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다라니의 하나. 제법(諸法)의 한량없는 뜻을 총지(總持)하므로 의다라니라 함.
[월:] 2018년 09월
불공견삭신주심경 (不空索神呪心經)
ⓢ Amoghap??a?rdaya(stra). 1권. K-289, T-1094. 당(唐)나라 때 현장(玄?)이 659년에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번역하였다. 『불공견삭주경(不空?索呪經)』의 이역이며, 내용과 구성이 대체로 동일하지만 이 경에서는 불공견삭 신주(神呪)의 각각에 해석을 가하고 있다는 점이 독특하다. 고려대장경에는 들어 있지 않은 다른 이역본으로 『불공견삭주심경(不空?索呪心經, T-1095)』과 『불공견삭다라니의궤경(佛說不空?索陀羅尼儀軌經, T-1098)』이 있다. 이역본으로 『불공견삭다라니경(不空?索陀羅尼經)』 ·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不空?索陀羅尼自在王呪經)』 · 『불공견삭신변진언경(不空?索神變眞言經)』 · 『불공견삭주경(不空?索呪經)』 · 『성관자재보살불공왕비밀심다라니경(佛說聖觀自在菩薩不空王秘密心陀羅尼經)』이 있다. ⇒『불공견삭주경』
유가사지 (瑜伽師地)
ⓢ yog?c?ryabh?mi 유가의 관행(觀行)을 닦는 이의 소의(所依) · 소행(所行) · 소섭(所攝)의 경계. 17지(地)가 있음. 오식신상응지(五識身相應地) · 의지(意地) · 유심유사지(有尋有伺地) · 무심유사지(無尋唯伺地) · 무심무사지(無尋無伺地) · 삼마희다지(三摩?多地) · 비삼마희다지(非三摩?多地) · 유심지(有心地) · 무심지(無心地) · 문소성지(聞所成地) · 사소성지(思所成地) · 수소성지(修所成地) · 성문지(聲聞地) · 독각지(獨覺地) · 보살지(菩薩地) · 유여의지(有餘依地) · 무여의지(無餘依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