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서천 법현한역 번역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01권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02권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03권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04권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05권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06권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07권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08권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09권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10권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11권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12권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13권
불설중허마하제경(佛說衆許摩訶帝經) 제01권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가비라국(迦毘羅國)의 니구타(尼俱陀) 숲 안에 계셨다.
그 때 가비라국에서 큰 석씨[釋] 대중들은 생각하기를 ‘우리 부처님ㆍ세존께서는 지나간 세상에 어디서 나셨으며 성씨가 무엇이며 성바지가 무엇이며 어떠한 인연이 계셨을까?’라고 생각을 한 뒤에 여러 대중들에게 말하였다.
“석가 세존께서는 지나간 세상에 어디서 나셨으며 성씨가 무엇이며 성바지가 무엇이며 어떠한 인연이 계셨을까요? 우리들은 이제 부처님에게 가서 이 뜻을 묻고 부처님의 말씀하신 대로 가르침에 따라서 받고 지닙시다.”
이렇게 말하여 마치고, 함께 큰 석씨 대중들은 즉시 부처님께 나아가서 땅에 엎드려 발에 예배하고 자리를 따라 앉았다.
그 때 가비라국의 큰 석씨 대중들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희들 큰 석씨 무리들은 가비라국의 정사(精舍) 안에 머무르면서 갑자기 생각하기를 ‘저희 부처님ㆍ세존께서는 지나간 세상에 어디서 나셨으며 성씨가 무엇이며 성바지가 무엇이며 어떠한 인연이 계셨을까?’ 하였사오나, 저희들은 알 수가 없었으므로 지금 석씨 대중들과 함께 부처님께 와서 이 뜻을 묻습니다.
오직 원하옵나니, 세존께서는 저희들을 위해 널리 말씀하시어 저희들이듣잡고 가르치심에 의지하여 받고 지니게 하시옵소서.”
그 때 세존께서는 대중들의 의심을 끊기 위하여 곧 이 뜻을 석씨 대중들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먼저 이 뜻을 널리 말하고 싶지 않구나. 왜냐하면 모든 악마와 외도들이 만약 이 일을 들으면 또 헐뜯되 ‘사문 교답마(憍答摩)는 자신이 그의 잘한 일을 말하는구나. 좋은 것은 말을 하고 좋지 않은 것은 말하지 않을 터인데 무슨 이익될 바가 있겠느냐’고 할 것이기 때문이니라.”
그 때 대목건련(大目揵連)은 대중 가운데서 있다가 곧 자리에서 일어나며 세존의 얼굴을 우러러 보며 눈을 잠시도 떼지 않자, 세존께서는 말씀하셨다.
“목련아, 저 석씨 대중들이 나의 지나간 세상의 일을 듣고 싶어 하는구나. 태었던 곳과 성씨가 무엇이고 성바지가 무엇이며 어떠한 인연들이 있었던가를 네가 이제 기억하는 대로 그들을 위하여 널리 말하여라.”
그 때 모임 안에서 대목건련은 잠자코 생각하며 잠깐 동안을 지나더니 승가리(僧伽梨)의 옷을 거두어 머리맡에 두고 오른 겨드랑이를 대고 누우며 발을 포개고서 움직이지 않으면서 삼마지(三摩地)에 들어서는 세존의 지나간 세상에 태어나셨던 곳과 성씨와 성바지며 인연들의 일을 자세히 살피며 사실과 꽃같이 분명히 알아지고 그 그릇됨이 없었으므로, 곧 정(定)에서 나와 대중에게 나아가 다시 본래의 자리에 앉았다.
존자 대목건련은 석씨 대중들에게 말하였다.
“나는 삼매에서 저 교답마의 옛날 일을 자세히 살폈습니다.
세계가 무너질 때 거기의 중생들은 목숨이 끝난 뒤에 변정천(遍靜天)으로 가서 낳게 되었습니다.
그 하늘에 낳아서는 모든 감관이 뚜렷하고 몸의 형상이 단정 엄숙하며 뭇 고통은 생기지 아니하여 몸과 마음이 편안하며 빛깔의 형상은 빛이 밝았고 공중을 자재로이 날았으며, 하늘의 단맛으로써 음식을 삼고 목숨의 양은 오랫동안이어서 중간에 죽는 이가 없었습니다.
그 때 대지(大地)에는 큰물이 나서 허공까지 가득히 찬 것이 마치 큰 바다와 같았고 바람이 불어 물결이 출렁이는 것이 끓는 것과 같았는데 그 물은 맑고 시원하였으며, 그 후에 일체 중생들이 먹게 된 것은 깨끗하고 가장 으뜸가는 지미(地味)이었습니다.”
그 때 대목건련은 다시 대중들에게 말하였다.
