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혜보살소문예불법경( 離垢慧菩薩所問禮佛法經)

이구혜보살소문예불법경( 離垢慧菩薩所問禮佛法經)

대당(大唐) 나제(那提) 한역 김철수 번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부처님께서는 실라벌실제성(室羅栰悉帝城) 승덕림(勝德林) 가운데 있는 급고독원(級孤獨園)에서 대비구들 5백 명과 함께 계셨으며, 보살들의 수는 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였다. 또한 한량없는 바라문과 비사(毘舍)ㆍ수타(首陀)를 비롯한 많은 장자들이 각기 모두 대중들의 우두머리로 그들과 같은 부류와 함께 부처님의 처소에 찾아왔으며, 또한 천ㆍ용ㆍ야차ㆍ건달바ㆍ아수라ㆍ가루라ㆍ긴나라ㆍ마후라가 등이 대법회의 앞뒤에서 에워싸고 있었다.

그때 모인 대중 가운데 어떤 보살마하살이 있었으니, 그 이름은 이구혜(離垢慧)였다. 그는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偏袒右肩]하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합장한 다음 부처님 앞으로 나아가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몇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바라건대 말씀하셔서 듣도록 해 주십시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대 마음대로 질문하도록 하라. 마땅히 그 의도하는 바에 따라 답해 주리라.”

이구혜보살은 부처님의 허락을 받아서 한량없이 기쁜 마음으로 부처님께아뢰었다.

“선남자와 선여인 등은 여래의 처소에서 어떻게 공경하고 예배하고 공양해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구혜여,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그대는 많은 자비와 연민의 마음으로 모든 천상과 인간을 이롭고 편안하게 하려는 것이로구나. 마땅히 진실로 잘 들어라. 그대를 위해 해설해 줄 것이니, 만일 선남자나 선여인이 부처님의 처소에서 예경하려 한다면 마땅히 먼저 발원하여 이와 같이 말해야 한다.

‘저는 지금 지극한 마음으로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 머리 숙여 예를 올리고 널리 모든 뛰어난 법에 들어가기를 원합니다. 저는 지금 5륜(輪)1)으로 부처님께 예를 표시하여 5도(道)2)를 끊고 5개(蓋)3)를 떠나며 모든 중생이 항상 편안하게 머물러 5통(通)4)을 무너뜨리지 않고 5안(眼)5)을 갖추기를 원합니다. 바라건대 제가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댈 때에는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바른 깨달음의 도를 얻게 하여주십시오. 바라건대 제가 왼쪽 무릎을 땅에 댈 때에는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외도의 법에 대해 그릇된 견해를 일으키지 않게 하고 모두 다 바른 깨달음의 도(道) 안에 안립(安立)하게 하여주십시오. 바라건대 제가 오른손을 땅에 댈 때에는 마치 세존께서 금강좌에 앉으셔서 오른손으로 땅을 가리켜 땅이 진동하는 상서로움을 나타내어 대보리(大菩提)를 증명하셨듯이, 지금 저도 그와 같아서 모든 중생과 함께 깨달음의 도를 증험하게 해주십시오. 바라건대 제가 왼손을 땅에 댈 때에는 온갖 외도나조복하기 어려운 자들을 4섭법(攝法)6)으로 섭수하여 정법(正法)에 들게 해주십시오. 바라건대 제가 머리를 땅에 댈 때에는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교만심을 떠나 모두 다 무견정상(無見頂相)의 경지를 성취하게 해주십시오.’

이구혜여, 이것이 5륜으로 예를 표현하는 모습이다.

그 다음으로는 시방에 계신 현재의 모든 부처님께 예를 표하면서 마땅히 이렇게 말해야 한다.

‘동방(東方)의 아촉(阿閦)여래와 널리 그 방향에 계신 한량없는 세계의 일체 여래와 모든 대법장(大法藏)과 아울러 모든 보살ㆍ성문ㆍ연각 등 일체의 현성(賢聖)께 귀의합니다[南無].

