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도스님─참다운 불자가 되려면

참다운 불자가 되려면 /

월도스님

불자 여러분, 부처님께서 이 땅에 오신 인연은, 모든 중생의 행복을 위해서입니다.

그러므로 불교는 행복을 추구하는 종교입니다.

행, 불행의 근본은 바로 ‘만남’에 있는데, 우리의 삶은 수많은 만남의 와중에 순간적인 판단의 연속이므로, 항상 예리한 판단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바른 판단을 위해서는 마음을 안정시켜야 하며, 바르게 보는 안목을 키워야 합니다.

누가 내 인생을 대신 살아주거나 길을 밝혀주지는 않습니다.

내 운명은 내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는 것이 불교의 가르침입니다.

바른판단을 위해 마음의 안정이 필요하고, 마음의 안정을 위해 참선도 하고 염불도 하는 겁니다.

불교는 법칙과 원리를 존중하는 불교입니다.

기적을 바라는 종교가 아닙니다.

법칙과 원리란 무엇입니까?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는 게 ‘법칙과 원리’입니다.

그런데도 이를 배제하고 기적을 찾아 헤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물에 가라앉는 조약돌을 떠오르라고 기도한다고해서 돌이 떠오르겠습니까? 기적을 찾아다니지 말고 마음의 안정을 통해 법칙과 원리를 제대로 보는 정견(正見)의 눈을 떠야 합니다.

그러므로, 재가불자로서 올바른 신행생활을 하려면, 목숨이 마치는 그 날까지, 허황된 것을 바라지 말고 될 수 있는 부분을 보고 노력하는 바른 믿음을 지녀야 하는 것이 첫번째로 요구되는 덕목입니다.

창조주는 하늘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인생은 스스로의 마음에 의해 순간순간 창조되어가고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두번째로 필요한 덕목은, 계율을 잘 지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재가불자가 지켜야 할 대표적인 계율은 바로, 살(殺), 도(盜), 음(淫), 망(妄), 주(酒) ..

이렇게 다섯가지 입니다.

첫째 살생하지 말라.

살생하지 말라고 해서 산 목숨을 죽이지 않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죽어가는 생명을 살려주는 것, 상대방의 마음을 상하지 않게 배려하는 것 등이 모두 포함되는 개념입니다.

그러려면 항상 측은지심(惻隱之心)을 내어야 하며, 측은지심은 ‘인연(因緣)’을 생각하는 데서 비롯됩니다.

‘나는 수 많은 생명 중에 인간으로 태어났구나, 나는 수십억 인류중에 대한민국에 태어났구나, 그리고 수많은 대한민국 사람중에 내 남편 내 아내와 이렇게 만났구나..’ 하는 인연을 생각하면 가슴이 뭉클해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렇게 보면 모든 대상이 소중합니다.

계율의 두번째, 도둑질하지 말라..

주지않는 물건을 탐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큰 건 남 주고, 작은 걸 내가 갖겠다는 마음을 내어야 합니다.

마치 옛날 우리 어머니들의 마음같이 말입니다.

밥을 하면 위에 쌀밥은 식구들 먹이시고 아래에 가라앉은 보리밥만 드시던 어머니..

당신의 혀가 보리밥만을 좋아해서가 아니셨습니다.

그런 숭고한 희생이 바로 보살행이요 공덕입니다.

그렇게 내 가족을 위하듯 모든 사람을 위한다면 바로 보살이요 부처의 마음입니다.

부처님께서는 동체대비(同體大悲)라 하셨습니다.

이 세상은 마치 인드라망(網)과도 같습니다.

밥 한그릇을 먹어도, 내가 농사지어, 밥을 해서, 내 손으로 먹는다고 완벽한 자급자족이라 할 수 없습니다.

벼가 영글기까지 수많은 비와 햇살, 바람이 필요했고, 솥이 만들어지기까지 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노고가 필요했는지 모릅니다.

이렇게 세상은 서로서로 연결되고 관련되어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부분에 감사하는 마음을 내어야 합니다.

계율의 세번째, 사음(邪淫)하지 말라..

이는 믿음을 소중히 하는 마음입니다.

믿음이 깨지면 질서가 무너지고 혼돈에 빠지게 마련입니다.

계율의 네번째, 망어(妄語)를 하지 말라..

입을 가리켜 구시화문(口是禍門)이라 하였습니다.

말을 잘못하면 재앙을 부를 수도 있다는 교훈입니다.

되도록이면 말을 적게 해야 합니다.

꼭 필요한 말, 좋은 말은 하되, 언짢은 말을 해선 안됩니다.

중생의 말은 화를 부르고, 보살의 말은 이익을 줍니다.

경전에 이르기를, ‘口無多言(구무다언)하고 身不輕動(신불경동)하라’ ‘多言多慮(다언다려)하면 轉不相應(전불상응)이요, 絶言絶慮(절언절려)하면 無處不通(무처불통)’이라 하였습니다.

‘말 많이 하지 말고, 신중하게 행동하라’ ‘말 많고 생각 많으면 오히려 그르치게 되고, 말과 생각을 세우지 않으면 통하지 못할 게 없다’는 말씀입니다.

말 많은 집안치고 편안한 집이 없고, 말을 많이 하다보면 스스로도 다치게 됩니다.

말을 줄이고 입을 철저히 단속하다보면 번뇌가 끊어집니다.

도저히 참을 수 없으면, 법당에 나와 부처님한테만 얘기하세요.

그래도 속이 후련하지 않거든

월도스님─나를 위해 살면 중생이요 남을 위해 살면 보살

나를 위해 살면 중생이요, 남을 위해 살면 보살 /

월도스님

신도 여러분, 이제 얼마 안있으면 백중입니다.

