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심명(信心銘) 강설 33

極小同大하야 忘絶境界하고

지극히 작은 것이 큰 것과 같아서
상대적인 경계 모두 끊어지고

어떻게 작은 것이 큰 것과 같을수 있는가? 이는 조그마한 좁쌀 속에 시방세계가 들어간다는 의미인데, 시방세계 속에 좁쌀이 들어간다는 말은 알기 쉽지만, 좁쌀 속에 속에 시방세계가 들어간다 하면 상식적으로 우스운 이야기가 됩니다. 그러나 원융무애하여 상대가 끊어진 세계는 조그마한 좁쌀 속에 삼천대천세계가 들어가고도 남는다는 것입니다. 왜 그러냐 하면, 상대적인 경계가 끊어져 한계가 없기 때문인 것입니다. 한계가 있으면 작은 좁쌀에도 한계가 있고 시방세계도 한계가 있으니 작은 좁쌀속에 어떻게 큰 시방세계가 들어갈수 있겠읍니까?

그러나 여기는 한계가 없으므로 조그마한 좁쌀 속에 큰 시방세계가 들어 간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작은 좁쌀이 큰 시방세계로서, 온 시방세계가 좁쌀 속에 모두 들어가는 것입니다. 그것은 크고 작은 한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가령 경계가 있다면 좁쌀 속에 어찌 시방세계가 들어갈 수 있겠읍니까?

極大同小하야 不見邊表라

지극히 큰 것은 작은 것과 같아서
그 끝과 겉을 볼 수 없음이라

지극히 커도 작은 것과 동일하여, 가도 없고 밑도 없고 끝도 없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작은 것이 큰 것과 같다’함과 ‘지극히 큰 것이 작은 것과 같다’함은 쌍조(雙照)를 말한 것이며, ‘경계가 끊어졌다’함과 ‘끝과 겉을 볼 수 없다’함은 쌍차를 말한 것으로 모두 양변을 여의었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쌍차쌍조(雙遮雙照)가 되면 둘 아닌 세계(不二世界)에 들어가지 않을래야 않을 수 없읍니다.

性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