“겁이 무너질 때에 중생으로서 변정천에 난 이는 그 하늘 안에서 복과 수명이 다하면 변경천을 버리고 인간에 태어났는데, 태어난 바의 몸 역시 하늘 세계에서와 같아서 몸의 형상이 단정 엄숙하고 모든 감관에 결함이 없었으며, 미묘한 빛깔이 넓고 크며 저절로 몸빛을 지니어 항상 밝게 비추었으며, 오래오래 살면서 즐거움을 누리고 공중을 자재로이 날았습니다.
그 때에는 해와 달과 별이며 세월이거나 철 등이 없었고 또한 남자며 여자라는 중생의 형상도 없었으며 지미가 나와서 음식을 삼게 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지미는 달고 맛있고 가늘며 미묘하였었는데 유정(有情)들이 먹고 나서 애착심을 내며, 그 후부터는 맛을 탐냄이 더욱 왕성하였으므로 갑자기 몸이 묵직하게 되고 지녔던 광명은 홀연히 나타나지 아니하였는지라, 비로소 세간에는 두루 다 캄캄하고 어두워졌습니다.
그 때 유정들은 이 세간이 두루 다 어둡고 컴컴해짐을 보고서 갖가지로 놀라 당황하며 마음으로 근심하고 괴로워하였는데, 이로 말미암아 세간에는 해와 달이며 별의 빛 등이 나타났고 비로소 낮과 밤이며 시간과 철이 나누어졌으며, 이러한 유정들의 수명이 오래었고 모든 병이 시달림이 없던 것이, 그 지미에 탐착함이 많은 이는 빛깔과 형상이 이지러지면서 추악하여졌고 탐착함이 적은 이는 그 몸의 빛깔과 형상이 한결같이 저절로 단정 엄숙하였나니, 이와 같이 마음을 따라 두 가지 형상인 검고 흰 과보로 나누어지면서 그 중생들은 서로가 미워하고 시새우고 하며 착하지 못한 일을 하였습니다.
착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로 말미암아 지미는 곧 숨어 없어져 버렸나니, 숨이 없어졌기 때문에 그 중생들의 마음에는 뜨거운 괴로움이 나게 되었으므로 말하기를 ‘이제는 먹을 것이 없어졌으니, 아주 괴롭고 매우 괴롭구나’ 하면서, 또 생각하기를 ‘가장 으뜸가는 지미가 어찌하여 숨어 없어졌을까. 장차 오는 세상의 중생들은 어떻게 먹고 살까’ 하며, 괴롭고 지치고 모자란다는 근심이 생기게 되었고 알 수도 없었거니와 말로 할 수조차 없었습니다.
그 때 대지 안에서는 오래되지 않아서 지병(地餠)이 났었는데 그 맛도 퍽이나 미묘하여 향기롭고 달고 맛이 있어서 마치 가리니가라화(迦梨尼迦囉花)와 같았습니다.
그 중생들은 이 지병을 먹게 되자 몸이 부대하여지고 오랫동안 살며 편안히 즐기고 몸의 형상이 단정 엄숙하며 기력이 더욱 왕성하여졌는데, 그 중생으로서 탐을 내어 많이 먹은 이는 빛깔과 형상이 이지러지고 적게 먹은 이는 빛깔과 형상이 예전 그대로 이어서 이지러짐이 없었나니, 이로 말미암아 두 가지 형상의 검고 흰 것으로 나누어지면서 서로가 그릇되고 착하지 못한 일을 행하였으므로 그 지병(地餠)이 숨어 없어져서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그 중생들은 다시 괴로워하면서 말하기를 ‘아주 괴롭고 매우 괴롭구나’ 하며, 또 다시 생각하기를 ‘나던 지병이 어찌하여 숨어 없어졌을까. 그 뜻을 모르겠구나. 모든 유정들이 굶주리고 지치는 괴로움을 얻겠도다. 오는 세상의 중생들은 무엇을 먹었을까’라고 하였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오래지 않아서 그 중생들을 위하여 다시 임등(林藤)이 났는데 그 빛깔은 퍽이나 미묘하고 향기로우며 맛은 감미로웠습니다.
이와 같이 유정들은 이 임등을 먹고서 기력이 더욱 왕성하고 수명의 양이 길어지며 형색이 단정 엄숙하여 사람의 형상이 완전히 갖추어졌으나, 또 그 중생들은 탐내어 많이 먹은 이는 빛깔과 형상이 이지러지고 적게 먹은 이는 빛깔과 형상이 예전 그대로 이어서 이렇게 하여 유정들은 두 가지 형상인 검고 흰 것으로 나누어지면서 서로가 그릇되고 착하지 못한 일을 행하였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임등이 숨어 없어져서 보이지 않았으며 보이지 않게 되자, 모든 중생들의 마음은 몹시 괴로워하면서 말하기를 ‘괴롭고 괴롭다. 이렇게 맛있는 것이 어찌하여 숨어 없어져버릴까. 그 뜻을 모르겠구나. 우리들은 어떻게 마시고 먹고 살아야 할까’라고 하였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오래지 않아 대지 안에서는 저절로 으뜸가는 맛인 향기로운 벼가 나오게 되었는데, 그 벼는 철을 따라 저절로 익었으므로 그 때의 중생들은 곧 가져다 먹었습니다.
