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이 감옥 계시는데 어찌 더운방을 쓰랴

스승이 감옥 계시는데 어찌 더운방을 쓰랴

대자유인으로 걸림없는 삶을 살다 가신 큰스님들이 많고 많지만, 그 가운데 1900년대를 마음대로 활보하며 호호탕탕 걸림 없는 무애행(蕪碍行)을 보여준 춘성(春城) 스님의 이야기는 오늘에도 한국불교계에 설화(說話)처럼 전해져 오고 있다.

춘성 스님은 1891년 3월 31일 강원도 인제군 인제면 원통리에서 출생하여 13세 때 고향인 설악산 백담사에서 한용운 스님을 은사로 출가 득도하였고 안변 석왕사, 금강산 유점사, 덕숭산 정해사, 도봉산 망월사 등지에서 수행한 뒤 1977년 7월 8일 서울 봉국사에서 열반에 드시어 세수는 87이요, 법랍은 74세였다.

속성은 평창 이 씨였고 속명은 창림(昌林)이었는데 법명도 춘성(春成)이요, 법호 또한 춘성(春城)으로 한문 글자 하나만 달랐다.

춘성은 스승이신 만해 한용운 스님이 기미년 독립선언서에 백용성 스님과 함께 불교계 대표로 서명, 33인 중의 한분으로 왜경에게 체포되어 서대문 형무소에 갇히자 지극정성으로 스승의 옥바라지를 했다.

춘성은 스승이 감옥생활을 하고 있는 동안 엄동설한에도 아궁이에 불을 피우지 않은 채 냉방에서 견디고 있었다.

이때 그 절에 찾아왔던 다른 스님이 돌아보니 절에는 땔감도 많이 있었다, 그런데도 불을 때지 않은 채 냉방에서 자고 있으니 이상하게 생각해서 춘성에게 물었다.

“아니 저렇게 땔감이 많이 있거늘 어찌하여 아궁이에 불을 피우지 않고 냉방에서 덜덜 떨면서 자는게요?”

“그야 물론 장작이야 넉넉히 있지요. 허나, 스승께서 독립운동을 하다 왜놈들한테 붙잡혀 지금 서대문 형무소 추운 감방에서 떨고 계실 것인데, 그 제자인 내가 감히 어찌 따뜻한 방에서 잠을 잘 수 있겠습니까? 스승께서 나오시기 전에는 결코 아궁이에 불을 넣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게 대답하면서 겨우내 아궁이에 불을 넣지 않았다. 그만큼 춘성은 스승 만해 한용운 스님을 공경하는데 절대적인 효성을 다 바치고 있었다.

“너는 내 제자가 아니다”

춘성은 만해 한용운 스님의 거의 유일한 제자로 알려져 있었다. 그리고 만해 한용운 스님도 춘성을 제자로 늘 자랑했고, 춘성 또한 만해 스님의 제자임을 당당히 여기고 있었다.

그런데 만해 한용운 스님이 독립운동을 하다 붙잡혀 서대문 형무소에 갇혀 지내던 겨울 어느날. 제자인 춘성이 추위에 고생하시는 은사 만해 스님을 위해 두툼한 솜바지저고리 한 벌을 지어가지고 형무소로 면회를 갔다.

내복도 없던 시절, 홑옷만을 입으신 채 형무소 바닥에서 엄동설한에 고생하실 스승을 염려한 나머지 제자 춘성이 정성을 기울여 만들어온 솜바지저고리였다.

제자가 만들어온 새 솜바지저고리를 넣어드리자 만해 스님이 제자에게 물었다.

“이것 보아라. 이 솜바지저고리를 만들라면 수월찮은 돈이 있어야 할텐데. 그대가 도대체 무슨 돈이 있어서 이 비싼 솜바지저고리를 만들어 왔는가?”

“스님, 그런건 염려마시고 따뜻하게 입으시기나 하십시오.”

“무슨 돈으로 만들었냐고 물었다. 대체 무슨 돈으로 이 솜바지 저고리를 만들어 왔느냐?”

“사실은… 달리 돈을 마련할 길이 없기에 절에 딸린 텃밭을 팔아 그 돈으로 이 솜바지저고리를 만들어 왔습니다. 걱정 말고 입으십시오.”

“너 이놈! 절에 딸린 텃밭은 부처님 재산이거늘, 그걸 감히 네 마음대로 팔았단 말이더냐?”

“텃밭은 나중에 다시 사면 될 것 아니겠습니까?”

“아니될 소리! 너는 부처님 재산인 사중 땅을 사사롭게 쓰기 위해 함부로 팔아먹었으니 죄 중에도 큰 죄를 지었다. 나는 너 같은 상좌를 둔 적이 없으니 오늘부터 당장 내 제자라는 소리는 입 밖에 내지도 말라!”

만해 스님은 이렇게 매섭게 제자를 꾸짖고 정성들여 만들어온 솜바지저고리 받기를 거절했다. 그날 이후 춘성 스님은 은사 없는 스님이 되었다.

그전에 누가 “어느 스님 제자냐”고 물으면 두말없이 “만자, 해자 스님이 제 은사입니다”했던 춘성이었지만 솜옷 사건으로 “너 같은 상자 둔적이 없다”는 꾸짖음을 들은 뒤로는 감히 만해 스님의 제자라는 소리를 할 수가 없었던 것.

그 후로는 누가 물어도 춘성 스님은 이렇게 대답했다.

“나에게는 은사가 안계십니다.”

참으로 스승다운 스승 노릇하기도 어렵고 제자다운 제자 노릇 하기도 참으로 어렵다는 것을 그 스승과 그 제자가 보여준 셈.

평생 한벌옷에 밥그릇 하나

칼날 같은 은사 만해 한용운 스님께 혹독하게 당한 덕분이었을까. 춘성 스님은 도무지 아무것에도 욕심이 없었다. 입고 있던 옷이 찢어지고 닳아져서 다른 스님이 보다 못해 승복을 한 벌 갖다 주면 그 자리에서 즉시 바꾸어 입었다. 그리고 헌옷은 바로 그 자리에서 태워버렸다. 새옷을 입고 헌옷을 가지고 있으면 두벌 옷을 갖고 있는 셈이 되겠는데, 춘성은 못입게 된 헌옷을 미련 없이 태워버려 두벌 옷을 가져본 적이 한번도 없었다. 그야말로 일의일발(一衣一鉢)의 인생을 사신 셈이었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춘성은 후학들이 담요를 덮고 자는 것도 허락하지 않았다. 수행자가 너무 안락하고 따뜻한 잠자리를 바래서는 안된다는 것이었다.

심지어 스님의 법문을 들으러 오는 신도들은 사치스런 옷차림으로 절에 왔다가는 춘성 스님으로부터 꾸짖음을 당하기 일쑤였다. 분에 넘치는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옷을 입고 절에 오는 여자가 있으면 스님은 사정없이 호통을 쳤다.

“야 이 미친것들아, 옷 자랑하려면 번화가로 갈 것이지 뭣하러 절에 왔어?”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