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풍취동우초헐 西風吹動雨初歇 하늬바람 불자 비는 벌써 그쳤네
만리장곤무편운 萬里長空無片雲 넓은 하늘에 구름조각 하나 없구나.
허실호거관중묘 虛室戶居觀衆妙 빈방에 앉아 온갖 묘한 이치를 관하니
천향계자낙분분 天香桂子落紛紛 하늘의 계수나무 향기(달빛) 어지러이 떨어진다.
이 시를 감상하면 지루한 장마가 그치고 더위를 몰아내는 하늬바람이 불어왔나 보다고 느껴진다. 하늘에서부터 가을 기운이 내려오기 시작한다. 여름의 그 많던 뭉게 구름도 어디론가 사라졌다. 빈방에 홀로 앉아 좌선에 여념이 없다가 밤이 되어 달 뜬 줄도 몰랐다. 선정에서 깨어나 창문을 열었더니 달 속의 계수나무 향기가 여기 저기 떨어진다. 계수나무 향기는 곧 달빛이다. 임진왜란 때 승병장으로 활약했던 서산스님의 제자 사명스님이 쓴 시다. 지리산 어느 골짜기에 앉아 여름이 물러가고 가을이 오는 절기를 느끼면서 지었는지 제목이 <靑鶴洞秋坐>라 되어 있다. 지금의 청학동이 아닌 속세와 멀리 떨어진 불로장생술을 닦는 도인들이 모이는 골짜기라는 전설적인 이상향을 상징하는 이름이 청학동이다. 하늘에 뜬 달빛이 땅에 비쳐오는 모습을 달 속에 있다는 계수나무 열매가 꽃잎처럼 떨어진다고 묘사하였다. 참으로 멋진 시구이다. 결국 달빛이 계수나무 열매의 향기라는 말이다. 때로는 먼 하늘을 바라보면 그리운 사람의 얼굴이 향기로 닦아옴을 느낄 수 있는 것이 사람의 순수한 감정이다. 무심은 순수를 의미하는 것이지 아무 감정이 없다는 뜻은 아니다.
지안스님 해설. 월간반야 2003년 7월 (제3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