역시 매우 향기롭고 맛이 있어서 몸을 부대하게 하고 수명이 길어졌는데, 이로 말미암아 그 때에 향기로운 벼를 먹으면서 점점 뱃속이 막히고 걸리는 바가 있음을 깨달게 되었으므로 생각하기를 ‘어떻게 하여 없애 버릴까’ 하고,이런 생각을 하여 마치면서 곧 두 개의 근(根)이 생기고 남자와 여자의 차별된 형상으로 각각 달라졌습니다.
그 때 유정들은 빛깔과 냄새와 맛에 더욱 더 애착하여 자기가 친하고 사랑스러운 이에게는 향과 꽃이며 의복의 갖가지로써 공양하고 다시 부드러운 말로써 위로하고 기뻐하여 그를 즐겁게 하였으나 만약 어떤 중생이 자기를 사랑하지 아니하면 곧 업신여기고 헐뜯고 갖가지로 꾸짖으면서 혹은 기와나 돌로 서로 치고 때리며 착하지 못한 행을 하였습니다.
또 그 중생들은 모든 과거의 바른 법을 지금은 그릇된 법이라 하고 과거의 법률을 지금은 법률이 아니라 하며 이에 밤과 낮이며 때에 이르기까지도 뒤바뀌게 분별하였나니, 마치 어떤 사람이 말로써 숯을 되면서 편편하게 채우려는 것처럼 바르지 못한 행이 역시 그와 같았으며, 뒤바뀐 생각 때문에 바른 법이 삿되게 되었으므로 이로 말미암아 향기로운 벼도 다시 숨어 없어져버렸습니다.”
그 때 대목건련은 석씨 대중들에게 말하였다.
“향기로운 벼가 숨어 없어졌기 때문에 그 중생들은 날마다 여러 곳을 다니면서 벼의 종자를 구하여 씨를 뿌리고 싶어하였는데 이 때에 어느 한 사람은 그 성품이 게을러서 재물의 이익을 탐내면서 볍씨가 있었는데도 심지를 않는지라, 이 사람은 알아채고 말하기를 ‘당신에게 볍씨가 있으니, 나에게 조금만 주면 나는 반드시 심겠습니다’ 하자, 그 사람은 말하기를 ‘나에게 향기로운 벼가 있어서 스스로 필요할 만큼은 수용하고 있소. 당신이 이제 만약 요긴하다면 나는 곧 당신에게 주기는 하겠지만 이후 하루ㆍ이틀 만이거나 이에 이레까지는 나의 벼를 갚아야 합니다’라고 하므로, 이 사람은 말하기를 ‘좋습니다. 좋습니다. 하루 이틀 만이거나 이에 이레까지 혹시 반환하지 못하면 반 달이나 한 달까지면 반환할 수 있으리다’고 하고, 이 말을 한 뒤에 곧 생각하기를 ‘먼저의 향기로운 벼는 씨가 아니어도 저절로 났고 부지런히 힘을 들이지 않아도 자재로이 받아썼거늘 이제는 볍씨를 얻어다가 밭과 들에 뿌리고 널리 애를 써서 밤낮 계속하여 힘을 들여야 생장할 수 있게 되었구나’ 하고, 이와 같이 생각한 뒤에 마음으로 괴로워하며 눈물을 흘리면서 슬피 울었습니다.
또 다시 생각하기를 ‘지나간 세상의 모든 중생들은 빛깔과 형상이 단정하고 모든 감관이 뚜렷하여 사람으로서의 형상을 두루 갖추었으며 몸과 마음이 편안하고 몸에 광명을 지녔으며 허공을 자재로이 날고 수명이 길고 오래였으며 먹었던 지미야말로 마치 하늘의 음식과 같았었다.
뒷날에 이 맛있는 음식에 대하여 탐착심을 내었기 때문에 몸이 곧 묵직하여지고 광명이 스러졌으므로 이에 세간은 온통 다 캄캄하고 어두워졌다.
또 그 유정이 적게 먹은 이의 몸의 형상은 이지러지지 아니하였거니와 탐내어 많이 먹은 이는 몸과 형상이 이지러졌나니, 이로 말미암아 두 가지 형상인 검고 흰 것으로 나누어지면서 서로가 업신여기고 헐뜯고 착하지 못한 행을 하였는지라, 이로 말미암아 그 때에 지미가 곧 없어졌다.
지병이 다시 나자, 빛깔과 형상이 퍽이나 미묘하여 달고 맛있고 향기로웠으며, 모든 감관을 더욱 이롭게 하고 몸과 마음이 편안하여지며 수명이 길었는데, 적게 먹은 이는 몸의 형상이 이지러지지 않았지만 탐내어 많이 먹은 이는 몸의 형상이 이지러지고 이로 말미암아 두 가지 형상인 검고 흰 것으로 분별되면서 서로가 업신여기고 헐뜯고 착하지 못한 행을 하였으므로, 그 때에 지병도 다시 보이지 않았다.