백중엔 선망부모를 위한 천도재를 지내는데, 절에서 지내는 천도재는 일반 가정에서 지내는 제사와는 확연히 다릅니다.

영가들에게 음식을 공양한다는 점에서는 비슷합니다만, 일반 제사는 조상의 음덕을 기리는 데 목적이 있고, 천도재는 영가에게 법문을 들려주는 데 주된 목적이 있습니다.

영가들이 그 법문을 듣고 깨달음을 얻어 모든 집착을 놓고 중음신에서 벗어나 좋은 곳으로 태어날 수 있도록, 극락 왕생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입니다.

기도하는 것도 꾸준히 해야 비로소 마음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처럼 법문도 자주 들어야 합니다.

믿되 듣지 않으면 벙어리가 되고 맙니다.

우리 불가에서는 단순한 ‘믿음(信)’만을 말하지 않습니다.

믿되(信) 이해하고(解) 행하여(行) 나아가 증득하는(證) 것까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사실 ‘믿음’이란 매우 중요합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믿음의 대상을 잘못 선택하여 후회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여러분 불자님들께서는 무엇을 믿습니까? 대개 부처님의 말씀을 믿는다고 하십니다.

그렇다면 부처님의 말씀은 무엇입니까? 부처님 가르침의 본질은, 바로 ‘나’ 자신을 믿으라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자등명(自燈明) 법등명(法燈明)’이라 말씀하신 뜻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중생으로서의 ‘나’가 아니라, 부처의 성품 즉 불성을 지닌 존재로서의 ‘나’, 쉽게 휘둘리고 상처받는 나약한 존재로서의 ‘나’가 아니라,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나’ – 그리하여 부처님과 동격의 성품을 지니고 있는 위대한 존재로서의 ‘나’임을 의심없이 믿으라는 것입니다.

그와같이 믿고 이해하고 행동으로 실천하는 게 바로 ‘보살행’입니다.

■ 나를 위해 살면 중생이요, 남을 위해 살면 보살입니다.

알고보면 보살행이 이렇게 쉬운 것입니다.

부처가 되려거든 남을 위해 행하는 보살행을 실천해 나아가면 되는 겁니다.

남이 잘 되면 함께 기뻐해주고, 배고픈 사람을 만나면 내 음식을 선뜻 내어 주고,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망설임없이 도와주는 그런 보살행 말입니다.

그러기에 부처님께서도 말씀하시기를 ‘병자를 만나면 사랑하는 마음으로 돌봐주라’ 하셨습니다.

■ 보살행을 하려면 지금 처해 있는 현실에 긍정적인 마음자세로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어려움이 닥치면 ‘왜 나에게만 이런 일이 생기나..’ 하며 원망하고 짜증내기 쉽지만 한생각 돌려먹어 그 자체로 행복임을 알아야 합니다.

‘내 전생에 지은 공덕이 얼마나 수승하여 이같이 사람 몸을 받아 이 세상에 나와 또 이렇게 부처님 법을 만나고, 미래에 더 큰 공덕을 이루려고 이렇게나 척박한 일을 겪는구나..’ 라고 생각하면 세상이 달라 보일 것이며, 이것이 곧 지혜입니다.

가난한 자는 차라리 공덕을 쌓기 쉬워도 오히려 부자는 그렇지 못하다고 합니다.

왜 그럴까요? 어려운 처지에 있어봐야 어려움을 이해하는데, 부자는 상대방을 헤아려 이해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부자가 공덕을 쌓기란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들어가는 것보다 더 어렵다’고들 합니다.

마음만 고쳐 먹으면 훨씬 더 좋은 여건에서 보살행을 할 수 있는데도 말입니다.

개중에는 이담에 돈 많이 벌면 공덕을 짓겠다고 말하는 이들도 봅니다.

그러나 여러분, 처해진 여건대로 최선을 다하십시요.

그 때 그 때 최선을 다해야만 후회가 없습니다.

여건 되는대로 공덕을 짓지않고 미루고 벼르기만 하다가, 막상 여건이 나아지면 잘 할 것 같아도 그렇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습관이 굳어져 버렸기 때문입니다.

돈 벌면 해야지, 애들 크면 해야지, 시간 나면 해야지 하며 미루지 않고, 한 줌의 씨앗이 있으면 있는대로 파종하고 두 줌의 씨앗이 있으면 있는대로 파종하는 이가 지혜로운 이입니다.

■ 미래로 미루지 말고 현실 속에서 보살행을 실천하라는 말씀입니다.

부모자식간에 형제지간에 부부지간에도 모두 마찬가지 입니다.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려 배려해주는 보살행을 실천하십시요.

부처가 되고 싶으십니까? 부모의 역할에 충실하십시요.

부처가 되고 싶으십니까? 남편의 역할에 아내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십시요.

부처님께서도 수 많은 전생에 수 없이 많은 희생으로서의 보살행을 닦아 비로소 크나큰 완성의 모습을 이루신 것이며, 현실에 최선을 다 하는 것이 곧 업장을 소멸하는 길임을 잊지말아야 하겠습니다.

■ 도(道)는 먼 데 있지않습니다.

지금 현재 내가 하고 있는 일이 무엇이건 거기에 마음을 모아 몰입할 수 있으면 그것이 바로 도(道)이며, 그런 습(習)을 들이는 것이 곧 ‘수행’입니다.

작은 씨앗을 뿌리면 작은 열매를 얻을 것이요, 큰 씨앗을 뿌리면 큰 열매를 얻을 것입니다.

신도 여러분, 중생의 밭에 보살의 씨를 뿌려 구경에는 성불하는 불자의 길로 나아가시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