남방(南方)의 보상(寶相)여래와 널리 그 방향에 계신 한량없는 세계의 일체 여래와 모든 대법장과 아울러 모든 보살ㆍ성문ㆍ연각 등 일체의 현성께 귀의합니다.

서방(西方)의 무량수(無量壽)여래와 널리 그 방향에 계신 한량없는 세계의 일체 여래와 모든 대법장과 아울러 모든 보살ㆍ성문ㆍ연각 등 일체의 현성께 귀의합니다.

북방(北方)의 묘고성(妙鼓聲)여래와 널리 그 방향에 계신 한량없는 세계의 일체 여래와 모든 대법장과 아울러 모든 보살ㆍ성문ㆍ연각 등 일체의 현성께 귀의합니다.

동남방(東南方)의 인다라계도당왕(因陀羅雞都幢王)여래와 널리 그 방향에 계신 한량없는 세계의 일체 여래와 모든 대법장과 아울러 모든 보살ㆍ성문ㆍ연각 등 일체의 현성께 귀의합니다.

서남방(西南方)의 보유보(寶遊步)여래와 널리 그 방향의 한량없는 세계의 일체 여래와 모든 대법장과 아울러 모든 보살ㆍ성문ㆍ연각 등 일체의 현성께 귀의합니다.

서북방(西北方)의 사라인다라왕(娑羅因陀羅王)여래와 널리 그 방향의 한량없는 세계의 일체 여래와 모든 대법장과 아울러 모든 보살ㆍ성문ㆍ연각 등 일체의 현성께 귀의합니다.

동북방(東北方)의 무량당왕(無量幢王)여래와 널리 그 방향의 한량없는 세계의 일체 여래와 모든 대법장과 아울러 모든 보살ㆍ성문ㆍ연각 등 일체의 현성께 귀의합니다.

상방(上方)의 지광(智光)여래와 널리 그 방향의 한량없는 세계의 일체 여래와 모든 대법장과 아울러 모든 보살ㆍ성문ㆍ연각 등 일체의 현성께 귀의합니다.

하방(下方)의 비로자나(毘盧遮那)여래와 널리 그 방향의 한량없는 세계의 일체 여래와 모든 대법장과 아울러 모든 보살ㆍ성문ㆍ연각 등 일체의 현성께 귀의합니다.

다음으로는 또한 사하세계(娑訶世界)의 본사(本師)이신 석가모니여래와 널리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의 일체 여래와 모든 대법장과 지(地)의 계위(階位)에 든 보살마하살과 성문ㆍ연각 등 일체의 현성께 귀명(歸命)합니다.’

또한 이러한 말을 해야 한다.

‘저는 지금 일심으로 머리 숙여 위에서 말한 일체의 부처님과 법과 모든 현성들께 예를 올립니다. 바라건대 마땅히 저를 증험하여 주십시오. 금일 이후로부터 보리에 이를 때까지 항상 부처님 세존ㆍ대자비를 베푸시는 이ㆍ일체지자(一切智者)ㆍ일체의 지견(知見)을 갖춘 이ㆍ모든 두려움을 떠난 이ㆍ인간 가운데의 대사자(大師子)ㆍ대용왕(大龍王)ㆍ인간 가운데 대선사(大仙士)ㆍ대장부ㆍ일체를 두루 아는 불가사의한 몸을 지닌 이ㆍ위없는 몸을 지닌 이ㆍ같음이 없는 몸을 지닌 이ㆍ2승(乘)이 함께할 수 없는 몸을 지닌 이ㆍ청정한 법신ㆍ일체의 무리 가운데 가장 존중받는 이께 귀의합니다.

저는 지금 지성을 다해 일심으로 귀명합니다. 이와 같은 귀명이 백 번ㆍ천 번ㆍ백천만 번 두루하고 나아가 한량없고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두루하여 미래의 때가 다하도록 골수에 사무치도록 위에서 말한 모든 부처님 세존께 귀의합니다.’

