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초 참여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 우리의 정치나 사회는 지도자의 정제되지 않은 언어로 말미암아 계속 평지풍파가 일고 정쟁으로 연결되었다. 여야와 언론은 기다렸다는 듯이 그 말의 진의를 파악하려 들고, 상대를 공격하고 말꼬리를 잡고 물고 늘어지는가 하면, 차마 해서는 안 될 수준의 말까지 하고 나면 당사자의 해명성 발언이 나오고는 진정이 된다.
사뭇 조용해지면 호사가들은 이맘때쯤 ꡒ또 무슨 말이 나올법한데ꡓ 하면서 기다리기라도 하는 분위기까지 있으니 기가 찰 일이다. 가야할 길은 바쁜데 말로써 말이 많아지고 국론이 분열되며 소모성 논쟁만 가중되니 가히 말은 아랫사람이나 윗사람을 막론하고 조심해야 될 일이다.
고려 말의 고승 나옹(懶翁) 혜근(惠勤) 스님은 ꡒ청산(靑山)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 하고 창공(蒼空)은 나를 보고 티 없이 살라 하네 ……ꡓ 하시면서 수행자에게 가장 조심해야 할 과제는 ꡐ말ꡑ 조심을 하라고 읊으셨다. ꡒ입이 바로 화를 부르는 문(구시화지문․口是禍之門)이요, 혀가 바로 몸을 베는 칼(설시참도신․舌是斬刀身)ꡓ이라 하지 않았던가. 우둔한 사람의 마음은 입밖에 있지만, 지혜로운 사람의 입은 마음속에 있다고 했다. 일상생활에서 남의 말을 끝까지 듣지 않고 곧 바로 반박하거나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 없이 교만해져서 기분대로 말을 내뱉고 난 뒤 후회해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어떤 사람은 의도적으로 말실수를 해서 다른 사람과 시비를 하려 한다고도 하지만 결과적으로 자기에게 돌아오는 게 무얼까.
예로부터 수행자는 남의 일을 말하지 말라고 했다. 수행자가 마땅히 해야 할 일 네 가지(사의재․四宜齋)에서도 ꡒ생각은 맑게 하고 용모는 엄숙하게 하며 언어는 과묵하게 하고 동작은 신중하게 하라ꡓ고 했다.
신(身)․구(口)․의(意)의 삼업(三業) 중에서도 입으로 비롯되는 업이 가장 무서운가 보다. 그러기에 천수경의 첫머리에 구업을 깨끗이 하는 진언(정구업진언․靜口業眞言)이 나오지 않는가.
통도사 큰절의 여름 안거 입재 법어에서 ꡒ안거 중 수행을 통해 무엇을 얼마나 얻으려고 하지 말고, 얼마나 버리고 비울 것인가를 고민하라ꡓ고 당부하신 글을 읽었다. 우리가 입을 자주 열고 함부로 말하는 것은 세속적인 이익을 얻고자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진 것을 버리고 비우고 돌려주기 위해서라면 굳이 많은 말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다.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나무관세음보살.
김형춘 글. 월간반야 2004년 9월 제4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