어먹고 사는
지경이었으니, 부산 동래 금정산 범어사의 선방인 청풍당의
살림도 말씀이 아니었다.
그런데도 조실 동산 스님은 ‘오는 사람 막지 않고,
가는 사람 붙잡지 아니한다’면서 누구나 수행하겠다고 찾아오면
무작정 받아주시는 바람에 10여명 내외였던 청풍당 식구가
무려 84명에 이르고 있었다.
그러니 당장 그 많은 식구 먹는 것이 큰 문제였다.
그러나 동산 스님은 천하태평이었다.
“걱정할 것 없다. 수행자가 굶어죽었다는 소리 들어본 일 없고,
수행자가 얼어 죽었다는 소리도 들어본 일 없다.”
“양식이 모자란데 어쩌란 말씀입니까?”
“양식이 모자라 밥을 짓지 못하겠으면 물을 더 붓고
죽을 쑤어 먹으면 된다.”
“그럼 반찬은 또 무엇을 먹입니까?”
“그 걱정은 말고 나를 따라 오너라.”
동산 스님은 성큼성큼 걸어서 김장독 앞으로 가시더니
김장독을 열고 김치를 한쪽 꺼내보라고 명했다.
제자가 스님께 김치 한쪽을 올렸는데 직접 맛 보시더니
야단부터 치셨다.
“김치를 이렇게 싱겁게 담그면 어쩌자는 게냐?”
“아입니더 스님. 이 김치는 짜거운 편입니더.”
“인석아, 전쟁이 끝나려면 아직 멀었어. 그리고 피난 올 스님들이
앞으로도 많을 것이야. 이런 싱거운 김치로는 올겨울 못 넘긴다.
김칫독에 소금 한 그릇씩 더 넣도록 해라.”
이렇게 해서 청풍당의 그해 겨울 김치는 그야말로
‘소금 할아버지’가 되어버렸다.
그러나 앞날을 내다보신 동산 스님의 혜안 덕분에 피난 내려 온
수많은 스님들이 범어사 청풍당에서 한겨울을 무사히 지낼 수 있었다.
6.25전, 범어사 청풍당의 겨울안거가 끝난 날이었다.
한 수좌가 동산 스님에게 급히 달려 와서 다급하게 고했다.
“스님, 큰일 났습니다. 큰 스님께서 가보셔야겠습니다.”
“무슨 일인데 그러느냐?”
“큰 스님 시봉을 들던 영기 수좌가 법광(法狂)을 일으킨 것
같습니다.”
“뭐라? 영기가 법광을 일으켰어?”
동산 스님의 시봉을 들던 영기라는 수좌가 있었다.
동산 스님은 영기에게도 참선수행의 기회를 주기 위해 지난
겨울안거 동안 한철 참선수행을 하도록 허락했었다.
그런데 바로 그 영기 수좌가 ‘눕지 않고 잠자지 않는’
용맹정진을 하다가 그만 실성을 해서 미쳐버렸다는 것이었다.
불가에서는 참선수행을 하다가 도가 지나쳐 제정신을 잃고
미쳐버리는 것을 ‘법광’이라고 불렀다.
실성한 제자 업고 고향으로
동산 스님이 선방으로 가보니 과연 영기 수좌는 제정신이
아니었다.
조실 스님이나 앉으시는 선방 어간에 떡 버티고 앉아서
선참수좌들에게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며 삼배를 올리라고 하는
것이었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영기는 스스로 도를 깨달았다고 외치면서 껄껄 웃다가 흐느껴
울다가 하는 짓이 가관이었다.
그러나 영기의 법세는 며칠이 지나도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그 증상이 갈수록 심해져 자칫 하다간 큰 불상사를 일으킬
것만 같았다.
별수 없이 대중공사를 벌인 끝에 영기수좌의 병이 하루 이틀에
나을 것 같지 않으니 그의 속가로 보내기로 했다.
모두들 반대했지만 동산 스님이 스스로 그 아이를 데리고 영기의
속가에 가겠다고 나섰다.
“절에서 병이 들었으니 내가 가서 속가 부모님들에게 사죄를
드리는 게 도리이다. 자, 영기야. 나하고 함께 너희 집으로 가자.”
제자들이 한사코 반대했지만 동산 스님은 기어이 실성한 영기를
데리고 범어사를 떠났다.
그리고 며칠이 지난 뒤, 동산 스님은 무릎이 깨지고 여기저기
피멍이 든 채 돌아오셨다.
“도대체 어떤 일이 있으셨기에 이처럼 온 몸을 다치셨습니까?”
“아, 영기 그녀석이 냇물을 건널 적에 날더러 저를 업어서
건너라는 게야. 그렇게 하지 않으면 집에 안가겠다고 버티면서…..
그러니 별수 없이 내가 그 녀석을 업고 냇물을 건너는데,
냇물 한가운데서 그 녀석이 발광을 하는 통에 그만 물속에 나뒹굴어
이 지경이 되었구나. 그래도 내가 직접 집에 데려다 주었으니
그나마 마음이 덜 아프다.”
상처를 냈으니 소금까지…
1964년의 봄이었다.
동산 스님은 종원 수좌와 원명 시자를 데리고 속리산 법주사
복천암에 잠시 머물고 계셨는데 다음날 법주사에서 미륵부처님
점안식을 올리기로 되어 있었다.
“얘 종원아, 내일 법회가 있으니 내 머리 좀 깎아줘야겠다.”
“예 그러지요 스님.”
종원 수좌가 조심조심 삭도질을 시작했다.
그런데 너무 긴장해 조심조심 하다가 오히려 손이 떨리는 바람에
동산 스님의 머리에 상처를 내고 말았다.
날이 선 삭도가 스님의 머리에 여지없이 상처를 냈으니, 피가 번져
흐르기 시작했다.
종원 수좌는 떨리는 손길로 스님의 상처에 수건을 갖다대며 사실대로
고하였다.
“저..스님, 제가 그만 잘못해서 스님 머리에 포를 뜨고
말았습니다요…..”
“보나마나 불같은 성미에 불호령이 떨어질 일이었다.
종원 수좌는 ‘죽을 각오’를 이미 하고 있었다. 드디어,
동산 스님이 입을 여시었다.
“거 어쩐지 머리통이 시원하다 했지. 아 인석아,
얼른 가서 소금 가져와!”
“예? 소금…이라니요…스님?”
“아 인석아, 기왕에 포를 떴으면 소금까지 뿌려야
안 상할 것 아녀? 응? 허허허허…”
동산 스님의 그 웃음소리는 종원 수좌를 지옥에서 건져 올리는
자비의 손길이었다.
근본적인 잘못은 결코 용서치 않는 무서운 스님이었으나
단순한 실수는 사랑으로 감싸주시는 분이 바로 ‘금정산의 호랑이’
동산 스님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