끽다거(喫茶去)

중국 당나라 때의 걸출한 선승(禪僧)인 조주종심(趙州從諗)선사(778~897)가

어느 날 방문한 두 신참학승(新參學僧)에게 물었습니다.

“당신은 전에도 여기에 온 적이 있는가?”

“일찍이 온 적이 없습니다.”

“그럼 차나 한 잔 하게”

또 선사가 다른 한 스님에게 물었습니다.

“그대는 여기에 온 적이 있는가?”

“있었습니다.”

“그럼, 자네도 차 한 잔 하게나.”

두 스님이 물러나자 옆에 있던 원주스님이 조주선사에게 물었습니다.

“노스님께서는 어찌하여 일찍이 여기에 온 일이 없는 이에게도 “차나 한 잔 하게”하고, 온 적이 있는 이에게도 “차나 한 잔 하게”라고 하십니까?”

그러자 스님은 “원주!” 라고 불렀습니다.

원주스님은 “예” 하고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선사께서는

“원주! 자네도 차나 한 잔 하시게”

조주선사의 “차 한 잔 하라”고 하신 것은 왔다, 안 왔다는 것에 의미를 두는 신참학승이나 구참자(여기서는 원주스님)의 분별심(分別心)으로 생각하는 이원적(二元的)인 사고가 아니라 무심으로 차를 마시기를 권했던 것입니다. 다시 말해 바로 지금 여기 자신이 처해있는 본분의 일(本分事)에 충실하라는 말씀인 것입니다.

‘끽다거(喫茶去)’란 글자 그대로의 의미는 단지 “차를 마시라”는 것입니다. ‘거(去)’는 어조사로서 특별한 해석은 하지 않습니다. 그냥 앞의 글을 강화시키는 글자로 부탁, 훈계, 명령 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조주선사의 이 말씀에서 유래된 ‘끽다거’는 이후 조주가풍 조주가풍(趙州家風)의 선미(禪味)가 그윽하게 풍기는 유명한 선종의 화두(話頭)가 되었습니다.

이 공안은 조주록(趙州錄) 하권과 조당집(祖堂集)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여인음수냉난자지(如人飮水冷暖自知)라.’

사람이 물을 마심에 차고 따뜻한 것은 직접 맛을 보아야 알 수 있으리라.

선의 참맛(眞味)을 맛보려거든 직접 실참(實參) 해 보시라!

인해스님 (동국대강사) 글. 월간반야 2005년 11월 제60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