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남스님─자살은 생명에 대한 모독

자살은 생명에 대한 모독

-혜남스님-

우리 축구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원정 16강에 들어가 온 나라가 축제 분위기였다.

이러한 때에 한류 스타 박용하 씨가 자살함으로 인하여 온 나라를 슬픔에 잠기게 하였다.

박 씨는 한류스타로서 일본에도 많은 팬을 갖고 있어 거기서도 눈물바다를 이루어 한 음식점에 마련된 빈소에는 이틀 만에 1000명이 넘는 조문객이 다녀갔다고 한다.

박 씨는 많은 사람들에게 아픔을 안겨주고 간 셈이다.

삼가 조의를 표하고 왕생극락을 비는 바이다.

보도에 의하면 근래에 들어 자살하는 사람이 계속 늘고 있는 추세이고 특히 연예인의 자살이 많다고 한다.

이를 염려한 원로 연예인들이 “연예인의 자살은 사회에 대한 폭력이다”라고 말하며 생명을 함부로 하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고 한다.

마음에 새길 말씀이라고 생각한다.

자살은 왜 하는가? 생각나는 대로 몇 가지 사례를 짚어보니 권자에서 물러나 새로운 권력으로부터 압력을 느낄 때, 타의에 의하여 직장에서 물러났을 때, 연예인이 인기에 불안을 느낄 때 주목받던 교수가 연구 실적이 부진할 때, 사업이 부도가 났을 때, 애인으로부터 버림받았을 때 등이 떠올랐다.

부모의 반대를 피하여 작은 절로 찾아와 주례를 맡아 달라는 부탁을 거절할 수 없어 냉수 한 그릇 불전에 올리고 “이렇게 빈손으로 결혼식을 올리듯이 늘 빈손 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기도하며 사십시오”라고 가장 짧고 뜻 깊은 결혼식 주례를 하였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공수래(空手來) 공수거(空手去)’, 본래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는 이치를 관찰한다면 무슨 잃어버릴 권력이 있으며 잃어버릴 재산 지식 명예가 있겠는가.

모든 것이 구름처럼 왔다가 가는 것 아니겠는가.

다만 소중한 것은 참다운 생명이다.

이 생명 에너지를 나는 불성 자성 한 물건 등으로 표현한 것으로 이해하고 싶다.

스스로 자기 생명을 버리는 것은 불성종자를 버리는 것이고 생명의 근원을 끊어버리는 것이다.

깊이 생각 하기를 빈다.

-불교신문-

혜남스님─순간순간이 해탈임을 깨닫고 내 안의 아미타불 찾자

“순간순간이 해탈임을 깨닫고 내 안의 아미타불 찾자” 양산 통도사 전계대화상

혜남스님

〈화엄경〉의 게송 중에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만일 어떤 사람이 삼세 일체의 부처를 알고자 한다면 마땅히 법계의 모든 본성이 마음으로 이뤄진지 알아라”라는 뜻입니다.

즉, 마음을 잘 쓰면 행복하게 되고 마음을 잘 못 쓰면 불행하게 된다는 말입니다.

중생이 부처님과 가르침인 법, 부처님의 법을 따르며 수행하는 스님을 마음깊이 생각하며 염불한 공덕으로 해탈하게 되는 것입니다.

염불은 흔히 소리를 내며 하는 것이라고만 알고 있지만 마음속으로 하는 염불도 있습니다.

흘러가는 시간 등 물리적인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하지만 불안과 공포 등 마음속의 심리적인 것들은 놓아버리면 없어지는 것들입니다.

세속의 공부는 계속 쌓아가는 것이 미덕이고 최고이지만, 도문(道門)의 길에 접어들면 필요 없는 것들을 하나씩 버려 나가야 합니다.

계속 버려 더 이상 버릴 것이 없는 단계가 곧 도의 경지인 것입니다.

흑씨 범지가 부처님께 법문을 청하기 위해 양손에 꽃을 들고 부처님께 올리려고 하자, 부처님께서는 “놓아버려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에 흑씨 범지는 오른손에 든 꽃을 놓아버렸지만 부처님은 또 “놓아버려라”고 하셨습니다.

이에 왼손의 꽃마저 놓아버렸지만 또 “놓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흑씨 범지는 “더 이상 놓을 것이 없는데 무엇을 더 놓으라고 하십니까”라고 부처님께 여쭙게 됩니다.

이에 부처님께서는 “내가 너에게 놓으라 한 것은 꽃을 놓으라 한 것이 아니라 밖으로 6진(六塵)과 안으로 6근(六根), 중간의 6식(六識)을 한꺼번에 놓아버리라 한 것이다.

놓아버릴 곳이 없으면 이 곳이 네가 생사를 면한 곳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즉, 쓸데없는 잡생각을 다 놓아버리라는 뜻입니다.

그 망심이 다한 그 자리가 곧 부처자리요, 그 시간으로 부처가 된다는 말입니다.

흔히 우리는 행복을 먼 곳에서만 찾으려고 합니다.