이로부터 오래지 않아서 또 임등이 났었는데 빛깔과 형상이 퍽이나 미묘하여 그 맛은 감미로워서 역시 하늘의 음식과 같았으며, 몸을 부대하게 하고 수명이 길었는데 적게 먹은 이는 몸의 형상이 이지러지지 아니하였거니와 탐내어 많이 먹은 이는 몸의 형이 이지러지면서 이로 말미암아 두 가지 형상인 검고 흰 것으로 분별되었고 서로가 업신여기고 헐뜯으며 착하지 못한 행을 하였으므로, 그 때에 임등 역시 보이지 아니하였다.
이에 세간에는 저절로 향기로운 벼가 땅으로부터 나왔는데 그 쌀이 향기롭고 맛있으며 길이는 네 손가락만큼 하고 철을 따라 익었었다.
그 맛은 달고 맛이 있고 몸을 부대하게 하며 수명의 양이 길었는데 이 중생들이 탐냄과 사랑함이 더하였으므로 온갖 향기로운 벼 역시 없어지고 보이지 아니하였다.
그러므로 이제 이 볍씨를 구하여 밭과 들에 머무르면서 널리 애쓰고 힘을 들여야 익게 되었구나’고 하였습니다.
비록 쌀이 생겼다 손치더라도 그 쌀은 점차로 작아졌는데, 이에 중생들은 땅에서 얻는 이익을 탐내어서 널리 논밭과 들을 점령하여 다투어 많이 뿌리고 심으면서도 그릇된 법을 행하고 도둑질할 생각을 내어 다른 밭에 심은 것을 또 가서는 훔쳤습니다.
이 때에 한 사람이 있다가 바로 쌀 훔치는 것을 보았는데 이렇게 하기를 한 번ㆍ두 번ㆍ세 번까지 하므로 말하기를 ‘당신 자신도 쌀이 있거늘 어째서 자기 것을 쓰지 않습니까? 어떻게 남의 것을 도둑질한단 말이오? 지금부터 다시는 쌀을 훔치지 마시오’ 하였는데도, 도둑은 이 말을 듣고서도 오히려 허물을 뉘우치지 아니하고 뒷날 다시 도둑질을 하므로, 앞의 사람이 다시 보고 꾸짖기를 ‘이전에 이미 당신에게 경계하여 도둑질하지 말라고 하였거늘 무엇 때문에 지금 또 도둑질 하는 것이오?’ 하고, 또 곧 많은 사람을 모아 놓고 함께 꾸짖고 판단을 하였습니다.
다시 그 때에 여러 사람 가운데서 하나의 복과 덕을 갖춘 이를 간택하여 전답 임자[田主]를 삼고서 밭의 땅을 고루 나누어 저마다 평등하게 하고서는 법에 따르지 않는 이가 있으면 그를 조복하게 하며 밭의 종자가 만약 익게 되면 그 조그만 부분을 보내어 전답 임자에게 상으로 주었습니다.
이와 같이 하여 전답 임자는 맡아 행하고 행하도록 경계하며 세간을 편안히 위로하고 법에 의지하여 결단하면서 조복해야 할 이면 곧 조복하였나니, 이로부터 세간에는 찰제리(刹帝梨)의 성씨가 세워졌는데 이름은 삼마달다왕(三摩達多王)입니다.
왕에게는 유정(有情)이라고 하는 대신이 있었으며, 그 왕은 후에 애자(愛子)라고 하는 하나의 태자를 낳으셨습니다.
왕에게는 이하가(伊賀迦)라고 하는 대신이 있었으며, 이 애자왕은 선우(善友)라고 하는 하나의 태자를 낳으셨습니다.
그에게는 제라가(帝羅迦)라고 하는 대신이 있었으며, 이 선우왕도 최상(最上)이라고 하는 하나의 아들을 낳으셨습니다.
그에게는 아발라건차(阿跋羅建姹)라고 하는 대신이 있었으며, 최상왕도 계행(戒行)이라고 하는 아들이 있었습니다.
그에게는 치라야가(哆羅惹伽)라고 하는 대신이 있었으며, 그 왕은 정수리위에 하나의 부스럼이 생겼는데 그 부스럼은 부드러워서 항상 도라솜[兜羅綿]으로써 닦았으니, 부스럼을 닦은 것은 여러 가지 아픔이 없게 함이었습니다. 그 부스럼이 뒤에는 곪아서 저절로 터지더니 하나의 동자가 탄생하였는데 복과 덕이며 단정하고 엄숙하여 서른두 가지 모습을 갖추었으므로 모두가 애지중지하였으며 그대로 이름을 지어서 정생왕(頂生王)이라 하였는데 왕의 정수리에서 내려오자마자, 곧 내궁(內宮)으로 들어갔습니다.
