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을 가꾸자

꽃이 피고 새잎이 나고 대지에 푸른 기운이 감돌더니만 어느새 산과 들은 파스텔화로 변해버렸다. 또 달이 바뀌면 신록이 짙어가면서 서서히 유화로 그 모습을 바꾸겠지만. 한참을 유화 감상에 젖다보면 가을 단풍과 함께 수채화의 투명한 아름다움을 볼 수 있을 테고. 그러다가 잎이 지고 대지의 풀들이 말라버리면 자연스레 수묵화의 은은함을 보여주겠지. 어떤 위대한 예술가나 화가가 이 자연 앞에서 자기 솜씨를 뽐내고 아름다움을 논하랴.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자연을 통해 무상(無常)의 진리를 배우고, 대지의 품속에 들어서면 차례로 생의 교훈을 하나하나 가르쳐준다. 흙의 향기를 맡으면서 흙을 밟고 흙을 만져보자. 풀 위에 벌렁 드러누워 까치레한 풀밭에 볼을 가져다 대어보자. 흐르는 시냇물에 맨발로 들어가서 5분간만 서 있어 보자. 까마득히 잊혀졌던 고향마을과 부모님, 따뜻한 이웃, 그 옛날의 친구들, 그리고 추억…. 여기에 어디 거짓이 있고 탐욕이 있는가. 이 시간에 어디 명예와 권세를 꿈꾸겠는가. 어떻게 감히 성냄과 어리석음을 찾을 수 있겠는가. 이런 생각 속에 머물다 보면 어느새 세속을 떠나 멍청한 바보가 된다. 그리고는 말없이 땅을 파며 이마의 땀을 훔치게 된다.

이제 우리 사회도 한 주일에 닷새만 근무하면 되는 주5일 근무제가 시작되고 있다. 좀 이상하긴 하지만 공무원들이 먼저 토요 휴무를 하고, 이어서 이 제도는 산업현장에 도입될 것이고, 아마 교육계는 가장 늦게 시행될 것 같다.

그러나 이 시대 이 사회를 살아가려면 이 제도는 피해갈 수 없고, 선진사회로 가는 과정에서는 필연적인 제도라 보여진다. 한때 우리나라 사람을 일 중독증에 걸렸다고 비꼬는 외국인들이 있었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다. 일도 중요하지만 쉬고 싶고, 놀고 싶고, 즐기고 싶어한다. 당연한 일이겠지만 우려되는 바도 크다. 이웃 일본은 십여년 째 장기불황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는데 반해서 우리나라는 너무도 쉽게 빨리 불황을 벗어난다고들 좋아하고 정부에서는 은근히 자랑하고 있다. 수긍이 가지 않는다.

나라일이나 가정의 일이나 마찬가지다. 빚이 많다고 빚을 갚기 위해 문전옥답을 팔아 버리는 방법은 누구라도 할 수 있다. 견실한 기업을 팔아 빚을 갚는 것은 누구라도 할 수 있다는 말이다. 또 하나 걱정되는 것은 국민들의 소비심리나 소비성향이다. 일본은 지금 내수 시장이 꽁꽁 얼어붙어 백화점이나 할인매장도 손님이 없어 쩔쩔매고 있는데 우리네는 어떤가. 백화점 주변 교통상황을 보면 알만하지 않는가. 일본 사람들이 우리보다 가난하여 소비를 하지 않는 것인가. 일본은 구조조정 할 기업이 없어서 못하는가. 외국에 팔만한 기업이 없어서 못 파는가. 생각해 볼 일이다.

이쯤해서 우리의 눈을 백화점이나 할인매장, 해외관광에서 다른 곳으로 돌려보자. 일주일에 닷새를 일하고 이틀을 쉬게된다. 닷새동안 번 돈으로 이틀을 놀고 즐기는 것도 좋지만 하루쯤은 자연으로 돌아가면 어떨까. 텃밭을 가꾸자. 텃밭을 만들자. 텃밭을 마련하고 텃밭에서 배우자. 도회에서 1시간 내외 정도의 거리이면 적당할 것이다. 요즈음 시골에는 농사지을 사람이 없어 묵혀둔 농토가 지천이다. 여유가 되면 땅을 사면 더욱 좋고, 말만 잘하면 얼마든지 빌어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시골의 맑은 공기를 마시면서 땀흘리며 일을 하다보면 운동 또한 이만한 게 있을까. 온가족이 같이 땅을 파고, 돌을 가려내고, 씨앗을 뿌리고, 김을 매고, 물을 주고, 햇볕을 가려주고, 수확을 하는 것이다. 가족의 건강은 물론, 가정의 화목과 자녀교육에 이르기까지 어느 하나도 버릴게 없다. 생명의 존귀함을 느낌은 말할 것도 없고, 시간과 애정을 쏟는 것만큼 거둘 수 있다는 삶의 진리도 깨달을 수 있으리라. 땅은 거짓말을 하지 않으니까.

김형춘 글 / 월간반야 2002년 5월 (제18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