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를 타고 공항로를 빠져나와 평양시내로 들어갔다. 키 큰 버드나무들이 좌우로 숲을 이루어 서있으면서 가을바람에 나무 잎을 떨어뜨려 시멘트 도로바닥 위에 이리저리 뒹굴고 있다. 북측에서 나온 안내원의 간단간단한 설명을 들으면서 먼저 하룻밤을 묵을 양각도 국제 호텔로 갔다. 북한에서 제일 큰 호텔로 대동강 안의 양의 뿔처럼 생긴 섬에 지었다고 양각도 호텔이라고 부른다고 하였다.
방 배정을 받고 곧바로 식당에 가 점심공양을 하였다. 평화통일 불교협의회와 다른 단체에서 온 평양문화유적 참관단 290여명이 모두 이 호텔에 묵게 되었다. 배정된 방으로 올라가 창문을 열고 밖을 내다보았다. 대동강이 흐르고 강 건너 우뚝우뚝 솟아 있는 고층 빌딩들이 눈에 들어온다.
오후 2시부터 우리는 평양의 명소들을 차례로 관람하게 되었다. 먼저 찾아간 곳이 만경대 밑의 고향집으로 이곳은 김일성 주석의 생가라는 곳이다. 안내 설명을 해주는 여성이 뉴스방송을 진행하는 아나운서와 같은 세련된 목소리로 김일성의 조부모를 위시해서 김일성의 영웅적 투쟁을 힘주어 설명해 주었다. 만경대 위에 올라가니 평양 시내가 한 눈에 들어왔다. 만 가지 경치를 다 볼 수 있는 곳이라 하여 붙여졌다는 만경대는 이름 그대로 툭 트인 시야가 넓게 펼쳐지는 곳이었다.
우리는 정해진 코스를 따라 다음 장소로 이동했는데 개선문 관람이 있었고 주체사상탑 관람이 있었다. 모두 김일성의 업적을 기념하여 1982년에 세운 것들이다. 주체탑은 높이가 170m나 된다. 소위 주체사상이라는 것을 상징하는 탑이다. 북한 주민에게 있어서 김일성의 존재는 가히 신과 같은 존재임을 여러 가지로 느낄 수 있었다. 곳곳에 김일성을 기리는 탑이 세워져 있고 지금도 붉은 글씨의 구호를 세로로 적은 많은 탑들과 대형 초상화가 만들어지고 있었다.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는 항상 우리와 함께 계신다.” 사망한지 10년이 지난 그는 아직도 극진히 추앙되면서 곳곳에 탑과 초상화로 찬양되고 있었다.
저녁에는 아리랑 공연을 관람하였다. 5.1경기장 안에서 8만여 명이 동원되어 벌리는 집단체조는 가히 놀랄만한 볼거리였다. 특히 스탠드에서 2만여 명이 함께 벌린다는 카드색슨은 인간이 어쩌면 저렇게도 일사불란하게 훈련될 수 있는가하고 감탄을 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러나 반면에 슬픈 생각이 가슴을 적셨다. 6살 어린이에서부터 청장년에 이르기까지 수만 명의 인원이 한 치의 오차 없이 펼치는 매스게임이었지만, 사람이 어떻게 저렇게도 기계처럼 될 수 있을까 하는 어이없음이 혼합되는 감정이었다. 호텔에 돌아와 잠을 청하면서 관람후유증 같은 것이 느껴지면서 사람 사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알 수 없는 회의가 가슴 깊이 일어나고 있었다.
다음 날 우리는 묘향산으로 출발하였다. 시멘트로 포장된 준 고속도로를 2시간가량 달려 묘향산 입구에 도착하였다. 일요일인데도 오가는 차량이 거의 없는 한산한 길이었다. 도착하여 국제친선관람관을 관람한 후 보현사를 참배했다. 이 절은 이조 때 서산 스님이 머물었던 절로 현재 북한에서 가장 큰 절이다. 서산 스님의 호가 바로 이 절이 위치한 묘향산을 서쪽 산이라 한데서 붙여진 것이다. 주봉인 비로봉의 높이가 1909m이며 이 산에 자생하는 향나무, 측백나무 등에서 뿜어져 나오는 향기가 미묘해서 묘향산이라 불렀다. 절은 고려 중기 1042년에 창건되어 이조 때는 전국 5대사찰에 든 절이다.
서산스님은 묘향산이 우리나라에서 제일가는 명산이라 하였다. 금강산은 수려하지만 웅장하지 못하고 지리산은 웅장하지만 수려하지 못한데, 묘향산은 웅장하면서 동시에 수려하다고 평하였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위시해 관음전과 영산전의 법당이 있고 서산대사의 사당격인 수충사가 있었다. 또 넓은 마당을 낀 대웅전 맞은편에 만세루가 있고 팔만대장경보관소가 수충사 남쪽에 있었다.
우리는 대웅전에 들어가 예불을 드렸다. 오분향 선창에 이어 7정례를 올렸더니 법당 안이 창불의 메아리로 꽉 찼다. 비구와 비구니 스님을 합쳐 60여명이 드리는 예불 음성에 가슴이 찡하는 그윽한 감회가 일었다. 해방 후 처음으로 드리는 합동예불이라고 생각되었다. 절이 6.25전쟁 때 폭격으로 소실되고 일부 건물 외에 그 후 다시 지어졌는데 우리처럼 조석예불도 올려지지 않는 것 같았다. 절에 목탁도 제대로 없었다. 우리는 이 절에 목탁을 선물하였다. 이 절의 주지인 청암이라는 노스님이 나와 간단한 인사말을 했는데 머리를 기른 처사 모양에 우리 보다 짧은 장삼과 짧은 가사를 입고 있었다. 법타스님의 말에 의하면 북한에서 학덕이 매우 높은 스님이라고 하였다.
법당 앞마당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천천히 경내를 두루 둘러본 후 4시경에 우리는 버스에 올라 바로 순안 공항으로 나왔다. 산문을 나오면서도 자꾸 묘향산이 그리워졌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11월 제6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