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 K-375, T-790 . 오(吳)나라 때 지겸(支謙)이 223년에서 253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 줄여서 『패경』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패초경』이라고도 한다 . 기원정사가 건립된 유래와 패의 일화를 통하여 부처님 법에 의거하여 왕도를 행할 것을 설한 경전이다 . 부처님께서 사위국에 계실 때, 수달(須達)거사가 부처님을 받들어 섬기고 항상 보시하기를 즐기며 가난한 이들을 구제하였으므로 외로운 이를 돕는다는 뜻에서 ‘급고독(給孤獨)’이라 불렸다 . 그가 부처님을 위하여 정사(精舍)를 지으려고… (불설)패경초 (佛說經抄) 계속 읽기
[월:] 2017년 07월
(불설)팔종장양공덕경 (佛說八種長養功德經)
1권 . K-1480, T-1498 . 북송(北宋)시대에 법호(法護, Dharmarak?a)와 유정(惟淨)이 1019년에서 1023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 광대한 보리심을 내어 8재계를 지키고 깨끗한 믿음을 지닌 우바새가 되기 위한 작법을 설한다 .
(불설)팔정도경 (佛說八正道經)
㉺ Micchatta . 1권 . K-742, T-112 . 후한(後漢)시대에 안세고(安世高)가 148년에서 170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 부처님께서 여러 제자들에게 8정도에 대해 설하신 경전이다 . 사도(邪道)에는 불제견(不諦見) · 불제념(不諦念) · 불제어(不諦語) · 불제치(不諦治) · 불제구(不諦求) · 불제행(不諦行) · 불제의(不諦意) · 불제정(不諦定)의 8가지가 있으며, 이와 반대로 8정행(正行)에는 제견(諦見) · 제념(諦念) · 제어(諦語) · 제치(諦治) · 제구(諦求) · 제행(諦行) · 제의(諦意) · 제정(諦定)의 8가지가… (불설)팔정도경 (佛說八正道經)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