고귀한 서적이나 사람을 만나 이를 찾으려고도 합니다.

또한 작은 씨앗을 심어 먼 미래가 되어서야 수확할 수 있는 열매를 행복이라고 착각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지금 바로 이 시간, 이 자리가 곧 부처님이 계신 곳이요, 해탈의 시간인 것입니다.

또한 이것이 바로 행복입니다.

어디를 가시던지 그 순간순간이 해탈이며, 누구를 만나던지 만나는 그 사람이 바로 부처요, 해탈이며 행복임을 잊지 마시고 살아가시길 당부드립니다.

혜남스님─본분 잃지 말고 주인으로 살라

‘적멸’에서 오신 부처님 싯달타 태자의 몸으로 이 땅에 오신지 80년, 깨달음을 이루고 45년간 중생 교화에 나섰던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기원전 544년 2월15일 열반에 들었다.

슬픔에 젖은 아누룻다가 게송을 읊었다.

‘무위(無爲)에 머무시는 부처님 / 나고 드는 숨결 멈추시도다 / 본래 적멸에서 오신 부처님 / 신비로운 광채 이곳에서 거두시도다’ 사진은 인도 아잔타 석굴 제26굴의 열반상.

불교신문 자료사진

***“본분 잃지 말고 주인으로 살라” *** 열반재일 특별기고 / ‘마음은 항상 열반에 두고’

3월7일은 음력 2월 보름으로 부처님의 열반 2556주기를 맞는 날이다.

열반(涅槃)이란 범어 ‘니르바나’를 발음대로 번역한 말로서 멸(滅) 적멸(寂滅) 멸도(滅度)등 으로 번역하는데 본래의 뜻은 ‘불어끈다’는 뜻으로 ‘취멸(吹滅)’이라고도 한다.

즉 타오르는 번뇌의 불길을 끄고 위없는 깨달음의 경지 즉 아누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한 상태를 말한다.

불교의 4대명절의 의미를 북방불교의 전통에 따라서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음력 4월8일은 인간 싯다르타의 탄신일이고 2월8일은 출가하여 ‘구담’이라는 사문이 된 날이며 12월8일은 도(道)를 이루어 깨달은, 즉 부처님이 된 날이다.

부처님은 태어남도 열반도 오직 중생을 위한 것… ‘청정한 법신’은 본래 나고 죽음이 없지만 대자비 원력으로 시현해 보이는 것… 그러나 소승불교의 교리로 보면 비록 부처님 이라고 하더라도 완전히 번뇌의 불길을 다 끄지는 못했음으로 아직 유여열반(裕餘涅槃)의 상태이고 이 육신까지 버림으로서 비로소 미세한 번뇌까지도 완전히 소멸한 무여열반(無餘涅槃)을 성취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런 의미에서 열반을 불자들이 가장 이상적인 최고의 경지로 여기는 것이다.

불교의 기원은 그리스도교와 같이 교조의 탄생일을 기원으로 삼지 않는다.

또 이슬람교가 그들의 메카에 들어간 날을 기념하여 기원으로 삼듯이 성도하신 날이나 전도 선언을 하신 날을 기원으로 삼지도 않고 열반하신 날을 기원으로 삼는다.

후대에 중국의 선사들이 이해하는 열반이란 부처님의 입장에서는 열반이라는 것이 고요하고 적멸하여 아무 것에도 머물지 아니하지만 인연 따라 중생을 구제함으로 “생사(生死)에도 머물지 아니하고 열반에도 머물지 아니한다” 고 한다.

하지만 중생의 눈으로 보면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이후에 그 모습을 다시 볼 수 없음으로 현대어로 번역할 적에 일부의 학자들은 “거룩한 죽음”이라고 표현하고 큰스님들의 죽음을 ‘원적(圓寂)’이라고 하는데 이 또한 열반의 한 뜻이다.

탐진치 삼독심 번뇌망상 놓아버리고 이웃위해 열심히 노력하되 마음은 열반에 있어야 한다 혹은 ‘시적(示寂)’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본래 부처님은 생사를 초월하신 분이지만 중생을 교화하시기 위하여 세상에 출현하는 모습을 나타내 보이고, 중생들에게 그리워하는 마음을 일으키게 하기 위하여 그 자취를 감추는 모습을 보인다는 뜻이다.

즉 ‘부처님은 태어나심도 열반에 드심도 오직 중생을 위함’이라고 했다.

그래서 옛 어른들이 “청정한 법신(法身)은 본래 나고 죽음이 없지만 대자비 원력으로서 생사(生死)를 시현하여 보인다” 고 말씀했다.

그렇다면 진정한 의미에서 부처님의 출가절에서 열반절까지를 뜻있게 보내기 위해서는 경건한 마음으로 마음속의 탐진치 삼독심을 버리고 일체의 번뇌망상을 놓아버리고 각자가 처한 장소에서 자기의 본분을 잃지 않고 주인으로 살면서 불교를 위하여 이웃을 위하여 열심히 노력하되 마음은 항상 열반에 머물러야 할 것이다.

[불교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