또한 이러한 말을 해야 한다.

‘저는 지금 몸과 입과 마음의 세 가지 업의 선근(善根)으로 모든 중생과함께 부처님께 귀의하여 항상 부처님을 떠나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도량에 앉은 이ㆍ항상 머물러 변함이 없는 이ㆍ늙지도 않고 죽지도 않고 멸하여 파괴되지 않는 이ㆍ머묾도 없고 조건[緣]도 없어 성품이 적정(寂靜)한 이ㆍ법의 집[法舍]에 머무르며 크게 호념(護念)하고 강 가운데의 모래톱과 같은 이ㆍ귀의하여 열반을 증험할 수 있는 이ㆍ모든 법 가운데서 최상에 머무는 이께 귀의합니다.

저는 지금 지성을 다하여 은근하고 정중하게 이와 같이 모든 부처님과 정법에 귀명합니다. 또한 거듭 위에서와 같이 지성으로 종성(種性) 가운데 머물고 있는 모든 보살들, 그리고 환희지(歡喜地)로부터 나아가 법운지(法雲地)에 이르기까지 10지(地)에 머무는 모든 보살승(菩薩僧)께 귀명합니다.’

다음으로 마땅히 참회하여 이러한 말을 해야 한다.

‘오직 원하건대 시방의 모든 부처님 세존이시여, 저의 참회를 증험하시고 기억해 주시고 가엾이 여기는 마음으로 받아 주십시오. 몸으로 짓는 세 가지 업이 있으니 살생과 도둑질과 음욕을 행하는 것이며, 입으로 짓는 네 가지 업이 있으니 거짓말하는 것과 욕하는 것과 이간질하는 것과 꾸밈말을 하는 것이며, 마음으로 짓는 세 가지 업행(業行)이 있으니 이른바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스스로 짓거나 다른 사람이 짓도록 시켜서 그것을 보고 기뻐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와 같은 열 가지 악(惡)을 지금 모두 참회합니다.

또 거듭 생각해 보건대 무시이래로 6도(道)를 따라 윤회하면서 많은 중생들을 갖가지로 속이고 부담을 주었으니, 큰 말[斗]로 퍼서 저울에 무겁게 달아 물건을 취하여 자신의 재산으로 삼았으며, 또한 가볍게 달고 작은 말[斗]로 퍼서 다른 사람에게 물건을 주었고, 또한 가짜를 가지고 옷이나 금으로 속여 대신했으며 독약을 쓰는 등 이러한 모든 것으로 손해를 끼쳤으니, 지금 모두 참회합니다.

혹은 3승(乘)을 비방하고 법률(法律)에 대해 허망한 말을 하고 삼보(三寶)를 가벼이 여기고 양친을 속이고 모든 존경할 만한 어른들과 화상(和上)과 사리(闍梨)7)와 늙으신 분들께 공경하는 마음이 없는 등 이와 같은 과거의 모든 죄를 지금 다 참회합니다.

현재의 악업을 성심을 다해 밖으로 드러내 뉘우치고 아직 짓지 않은 것들은 다시는 감히 짓지 않습니다. 지금 모든 부처님과 보살 등 가장 뛰어난 대중의 우두머리와 비할 데 없고 위없는 원만평등한 분 앞에 스스로 드러내 참회하고 감히 숨기지 않겠습니다. 한 번 참회한 이후에는 다시는 거듭 짓지 않겠으며, 이와 같이 두 번째, 세 번째도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참회하겠습니다.’

다음으로는 마땅히 권청(勸請)하면서 이러한 말을 해야 한다.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아직 법륜을 굴리지 않으셨거나, 열반에 들려고 하시면 저는 오직 바라건대 오래 머무르시면서 한량없는 겁 동안 모든 중생을 불쌍히 여기셔서 큰 법의 비를 내리시고 정법(正法)의 바퀴를 굴리시되 반열반(般涅槃)에 들지 않기를 권청합니다.’