그 때 계해왕의 내궁 안에 6만의 궁인(宮人)이 있었고 저마다 젖이 있었으므로 모두가 왕에게 아뢰기를 ‘저에게 젖이 있사오니, 원컨대 태자에게 젖을 먹이게 하소서’ 라고 하였는데, 이 인연으로 말미암아 또한 이름하기를 아내왕(我嬭王)이라 하였습니다.
그 때 세간의 모든 중생들은 지혜가 점차로 더하고 자세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아주 작은 일에도 혹은 옳다 혹은 그르다 하기도 하고 교묘한 것 등까지 헤아리며 분별하였으므로, 그 때문에 마노사(摩努沙)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즉 그 때에 여섯 분의 큰 천자(天子)들의 수명은 한량없었고 여섯의 대신이 있었습니다. 첫째 분의 이름이 유정(有情)이요, 둘째 분의 이름이 이하라(伊賀羅)요, 셋째 분의 이름이 제라가(帝羅迦)요, 넷째 분의 이름이 아발라건차(阿跋羅建姹)요, 다섯째 분의 이름이 치라야가(哆羅惹伽)요, 여섯째 분의 이름이 마노야(摩努惹)이었으니, 이와 같은 여섯 분의 대신은 총명하고 지혜로워서 세간을 잘 다스리고 크고 거룩한 덕이 있었습니다.
때에 정생왕은 그의 오른편 넓적다리에 하나의 부스럼이 생겼는데, 그 부스럼은 부드러워서 언제나 도라솜으로 닦았고 부스럼을 닦아서 여러 가지 아픔을 여의었더니, 뒤에 부스럼은 곪아서 저절로 터지면서 하나의 동자가 나왔는데 몸의 형상이 단정하고 엄숙하여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모습을 갖추었습니다. 이름은 니로(尼嚕)라 하였는데 큰 지혜가 있고 복과 덕이 한량없으며 금륜왕(金輪王)이 되어서 4천하를 통솔하였습니다.
니로 금륜왕은 그 뒤에 왼편 넓적다리에 역시 하나의 부스럼이 생겼는데 그 부스럼은 부드러워서 언제나 도라솜으로써 닦았고 부스럼을 닦아서 여러 가지 아픔을 여의었더니, 뒤에 도리어 곪아서 저절로 터지면서 하나의 동자가 나왔는데 단정하고 퍽이나 아름다우며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모습을 갖추었었습니다. 이름은 오파니로(焉波尼嚕)라 하였는데 지혜가 깊고 멀며 복과 덕이 한량없으며 은륜왕(銀輪王)이 되어서 3천하를 통솔하였습니다.
오파니로왕도 곧 뒷날에 오른편 발위에 하나의 부스럼이 생겼는데, 그 부스럼은 부드러워서 역시 도라솜으로써 닦았고 부스럼을 닦아서 여러 가지 아픔을 여의었더니, 뒤에 부스럼은 곪아서 저절로 터지면서 하나의 동자가 나왔는데 몸의 형상이 단정 엄숙하여 서른두 가지라 하였는데 복과 지혜가 깊고 도타우며 동륜왕(銅輪王)이 되어서 2천하를 통솔하였습니다.
실니로왕은 왼편 발 위에 하나의 부스럼이 났는데, 그 부스럼은 부드러워서 도라솜으로써 닦았고 부스럼을 닦으매 여러 가지 아픔이 없더니, 뒤에 부스럼은 곪아 저절로 터지면서 하나의 동자가 나왔는데 빛깔과 형상이 단정하며 서른두 가지의 거룩한 모습을 갖추었습니다. 이름은 마니로(摩尼嚕)라 하였는데 복과 지혜가 깊고 도타우며 철륜왕(鐵輪王)이 되어서 하나의 천하를 통솔하였습니다.”
그 때 대목건련은 석씨 대중들에게 말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왕위를 서로 이으면서 지금까지에 이르렀는데, 그 수는 극히 많습니다.
이와 같은 뭇 여러 왕에게는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이 애왕(愛王)이었고, 애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이 선우왕(善友王)이요, 선우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이 최상왕(最上王)이요, 최상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이 계행왕(戒行王)이요, 계행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이 정생황(頂生王)이요, 정생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이 니로왕(尼嚕王)이었습니다.
니로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은 오파니로왕(焉波尼嚕王)이요, 오파니로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은 실니로왕(室尼嚕王)이요, 실니로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마니로왕(摩尼嚕王)이요, 마니로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은 노즐왕(嚕喞王)이요, 노즐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은 소로즐왕(酥嚕喞王)이요, 소로즐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은 모즐왕(母喞王)이요, 모즐왕(母喞王)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은 모즐린날왕(母喞鱗捺王)이었습니다.
모즐린날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은 아아왕(阿誐王)이요, 아아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은 아의라타왕(阿儗羅他王)이며, 아의라타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은 바의라타왕(婆儗羅他王)이며, 바의라타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은 사아라왕(沙誐羅王)이며, 사아라왕에게 아들이 있었으니 이름은 마하사아라왕(摩賀娑誐羅王)이었습니다.
