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포태경 (佛說胞胎經)

ⓢ Garbh?vakr?ntinirde?a(s?tra) . 1권 . K-30, T-317 .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 Dharmarak?a)가 281년, 또는 303년에 번역하였다 . 별칭으로 『포태수신경(胞胎受身經)』이라고도 한다 . 입태(入胎)의 인연과 태중(胎中)에서의 모습을 설한 경으로, 부처님께서 여인의 포태 과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신 뒤에 5온으로 이루어진 사람의 몸은 고통의 근원이며 무상(無常)한 것이니 마땅히 생사의 고통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설하신다 . 이역본으로 『대보적경』의 제13 불위아난설처태회(佛爲阿難說處胎會)와 제14 불설입태장회(佛說入胎藏會)가 있다 . ⇒『대보적경』 .  

(불설)평사왕오원경 (佛說萍沙王五願經)

1권 . K-785, T-511 . 오(吳)나라 때 지겸(支謙)이 223년에서 253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 별칭으로 『불가사왕경(弗迦沙王經)』이라고도 한다 . 평사왕의 5가지 소원 및 그와 친하게 지내는 불가사왕이 부처님께 귀의하게 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경전이다 . 평사왕은 병사왕(甁沙王)이라고도 하는데, 빈비사라왕을 가리킨다 .  

2017년 07월 12일 불교뉴스

BBS뉴스 포항시 뒤늦은 형산강 대책에 환경단체 “오염 해결 요원” 안철수 침묵깨고 사과했지만 … 정계 은퇴 확답 피해 [포토뉴스] 기후변화 실감…7월의 목련 꽃 민선6기 최동용 춘천시장 취임 3주년 인터뷰, “옛 미군기지 부지 개발 서두를일 아냐” ‘갤러리로 떠나는 문화바캉스’…광주신세계갤러리, 13일부터 ‘바람 風’전 [7월 12일(수) 양창욱 클로징] 이제는 ‘부처님오신날’…약속 지킨 문재인 대통령 블라디보스토크 ‘부산홍보사진전’ 14일 개최 3년 만에… 2017년 07월 12일 불교뉴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