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우스님─흰 옷도 입고 검은 옷도 입으라

흰 옷도 입고 검은 옷도 입으라

석우스님

얼마 전에 열반에 드신 서암 스님은 열반에 들기 전 제자가 열반송을 묻자 “나는 그런 거 없다.” 라고 대답하였다고 합니다.

그래도 누가 물으면 뭐라고 해야 하겠습니까 하고 물으니 “정 누가 물으면 ‘그 노장 그렇게 살다가 그렇게 갔다’고 해라.

그게 내 열반송이다.”라고 대답하였다 합니다.

보통 열반송이라고 하면 4언 절구로 이루어져서 마지막 가는 그 사람의 정신과 혼이 담긴 글이 나오기 마련인데 서암 스님은 그러한 형식을 무시한 채 아무 말도 남기지 않고 열반에 들려고 하였고, 제자가 부득이 한 말씀 권하자 그렇게 살다가 그렇게 갔다 해라 하고 가볍게 한마디 툭 던지셨던 것입니다.

서암 스님은 일본에서 대학을 졸업한 고학력자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별히 인위적인 것을 싫어하고 굳이 명예를 구하지 않았으며 평상시 고요한 성품 그대로 어떤 형식도 세우지 않았던 선사의 면모가 이 말 속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인위적이라는 말은 자연스럽지 못하다는 말입니다.

산에 가면 수많은 나무가 도열하여 서있습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나무는 저마다 개성을 지키면서 주변의 나무를 따라 위로 올라가고 있습니다.

어떤 나무는 이리 저리 굽으면서 위로 올라가고 있고, 어떤 나무는 가지를 여럿 벌려서 위로 올라가고 있고, 어떤 나무는 재목으로 써도 좋을 정도로 곧게 뻗어 올라가고 있습니다.

산은 이렇게 수 만가지 나무가 제형식대로 타고난 성품대로 어우러져 사는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줍니다.

나무가 자연스러운 것만큼 보기 편안한 것은 없습니다.

숲이 아름다운 것은 자연스럽기 때문입니다.

만약 누군가 나무는 곧게 위로 뻗어가야 좋다고 하면서 모든 나무를 한결같이 곧게 자라게만 하였다면 이것만큼 삭막하고 보기 불편한 것은 없을 것입니다.

이렇게 나무를 한 모양으로 만들어 놓으려고 하듯이 매사를 생각 속의 것으로 재고 만들고 판단하는 것을 인위적인 것이라고 합니다.

사람의 생각은 불완전합니다.

인위적인 것은 삭막하기만 할 뿐 편안한 아름다움이 없습니다.

자연은 자연스러워야 아름답고 사람도 자연스러운 사람이 훨씬 넉넉하고 편안합니다.

그런데 자연스럽게 산다는 것도 쉽지는 않습니다.

만약 자식이 공부는 안하고 게임에 빠져서 놀기에만 열중하여 아무리 야단치고 혼을 내어도 소용없다면 이것을 자연스럽다고 해야할지, 남편이 허구한 날 술독에 빠져서 밤 12시 넘어야 집에 돌아온다면 이것도 자연스러운 행동이라고 놔두어야할지 막막해집니다.

그런데 자연스럽다는 것과 습관적인 것은 다르다는 것을 구분해야합니다.

물론 사람이 유달리 게임을 좋아하는 기질이 다소 있는 사람이 있겠으나 이것은 그 사람의 기질이라기보다는 습관이 더 깊게 차지하고 있는 것이고, 밤 12시에 집에 돌아오는 사람도 그 사람의 기질이라기보다는 퇴근 후에 술 한잔씩 하던 것이 습관 되어 나중에는 늦게 귀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런 것은 자연스럽다고 놔둘 문제가 아니고 오히려 부자연스럽고 인위적인 것이므로 분명히 고쳐져야 할 것들입니다.

그러나 사람이 천성이 탁하고 맑지 못하여 약간 바보스럽다든지, 날 때부터 책을 좋아하고 공부에 취미가 있다든지, 무엇인가 만드는 것에 흥미를 느낀다든지, 남을 즐겁게 하는 코미디언의 기질이 있다든지 하는 것은 타고난 것이므로 오히려 자연스럽다고 해야할 것입니다.

이런 것들은 오히려 그 기질을 이해하고 다듬어서 인생을 사는데 크게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활동하도록 다듬고 보강하면 될 것입니다.

도는 자연스러움 속에 있습니다.

도인은 우주에 속에 있는 진실을 깨달아 사람에게 있는 거칠고 투박하고 이기적인 것들과 스스로 인위적인 것에 속박되었던 고정관념들을 타파하고 자연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자입니다.

따라서 좀 휘었지만 남에게 피해는 주지 않고 성실하게 사는데 도가 있고 곧게 가지만 자기만의 세계가 전부가 아니라는 겸손함에 도가 있습니다.

진정 도를 아는 자라면 흰 옷도 입고 검은 옷도 입으면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가는 자입니다.

(반야선회보에서)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