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아함경(雜阿含經. Samyuktagama)』은 불교의 교리와 설법의 모체가 되는 경으로 알려져 있다. 네 가지 아함경 중에서도 『잡아함경』의 위치가 가장 탁월하다고 한다. 문체의 조직이 가장 잘 되었으며, 기초교리를 이론화하는데 있어서 논리적 근거가 되는 설법의 내용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경전이다. 한역으로는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Gunabhadra)가 번역한 50권 본(本)이 가장 완비된 것이라 한다. ‘잡아함’이라 하는 것은 이것저것 서로 관련된 교설을 차례로 배열하여 묶었다는 뜻에서 붙여진 말이다. 『아함경』이 모든 경전의 원전 구실을 하는 경이라고 앞서 언급했지만 특히 『잡아함경』에 설해진 내용이 가장 명쾌하여 교리를 이해하는 데 있어 탁월하다고 한다. 부처님이 세상에 계실 때의 인연과 그 당시의 사정, 그리고 부처님이 어떻게 사부대중(四部大衆)을 교화했다는 것을 가장 사실적으로 알 수 있는 경은 『잡아함경』이 으뜸이다. 50권(1362경) 속에 두 가지의 소경이 있어 짤막짤막한 법문을 엮어 이룩된 이 경은 불교 입문의 필독서라고 할 수 있다.
교리 사상의 연원으로서 이 경을 살펴볼 때 오취온(五取蘊)에 항일(恒一)·주재성(主宰性)이 없다고 주장한 무아설(無我設)이 주축이 되면서 무상한 것은 괴로운 것이고 괴로운 것은 진정한 ‘나’가 아니라고 설하고 있다. 또 연기법을 가장 구체적으로 설하여 부처님의 깨달음의 내용이 12연기라 하였다. 이 중 무아설은 불교 특유의 교리사상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내가 없다는 말이 무슨 뜻인가? 우리가 ‘나’라고 하는 것은 끊임없이 변하고 있는 물질적, 생물학적, 또는 정신적인 현상의 집합체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육체라고 하는 것은 몇 개의 물질적인 요소들의 모임이고 정신이라고 하는 것은 감각기관들과 그것에 해당하는 대상들 간의 접촉에서 발생되는, 끊임없이 나타났다가 사라지고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고 하는 하나의 현상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잡아함경』에서는 이와 같은 인간의 존재를 수레에 비유해서 설명하고 있다. “여러 가지 재목을 한 곳에 모아 세상에서 수레라 일컫는 것처럼 모든 쌓음의 인연이 모인 것을 거짓으로 중생이라 부르는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들 존재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요소들은 끊임없이 변한다. 그리고 그것들은 어떠한 실체도 가지고 있지 않다.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에서는 ‘몸뚱이인 색(色)은 모인 물거품 같고, 느낌인 수(受)는 떠 있는 거품 같으며, 생각[想]은 아지랑이 같으며, 지어감인 행(行)은 마치 파초 같으며, 의식[識]은 허깨비의 법과 같다. 이와 같은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는 존재 속에서는 고정·불변적인 실체가 없다’고 하였다.
『잡아함경』 11권 속에서는 난다카 비구가 비구니들에게 등불의 비유로써 무아의 이치를 설명하는 대목이 있다. 비유하면 기름과 심지로 인하여 등불은 타게 된다. 그러나 그 기름은 덧없고 심지도 덧없으며, 불도 또한 덧없고 등잔도 또한 덧없는 것이다. 그런데 만일 어떤 사람이 기름도 없고 심지도 없으며 등잔도 없더라도 그것들을 의지하여 일어나는 등불 빛은 언제나 변하거나 바뀌지 않는다고 말한다면, 이 말이 항상하여 옳은 말이라 하겠는가? 우리들의 존재 속에서 고정불변적인 어떤 것을 찾으려고 하는 것은, 마치 어떤 사람이 파초를 보고 재목으로 쓸 수 있다고 생각하여 잘라내어 껍질을 벗기고, 단단한 나무와 같은 알맹이를 찾으면서 다 벗겨 보아도 단단한 것은 도무지 없는 것과 같다고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지안스님강의. 월간반야 2003년 7월 (제3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