마하사아라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이 사구니왕(舍矩尼王)이요, 사구니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구사왕(矩舍王)이요, 구사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오파구사왕(矩波矩舍王)이요, 오파구사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마하구사왕(摩賀矩舍王)이요, 마하구사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소날리사나왕(酥捺哩舍曩王)이었습니다.
소날리사나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은 마하소날리사나왕(摩賀酥捺哩舍曩王)이며, 마하소날리사나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은 발라나야왕(鉢囉拏耶王)이며, 마하발라나야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은 발라나나왕(鉢囉拏那王)이며, 발라나나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은 마하발라나나왕(摩賀鉢囉拏那王)이었습니다.
마하발나나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이 발라반가라왕(鉢囉半迦囉王)이요, 발라반가라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이 발라다파왕(鉢囉多波王)이요, 발라다파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박미로왕(嚩彌嚕王)이요, 박미로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이 미로마다왕(彌嚕摩多王)이요, 미로마다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이 아리즐왕(阿哩喞王)이었습니다.
아리즐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은 라리즐슬마왕(囉哩喞瑟摩王)이며, 라리즐슬마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은 나리즐슬마다왕(曩哩喞瑟摩多王)이며, 나리즐슬마다왕에게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은 아리지사만다왕(阿哩止沙滿多王)이었으니, 이러한 왕등의 자손은 서로 이어받아서 한가지로 1백의 큰 나라 왕이 있었고 모두가 포다라가성(布多羅迦城)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맨 나중의 왕에게서 낳은 한 왕의 이름이 항원왕(降怨王)이었었는데, 그 왕은 크고 거룩한 덕을 지녀서 모든 원수들을 항복하였으므로 이름을 항원왕이라 하였으며, 이렇게 하여 이 왕의 자손들은 서로가 이어받아서 임금의 자리가 끊어지지 않으면서 5만 4천의 왕이 있었는데 아유타야성(阿喩駄也城)에서 도읍(都邑)하고 있었습니다.
또 이 최후의 왕에게서 다시 낳은 한 아들의 이름은 무능승왕(無能勝王)이며, 그 왕의 자손들이 서로 이어받아 임금의 자리를 계승하면서 6만의 천자가 있었는데 바라나국(波羅奈國)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또 낳은 한 아들의 이름이 욕발라사하왕(縟鉢囉娑訶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8만 4천의 왕이 있었는데 긴폐라성(緊閉羅城)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다시 낳은 한 아들의 이름이 범수왕(梵修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3만 2천의 왕이 있었는데 하실제나포리성(賀悉帝曩布里城)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또 낳은 한 아들의 이름이 하실제날다왕(賀悉帝捺多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5천의 왕이 있었는데 달차시라성(怛叉尸羅城)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다시 낳은 한 아들의 이름이 사다려살왕(娑多黎薩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3만 2천의 왕이 있었는데 오라사대성(烏囉娑大城)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또 낳은 한 아들의 이름이 나아나미나왕(曩誐曩彌曩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3만 2천의 왕이 있었는데 무능대성(無能大城)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다시 낳은 아들의 이름이 승군왕(勝軍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1만 8천의 왕이 있었는데 첨파대성(瞻波大城)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또 낳은 한 아들의 이름이 용천왕(龍天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2만 5천의 왕이 있었는데 달마려다성(怛摩黎多城)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또 낳은 한 아들의 이름이 인왕(仁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1만 2천의 왕이 있었는데 역시 달마려다성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다시 낳은 한 아들의 이름이 해왕(海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1만 8천의 왕이 있었는데 난다포리야성(難多布里也城)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또 낳은 아들의 이름이 묘의왕(妙意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2만 5천의 왕이 있었는데 왕사성(王舍城)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또 낳은 아들의 이름이 사다모노나왕(娑多謨努那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1백의 왕이 있었는데 역시 바라나국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또 낳은 아들의 이름이 대군왕(大軍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1천의 왕이 있었는데 구사박제대성(矩舍嚩帝大城)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다시 낳은 한 아들의 이름이 해군왕(海軍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1천의 왕이 있었으며 보다라가성(補多羅迦城)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다시 낳은 한 아들의 이름이 사다반니라왕(娑多半尼囉王)이며, 자손이 서로 계승하면서 8만 4천의 왕이 있었는데 구사박제성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또 낳은 한 왕의 이름이 마히목가왕(摩呬目佉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10만의 왕이 있었는데 역시 바라나국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다시 낳은 한 왕의 이름이 마히발제왕(摩呬鉢帝王) 또는 지주왕(地主王)이라 하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1백의 왕이 있었는데 아유타대성(阿喩駄大城) 안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다시 낳은 한 왕의 이름이 지세왕(持世王)이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8만 4천의 왕이 있었는데, 미체라성(彌體羅城)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다시 낳은 한 왕의 이름이 대천왕(大天王)이어서 맑은 행이 깨끗하였으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8만 4천의 왕이 있었는데 역시 미체라성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다시 낳은 한 왕의 이름이 이미왕(儞彌王)이며, 그 왕이 다시 마오노왕(摩娛努王)을 낳고, 마오노왕은 다시 날리차이미가노왕(涅里姹儞彌佉努王)을 낳고, 날리차이미가노왕은 다시 로파가노왕(嚕波佉努王)을 낳고, 로파가노왕은 다시 가노마나왕(佉努摩多王)을 낳고, 가노마나왕은 다시 가노만다왕(佉努滿多王)을 낳았습니다.
