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탁을 치는 유래

목탁을 치는 역사적 유래

옛날 어느 절에 덕 높은 스님이 몇 사람의 제자를 가르치고 있었습니다.

그 가운데 한 제자는 스승의 가르침을 어기고 제멋대로 생활하며,

계율에 어긋난 속된 생활을 일삼다가 그만 몹쓸 병이 들어 죽게 되었습니다.

죽은 뒤에는 물고기 몸을 받아 태어났는데 등 위에 큰 나무가 솟아나서 여간 큰 고통이 아니었습니다.

하루는 스승이 배를 타고 강을 건너가는데 등 위에 커다란 나무가 달린 고기가 뱃전에 머리를 들이대고 눈물을 흘리는 것이었습니다.

스승이 깊은 선정(禪定)에 잠겨 고기의 전생을 살펴보니, 이는 바로 병들어 일찍 죽은 자기 제자가 방탕한 생활의 과보(果報)로 물고기로 태어나 고통받는 모습이었습니다.

이를 알고 가엾은 생각이 들어 수륙천도재(水陸薦度齋)를 베풀어 고기의 몸을 벗게 하여 주었습니다.

그날 밤 스승의 꿈에 제자가 나타나서 스승의 큰 은혜를 감사해하며 다음생에는 참으로 발심하여 공부할 것을 다짐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자기 등에 있는 나무를 베어 고기 모양을 만들어 부처님 앞에 두고 쳐주기를 부탁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소리를 들으면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교훈이 될 것이고,

강이나 바다의 물고기들은 해탈할 좋은 인연이 될 것이란 말입니다.

이렇게 해서 고기 등에 자라난 나무를 베어 고기 모양의 목어(木漁)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차츰 쓰기에 편리한 목탁(木鐸)으로 변형되어, 예불이나 독경을 할 때 혹은 때를 알릴 때에도 사용하며, 그밖의 여러 행사에 사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일설에는 고기는 잠을 잘 때도 눈을 뜨고 자므로 수행자도 게으르지 말고 부지런히 정진해야 불도(佛道)를 성취한다는 뜻에서 고기 모양의 목어를 만들어 아침 저녁으로 치게 하였다고 합니다.

불교는 인간만이 아니라 모든 중생(짐승, 미물을 포함)을 제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짐승이 알아듣는 소리로 중생을 제도(중생구제)할 필요가 있죠. 절에서 목어를 치는 이유는, 수중생물이 듣고 제도받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입니다.

즉 수중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것입니다.

(사물이라고 하여 큰절에 가면 범종, 법고, 운판, 목어가 있습니다.

범종은 유명계, 즉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없는 그런 영들을 제도하기 위해 치는 것이고, 법고, 즉 큰 북은 육지의 동물을 위하여 두드리고, 운판은 하늘을 날아다니는 날짐승을 위해 치고, 목어는 수중동물을 위하여 칩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