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때문에 이러는가

며칠 전 밤늦게 잘못 걸려온 전화를 받고 기분이 몹시 불쾌해져버린 적이 있다. 자정이 넘은 시간에 술 취한 음성으로 전화를 건 사람이 받자마자 다짜고짜 버럭 고함을 지르면서 욕설을 퍼붓는 것이었다. “누구시요? 전화 잘못 걸었소.” 하고 끊었는데도 재차 걸어와 횡설수설 알아들을 수 없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었다.

물론 상대방의 실수로 인한 잘못 걸려온 전화사건에 불과한 것이긴 하지만 하나의 피해사건이다. 문화가 발달하고 문명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 사회에 있어서 예외로 생활 피해사건이 많다. 특히 전화에 시달리는 경우가 한 두 번이 아니다. 알 수 없는 이상한 단체 이름을 대면서 성금을 보내달라는 전화가 있는가 하면 약이나 책을 사달라고 전화판촉을 상습적으로 하는 사람들도 있다.

특히 작은 사찰이나 암자마다 이런 전화가 쇄도한다고 한다. 어쩌면 각박한 세상을 살아남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익을 취하자는 발버둥에 가까운 사람들의 몸부림이라고 생각될 때 불쌍한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분명히 이런 식으로 아무에게나 무작위 호출을 하여 동냥을 보태달라는 식은 곤란한 일이다.

사람이 하는 일이 사람들에게 이해가 안 되는 경우 그 일은 결코 옳은 일이 될 수 없다. 물론 숨은 뜻이 무엇인지 진의를 몰라 오해를 해서 남의 일을 잘못 판단하는 수도 있겠지만, 어떤 일이든지 합리적인 이유를 가지고 남이 수긍할 수 있는 명분을 가져야 한다. 여기에는 정직하고 진실한 마음이 전제되어야 한다.

철학을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인생은 자신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된다는 말이 있다. “내가 왜 이러는가? 무엇 때문에 이러는가?”에 대한 의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아야 한다는 말이다. 수도자들에게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불교의 궁극적 깨달음은 다름 아닌 자기 정체의 확인이다. 자기 아이덴티티를 바로 파악하는 것이 깨달음이다.

우리는 자기 인생의 목적을 세워 두고 거기에 이유를 붙인다. 나는 무엇 때문에 이것을 한다는 식의 자기 변을 가지고 자신을 합리화 시켜 자기 입장을 세운다. 그러면서 남과의 입장 차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입장이 달라 남과 다른 내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 차이 때문에 여러 사람들과 어울리는 공동관계에서 개인의 입장이 난처해지거나 곤란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럴 때 남으로부터 자기 입장에 대한 지지와 배려를 받고 싶어 하게 된다. 여기에서 서로 상충된 입장이 있을 때 내 입장은 지지와 배려를 받고 싶으면서도 남의 입장을 지지하고 배려해 주지 않는 모순이 생긴다. 다시 말하면 자기주장만 내 세우면서 남의 주장을 무시하게 된다는 말이다. 이것을 아상(我相)과 인상(人相)의 충돌이라고 한다. 그래서 중생의 세계는 항상 아상과 인상이 난무하는 세계가 된다.

『금강경』에서 부처님은 무아법(無我法)을 통달한 자를 보살이라 한다고 하였다. 내가 없다는 무아의 이치를 터득하여 어떤 관념적 고집에서 벗어나 자타의 대립 충돌을 사전에 예방하여 살아가는 삶의 길이 있다는 것을 가르쳐 보인 것이다. 사실 사람이 사는 생활방식이 저마다 다르다. 직업의 선택에 따른 생활이 다를 뿐만 아니라 습관에 의한 차이도 얼마든지 있다. 옛말에 창을 만드는 사람은 방패를 뚫지 못할까 걱정하고 방패를 만드는 사람은 창을 막지 못할까 걱정한다고 하였다. 입장이 다른 두 사람의 걱정에 아랑곳없이, 결과는 창이 강하고 날카로우면 방패를 뚫고, 방패가 튼튼하면 창이 뚫지 못하게 된다.

인연에 따라서 결과의 상황은 어떻게든지 나타나게 된다. 이 결과의 상황을 무심히 수용하는 여유로운 마음을 가지고 살아야 한다. 내가 바라는 어떤 결과가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핑계를 대고 변명을 하면서 자기 입장을 끝까지 지키려고 할 필요가 어떤 면에서 볼 때 전혀 없는 것이다. 무아란 자기 입장을 놓아버린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보살들은 남의 입장이 되어 내 원력을 키운다. 내 원력 속에 내 입장과 남의 입장이 함께 일치되어 있다. 불만에 허덕이거나 욕망에 허덕이는 경우 그 불만과 욕망에 자꾸 ‘왜’라는 의문을 갖다 붙이면, 불만도 없어지고 욕망도 없어지는 법이다. 삶이란 이유 없이 사는 것이고 조건 없이 사는 것이다. 나고 죽는 생사의 반복을 두고 말할 때 산다는 것은 죽기 위해서 사는 것이고 죽는다는 것은 살기 위해서 죽는 것이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9월 제58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