가노만다왕은 다시 소날리사왕(酥涅里舍王)을 낳고, 소날리사왕은 다시 사날리사왕(娑涅里舍王)을 낳고, 사날리사왕은 다시 소로다세나왕(酥嚕多細曩王)을 낳고, 소로다세나왕은 다시 달마세나왕(達摩細曩王)을 낳고, 달마세나왕은 다시 미이다왕(尾儞多王)을 낳았습니다.
미이다왕은 다시 마하미이다왕(摩賀尾儞多王)을 낳고, 마하미이다왕은 다시 미이다세나왕(尾儞多細曩王)을 낳고, 미이다세나왕은 다시 아수가왕(阿輸迦王)을 낳고, 아수가왕은 다시 미아다수가왕(尾誐多輸迦王)을 낳고, 미아다수가왕은 다시 파라사타왕(頗羅娑埵王)을 낳고, 파라사타왕은 다시 야라사타왕(惹羅娑埵王)을 낳았습니다.
야라사타왕은 다시 몰도마라왕(沒度摩囉王)을 낳고, 몰도마라왕은 다시 아로나왕(阿嚕拏王)을 낳고, 아로나왕은 다시 이선파제왕(儞扇波帝王)을 낳고, 이선파제왕은 다시 이오왕(里娛王)을 낳고, 이오왕은 다시 승가라가왕(商迦囉迦王)을 낳고, 승가라가왕은 다시 아난나왕(阿難那王)을 낳았습니다.
아난나왕은 다시 아나리사목가왕(阿那里舍目佉王)을 낳고, 아나리사목카왕은 다시 야나가왕(惹那迦王)을 낳고, 야나가왕은 다시 산야나가왕(散惹曩佉王)을 낳고, 산야나가왕은 다시 야나사바왕(惹曩沙婆王)을 낳고, 야나사바왕은 다시 안나파나왕(案曩播曩王)을 낳았습니다.
안나파나왕은 다시 발라조라나파나왕(鉢囉祖囉曩播曩王)을 낳고, 발라조라나파나왕은 다시 아니다왕(阿檷多王)을 낳고, 아니다왕은 다시 바라니다왕(波羅嚩多王)을 낳고, 바라니다왕은 다시 발라지슬치다왕(鉢囉底瑟恥多王)을 낳고, 발라지슬치다왕은 다시 소발라지슬치다왕(酥鉢囉底瑟恥多王)을 낳았습니다.
소발라지슬치다왕은 다시 마하마라왕(摩賀滅王)을 낳고, 마하마라왕은 다시 박하나왕(嚩賀曩王)을 낳고, 박하나왕은 다시 소마제왕(酥摩帝王)을 낳고, 소마제왕은 다시 날리차박하왕(涅里姹嚩賀王)을 낳고, 날리차박하왕은 다시 날사타노왕(捺捨駄努王)을 낳고, 날사타노왕은 다시 설다타노왕(設多駄努王)을 낳았습니다.
설다타노왕은 다시 나박기타노왕(曩嚩帝駄努王)을 낳고, 나박기타노왕은 다시 실좌달라타노왕(室左怛囉駄努王)을 낳고, 실좌달라타노왕은 다시 날리차타노왕(涅里姹駄努王)을 낳고, 날리차타노왕은 다시 날사라타왕(捺捨囉他王)을 낳았습니다.
날사라타왕은 다시 설다라타왕(設多囉他王)을 낳고, 설다라타왕은 다시 나박제라타왕(曩嚩帝囉他王)을 낳고, 나박제라타왕은 다시 즐달라라타왕(喞怛囉囉他王)을 낳고, 즐달라라타왕은 다시 날리차라타왕(涅里姹囉他王)을 낳았는데, 이와 같은 자손들은 서로 계승하면서 7만 7천의 왕이 승가대성(僧迦大城)에서 도읍(都邑)하고 있었습니다.
또 최후의 왕에게서 다시 낳은 한 왕의 아들이 있어서 아말려사왕(阿末麗沙王)이요, 그 왕에게 아들이 있어서 이름이 용호왕(龍護王)인데,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1백의 왕이 바라나국에서 도읍하고 있었습니다.
