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혼자 산방에 앉아 좌선을 하거나 간경을 하다가 법당 처마 밑에서 들려오는 풍경소리를 들을 때가 있다. ‘뎅그렁 댕’ ‘뎅그렁 댕’ 바람에 물고기 모양의 쇠붙이가 흔들리면서 방울종을 치는 소리가 고요한 산속의 정적을 깨뜨리며 맑은 멜로디를 허공에 흩는다.
천동여정(天童如淨:1163~1228)선사는 풍경소리를 듣고 유명한 선시 반야송(般若頌)을 지었다.
“온 몸이 입이 되어 허공에 걸려
동서남북 바람을 가리지 않고
언제나 똑같이 반야를 노래하네.
뎅그렁 댕 뎅그렁 댕”
풍경소리가 반야의 노래라는 것은 물론 도를 깨친 분상에서 하는 말이다. 무정설법(無情說法)이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산하대지의 모든 것이 부처님의 법을 설하고 있다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보면 바람 소리 물소리를 위시한 이 세상 모든 소리가 반야의 소리로 들릴 수 있다. 심심 미묘한 법성의 이치에서 세상을 보고 들을 때는 번뇌를 떠나 있는 또 다른 소식이 보이고 들린다는 것이다.
사람은 생각하는 차원에 따라 객관의 경계를 다르게 받아들인다. 마음이 보고 듣는 감각적인 느낌도 심리적 상태에 따라 매우 다르다. 가령 오래 그리워하던 사람을 만났을 때 웃음으로 만나기도 하고 울음으로 만나기도 한다. 정한(情恨)이 맺힌 남북 이산가족이 만나는 장면은 언제나 눈물의 바다를 이루고 있지 않던가? 난리 통에 객지를 전전하며 고향의 처자형제 소식을 모르고 있던 두보는 부서진 성안에 들어가 시를 지으며 꽃이 눈물을 흘리게 한다 하였다. 비극을 당하여 남모를 고통의 아픔을 안고 사는 사람일수록 감춰둔 눈물의 양이 더 많을 것이다. 그러나 인생에는 분명 비극도 있고 희극도 있는 것이지만 사람 사는 법 그 자체에는 슬픔과 기쁨이 떠나 있다. 번뇌를 객진(客塵)이라 하는 것은 내 집에 찾아온 손님처럼 본래 없던 것이 외부에서 우연히 들어와 손님처럼 있다는 것이다.
이백(李白)은 그의 글에서 세월을 손님이라고까지 표현하였다. 『춘야연도리원서』에서 그는 “하늘과 땅은 만물이 쉬는 숙소요, 세월은 대대로 길가는 나그네”라 하였다. 사람을 두고 생각해 볼 때 몸은 나이를 먹는 물건이다.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세월 따라 늙어지는 것을 뜻한다. 시간의 지배를 받는 것이니까 이 몸도 결국은 나그네 신세를 면치 못한다. 태어나고 죽는 생사가 과객의 행로란 말이다. 그러나 몸의 주인인 마음을 생각해 보자 마음이 나이를 먹는다고 생각할 수 없다. 그것은 하늘 곧 허공이 나이를 먹는다고 할 수 없는 것과 같다. 물질적 형체가 아닌 텅 빈 허공을 두고 연륜을 헤아려볼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가고 오는 내왕이 끊어진 것, 그러면서도 하늘과 땅보다 먼저이고 동시에 하늘과 땅보다 나중인 우리의 마음 이것을 그냥 한 물건이라고 불러오기도 했다. 『금강경오가해서설』이나 서산스님의 『선가귀감』 첫 구절에 “한 물건이 여기 있다 하였다.” 내가 지금 여기에 있는 것은 한 물건이 있는 것이다. 시공을 초월하여 때로는 허공신(虛空身)이 되어 온 세상을 몸속에 포함해 버리는 무한한 작용을 이 물건이 있어서 하는 것이다.
해가 가고 오는 세월의 어귀에서 잠시 나그네 심사가 되어 묵상을 하면서 입선(入禪)의 시간을 가져본다. ‘이 뭣고!’ 하고 한 물건을 챙겨 보지만 화두를 밀치고 스며드는 새치기 생각이 자꾸 일어나 뒤돌아 보이는 게 많다. 살아온 사연들이 애상에 물들기도 하고 가버린 시절에 대한 아련한 그리움도 떠오른다. 가슴 깊숙이 세월의 풍경소리가 자꾸 들린다. 오늘도 동쪽에 뜬 해가 서쪽으로 질 것이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0년 1월 11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