다음으로는 마땅히 함께 기뻐하면서 이러한 말을 해야 한다.

‘시방 갠지스 강의 모래와 같은 숫자의 모든 3승 현성들과 일체 중생이 6도(度:바라밀)를 수행하여 보리법(菩提法)을 돕는다면 저는 그 모든 분들과 함께 기뻐하겠습니다.’

다음으로는 마땅히 회향(廻向)하면서 이러한 말을 해야 한다.

‘시방 삼세의 모든 부처님께서 지으신 일[業]과 모든 보살ㆍ성문ㆍ연각 등이 행한 6도는 이미 위없는 보리[無上菩提]에 다 회향되었으니, 저도 또한 이와 같이 불도(佛道)에 회향합니다.’

다음으로는 발원해야 한다.

‘우러르건대 오직 시방 삼세의 모든 불보살께서 큰 서원을 내셔서 허공계가 다하고 법계에 두루하도록 계신 곳에 따라 모든 중생을 교화하시고, 3계를 섭수하심으로써 남김이 없게 해주십시오. 원하건대 중생들로 하여금 이익과 즐거움을 얻게 하시고 성숙하게 하셔서 착한 율의(律儀)를 갖추고 대열반에 머물게 하시고 지금 모든 것이 현전하도록 해 주십시오. 저도 이와 같이 큰 서원으로 장엄하니, 바라건대 제가 위없는 도[無上道]를 이루어 마 음이 산란하지 않고 항상 모든 부처님을 뵙고 항상 정법(正法)을 들어 부처님을 따라 수행하되 헛된 허물이 없으며, 지은 선법(善法)과 보리심을 또한 퇴전(退轉)하여 잃지 않고, 태어나는 곳마다 성중(聖衆)을 공양하고 중생을 교화하며 위없는 도를 얻어 정법의 바퀴를 굴리고 대신통을 갖추며, 또한 중생으로 하여금 이와 같이 닦아 배워서 퇴전하지 않게 해 주십시오.

또 모든 중생이 일찍 온갖 괴로움을 끊고 속히 열반을 증득하여 여래의 지혜[智]에 머물기를 원합니다. 저도 이미 생사를 벗어나 일체를 깨닫고 또한 중생으로 하여금 생사를 벗어나게 하고 번뇌로부터 해탈하게 하며 일체를 깨닫도록 해주십시오. 오직 바라건대 시방의 모든 부처님이시여, 제가 행하는 보살도를 증험해 주시고 서원의 바다[願海]를 발흥(發興)하게 해주십시오.'”

그때 세존께서 거듭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원하건대 제가 태어날 때 
업에 따라 모습을 받아 
대장부의 몸을 이루고 
믿음 등 모든 근(根)8)을 갖추게 하소서.



기술과 예능에 능통하고 
모든 가르침의 의미를 자세히 이해하며 
세상의 일은 다 버리니 
모든 욕구가 다 멀리 떠납니다.



바른 말을 하고 법념(法念)에 머물러 
보리심을 장엄하고 
선지식을 공경하여 섬기면 
중생[有情]이 다 존중합니다.



계(戒)와 율의(律儀)를 다 갖추고 
깨끗한 생각으로 즐거운 과보를 받으며 
항상 저 악업을 두려워하고 
선법(善法)에 거닙니다.



항상 열 가지 바라밀행[度行]을 의지하기 때문에 
보리를 성취하고 
나아가 최후의 몸에 이르러 
항상 중생과 더불어 즐깁니다.



구슬 가운데서는 마니주가 뛰어나 
다른 사람에게 이로움을 주는 일을 이루듯이 
원하건대 저도 미래가 다하도록 
이익을 주는 일에 쉼이 없게 하소서.

부처님께서 이구혜보살마하살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중생이 보살도를 행하려 한다면 내가 말한 바와 같이 마땅히 이에 의지해 닦아 배워야 한다.”

