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망초인생

옛날 시골 어느 마을에 갓 결혼한 신혼부부가 있었다. 농사짓고 살던 가난한 시절이라 어느 집 아래채 방에 세를 얻어 신접살림을 차렸다. 달포쯤 지낸 뒤 뜻밖의 사건이 생겼다. 새신랑 되는 사람이 이웃사람과 싸움이 벌어져 치고받고 격투를 벌이다 그만 힘센 이웃 남자에게 맞아 죽어버린 것이다. 이 사건으로 시집 온지 두 달 만에 남편을 잃은 신부가 충격으로 실성을 해 미친 사람이 되어버렸다. 정신이 이상해져버린 이 신부가 매일 남편을 죽게 한 이웃 남자 집 앞에 나타나 두 손을 치켜들어 손톱을 세우고 고양이가 쥐를 노리는 것처럼 쭈그리고 앉아 노려보는 표정을 짓고 떠나지 않는 것이었다. 동네 사람들이 실성한 신부가 남편 잃은 원한을 품고 저러는 것이라고 모두들 혀를 차며 동정을 하기도 했다.

세월이 흘렀다. 고양이처럼 손톱을 세우고 노려보던 젊었던 신부가 늙어 60대가 되고 70대가 되었다. 4〜50년의 세월이 지나도록 실성한 채로 살아온 노파가 다 된 신부가 간간이 남편을 때려죽인 사람 집 앞에 나타나 또 손톱을 세우고 성난 표정을 지으며 노려보고 앉는 일이 있는 것이었다. 이미 남편과 싸움을 했던 사람은 다른 마을로 이사를 가버려 없는데도 한 맺혀 실성한 할머니가 된 신부가 죽을 때까지 간혹 그 자리에 찾아와 앉아 원한을 품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더라는 것이다.

사람에게는 흔히 평생을 잊지 못하는 특별한 사연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더러 있다. 아니 대개의 사람들은 누구나 가슴 깊이 남아 있는 잊을 수 없는 일들을 가지고 있다. 그것이 은혜이든 원한이든 평생을 잊지 못하고 절절히 사무치는 가슴으로 있다면 인생은 분명히 물망초 같은 인생이다. 이는 내게 남아 있는 추억의 기억을 두고 하는 말일수도 있지만 인간 상호끼리 감정에 얽힌 인과의 관계가 그물처럼 얽혀 있다는 말도 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은 남에게 자기에 대한 기억을 좋게 남겨 놓아야 한다. 이것은 사회생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점이다. 바꾸어 말하면 좋은 이미지를 갖고 살아야 한다는 말이다. 잘못된 행동이나 부도덕한 처신을 하면 스스로의 이미지를 손상하여 남으로부터 모멸과 냉소를 받게 되는 것이다.

옛말에 “만고에 흐르는 긴 강의 물로도 한 번 더럽혀진 이름은 씻지를 못한다(萬古長江水 汚名洗不去)”고 하였다.

내가 남에게 베푼 은혜도 그렇거니와 반대로 내가 남을 해롭게 한 잘못을 상대는 길이 잊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남편을 죽인 상대에게 평생을 실성을 해 살면서도 그 원한을 잊지 않고 나타나더라는 노파의 비극적 이야기가 뜻하는 것은 한이 맺힌 것은 결코 잊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람의 생각도 하나의 행위며 또한 업의 종자가 된다. 마음속에 심어진 생각의 씨앗이 언젠가 때가 되면 싹이 나온다. 그래서 나와 남의 생각도 서로 교환되면서 인과관계를 이룬다. 때문에 가급적이면 나를 좋게 생각하듯이 남에 대해서도 좋게 생각하여야 한다. 생각 하나에 의해서 시간과 공간을 통한 왕래가 생기는 법이다.

사람의 마음은 언제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사이를 오고 가며 산다. 마음이라는 것은 언제나 시공을 자유자재하게 내왕하므로 동서고금을 생각대로 드나드는 것이다. 또 우리가 사는 삶이라는 것이 시간적으로 끊어지지 않는 연속적 흐름이기 때문에 삼세의 진행을 따라 끝없이 이어져 가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우리의 기억들은 곧잘 과거를 향해 역류하여 흐를 때가 있다.

지나간 세월 그 아련하고 그리운 추억들을 누구나 가슴 깊이 간직하고서 오늘의 시름을 달래가며 살아가는 것이 인생의 여정이다. 숱한 사연을 겪으며 오늘에 이르러 잊을 수 없는 기억의 편린들 때문에 자꾸 마음은 과거로 돌아가 그 시절에 있었던 자리를 떠나지 못하고 있는 수가 많다. “잊어버려라” 라는 충고를 스스로 하면서도 잊지 못하고 번뇌만 키워가는 경우가 허다히 많다.

우리의 기억에 떠오르지 않고 망각된 것들을 때로는 잊어버렸다고 말한다. 과거의 불행했던 일이나 좋지 못했던 한스러운 일을 이제는 잊었다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기억에 사라진 일이라 해서 없어진 일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업종자는 영원히 남는 것이다. 내가 내 업을 떠나지 못하고 사는 것이 중생의 일이다. 그림자 되어 따라오는 업의 자취 그것 때문에 우리는 과거를 영원히 잊지 못하고 또 잊을 수도 없는 것이다. 물망초의 전설처럼 누군가 우리에게 외치고 있다. “날 잊지 말아줘.” 물론 그 말 속에는 사랑의 씨앗이 들어 있는 수도 있고 원한의 씨앗도 들어있는 수도 있다.

지안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7년 3월 제76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