또 최후의 왕에게서 낳은 그 한 아들의 이름이 흘리길왕(訖哩吉王)인데, 그 때에 가섭(迦葉) 여래(如來)ㆍ응공(應供)ㆍ정변지(正遍知)ㆍ명행족(明行足)ㆍ선서(善逝)ㆍ세간해(世間解)ㆍ무상사(無上士)ㆍ조어장부(調御丈夫)ㆍ천인사(天人師)ㆍ부처님 세존께서 세간에 출현하셨으며, 그 부처님ㆍ세존께서 보살이었을 적에 계율과 맑은 행을 지니면서 큰 서원을 세워 위없는 깨달음을 구하였으므로 도솔천에서 보처(補處)가 되어 근기와 인연이 성숙되고서는 흘리길왕의 궁전으로 내려와 태어났다가 왕위를 버리고 수행하여 부처님의 도를 이룩하셨습니다.
그 때 흘리길왕은 선생(善生)이라는 한 태자가 있었고, 이 선생왕에게서 다시 왕자를 낳았는데 이렇게 하여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다시 왕자를 낳았는데 이렇게 하여 자손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1백의 왕이 있었습니다.
그 최후의 왕에게서 다시 낳은 한 아들의 이름이 가라나왕(迦囉拏王)인데 그 후에 두 왕자를 낳았으며 첫째가 구담(瞿曇)이요, 둘째의 이름이 바라내박야(婆羅捺嚩惹)이었는데 이 왕자는 왕궁을 사랑하고 좋아하며 나라의 자리를 탐내면서 항상 생각하기를 ‘세간을 편안히 위로하고 왕의 일을 행하리라’고 하였으나, 그 때에 구담 왕자는 언제나 생각하기를 ‘중생들이 나고 죽으면서 세 길에 빠지며 괴로움에서 바퀴 돌듯하여 뛰어나기 어렵구나’라고 하였으며, 이런 생각을 하고서 곧 부왕에게 나아가 꿇어앉아 머리 조아려 예배하고 왕에게 아뢰었습니다.
‘저는 이제 왕궁이 좋지 않사오며, 산과 들에서 맑은 행을 수행하고 싶으므로 집을 떠나겠습니다.’
왕은 곧 말하였습니다.
‘너는 나의 아들이 되었으므로 모든 국토와 왕위며 재상 대신들이 마치 손가락과 손바닥에 있음과 같다. 무엇 때문에 가벼이 버리고서 집을 떠나겠다고 하느냐?’
그러자 구담은 아뢰었습니다.
‘대왕이시여, 저는 자세히 살피건대, 삼계는 마치 눈흘림과 같고 허깨비와 같아서 단단하거나 진실함이 없고 찰나 찰나가 무상하온데 어찌 사랑하고 즐길 만하겠나이까? 저는 오늘 왕을 하직하고 집을 떠나겠사옵니다.’
왕은 듣고 나서 아들의 뜻을 알고 곧 허락하였습니다.
그 때 산중에 이름이 흘리슬나폐파야노(訖哩瑟拏吠波野努)라는 한 신선이 있었는데 그 산간에서 풀로써 암자를 만들고 살면서 수행을 하였습니다.
이 때에 구담 동자는 곧 그곳으로 나아가서 뛸 듯이 기뻐하며 온몸을 땅에 던지고 신선의 발에 예배하면서 신선에게 아뢰었습니다.
‘저는 왕궁을 이별하여 이곳에 와서 신선을 받들고 섬기겠습니다. 원컨대 거두어 주소서.’
이렇게 하여 신선은 태자의 뜻이 굳굳함을 자세히 살피고서 곧 거두어 주었습니다.
그 때 동자는 곧 산간에서 과일을 따고 물을 길으면서 신선을 받들어 섬기며 이렇게 애쓰고 생각하기를 여러 해를 경과하였는데, 스승은 그 동자가 부지런히 힘쓰며 물러나지 않으므로 곧 또한 신선이라 이름을 지었습니다.
뒤에 부왕 가라나왕이 돌아가시자, 아우 바라내야가 즉시 왕위를 이어받아 나라의 일을 행사하였습니다.
이 때에 구담 신선은 왕이 돌아가셨음을 알고 스승에게 아뢰었습니다.
‘저는 이제 산중에서 과일을 따고 물을 길을 수가 없습니다. 성중으로 나아가서 머무르려 합니다.’
그러자 스승은 곧 말하였습니다.
‘구담아, 그대는 먼저 여기에 와서 산과 들에서 잘 머무르더니, 무엇 때문에 이제는 도리어 성읍으로 나가겠다 하느냐. 그대가 이제 떠나가되 성의 안에는 나아가지 말라. 다만 보다락가성(補多落迦城)의 측근인 고요한 곳에서 암자를 높이 세우고 머물면서 모든 감관을 수호하고 맑은 행에 힘써 나아가라.’
구담 동자는 이 말을 들은 뒤에 곧 보다락가의 큰 성 밖의 고요한 곳에 나아가서 암자를 높이 세우고 뜻을 단속하며 맑은 행을 존숭하고 닦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