이 경을 설해 마치시자, 이구혜보살 등과 모든 대중과 천ㆍ용ㆍ야차ㆍ건달바ㆍ아수라ㆍ가루라ㆍ긴나라ㆍ마후라가ㆍ인비인 등이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을 듣고 환희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이구혜보살소문예불법경 서문 석도선(釋道宣) 지음

생각해 보건대 휘장이나 깃발은 그 흔들림이 멈추기 어렵듯이 3계는 윤회로 말미암아 갈애[愛]의 물로 청정하지 못하다. 네 가지 번뇌[四惑]가 이를 바탕으로 면면히 흐르니 홀로 뽑아 없앨 수 있는 보살이거나, 지극한 경지에 이른 사람이 출현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갈애의 그물을 찢고 겹의 빗장을 열어 깊은 의혹을 풀어 혼미한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겠는가?
이구혜보살은 도가 높아 초주(初住)에 머물렀고 덕은 8항(恒)을 뛰어넘으며 시속(時俗)의 방편을 빌어 깊이 있는 인식의 마음을 낼 수 있도록 훌륭한 질문을 하였다.

여래께서는 조건 없는[無緣] 뛰어난 변재로써 기다리는 중생들에게 달려가 깊은 애정을 베푸셔서 5취(趣)의 가림[蓋]과 얽힘을 끊게 하시고 5륜(輪)의 예념(禮念)을 바탕으로 5신통[通]과 5안(眼)을 얻게 하셨으며, 이로부터 점차 5위(位)ㆍ5생(生)을 닦아 이러한 원만함을 이어받아 맺게 하셨습니다.

중하(中夏) 1천6백 년에 시운이 기울어 법의 흔적만 있다가 근자에 들어 동양(東壤) 땅에 법소식이 들리니, 용삭(龍朔) 3년에 천축 삼장(天竺三藏) 나제(那提)가 여섯 가지 상이한 종파를 총괄하였고 또한 네 가지 위타(圍陀:베다)의 경전과 9부(部) 8장(藏)을 깊이 연구하여 양쪽 모두에 밝았으니, 그러한 것들의 십제일승(十諦一乘)의 의의를 밝혀 공색(空色)으로 귀일하게 하였다. 아울러 그 명칭과 이치를 자세하게, 때로는 간략하게 드러냈으니 그 현묘함의 경지를 이루 말할 수 없었다.

또한 황제가 계신 곳에 나아가 예를 표하였는데 여러 번 조정에서 황제를 배알하였다. 당나라 황제는 후한 예우를 하고 자은사에 머물도록 배려했다. 마침내 남해 진랍왕의 요청에 따라 다시 그곳으로 돌아갔다.


이구혜보살소문예불법경(離垢慧菩薩所問禮佛法經) 해제

이 경은 1권으로 되어 있으며, 7세기 중엽에 인도 출신의 학승 나제(那提)가 한역한 것이다. 나제는 복생(福生)이라 한역한다. 중인도(일설에는 북천축) 사람이며 어려서 출가하여 이름 있는 스승을 만나 깨달음을 얻었다. 성명학(聲明學)과 모든 훈고학(訓詁學) 등에 통달하였다. 일찍이 도(道)를 넓힐 뜻을 품었는데, 중국에서 불법이 성하다는 소문을 듣고 대ㆍ소승의 경ㆍ율ㆍ론 5백여 협(篋)과 1,500여 부를 수집하여 당 고종(高宗) 6년 장안에 도착하였으며, 칙명에 의하여 대자은사(大慈恩寺)에 거주하였다. 그때 현장과 같은 절에 머물면서 경론의 역출에 종사하였다. 『유사자장엄왕보살청문경(唯師子莊嚴王菩薩請問經)』ㆍ『아타나지주경(阿陀那智呪經)』 등 3부 3권을 한역하였다. 남해(南海) 진랍국(眞臘國)의 청을 받아들여 장안을 떠났는데 그 후는 소식을 알 수 없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