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정도

팔정도                                                                     팔정도 1. 팔정도는 붓다 설법의 모든 것  苦의 소멸에 이르는 길인 도성제는 두 가지 극단을 피하는 까닭에 중도라고 알려져 있다. 한 극단은 감각적 쾌락으로써 행복을 추구하는 것인데, 비속하고 일반적이며, 유익하지 못한 보통사람들의 길이다. 다른 하나는 여러 형태의 고행을 통한 행복을 추구하는 것으로 고통스럽고 가치 없고 이롭지 못한 극단적 행위일 뿐이다.    붓다는… 팔정도 계속 읽기

초기 경전사에 수록된 Buddha(붓다, 부처님)에 대하여

초기 경전사에 수록된 Buddha(붓다, 부처님)에 대하여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아라한이며 바르고 완전히 깨달은 그분 세존께 귀의합니다)   Ⅰ. 강의 주제 1. 초기 경전사에 수록된 Buddha(붓다, 부처님)에 대하여     1) 붓다 자신이 스스로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2) 남들은 붓다를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초기경전을 토대로 검토.   Ⅱ. 불자란 어떤 자를 불자라고 하는가?… 초기 경전사에 수록된 Buddha(붓다, 부처님)에 대하여 계속 읽기

(불설)가섭금계경 (佛說迦葉禁戒經)

1권. K-931, T-1469. 유송(劉宋)시대에 저거경성(沮渠京聲)이 455년경에 양도(楊都)의 죽원사(竹園寺)와 종산(鍾山)의 정림상사(定林上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금계경』이라 하고 별칭으로 『마하비구경』 · 『진위사문경』이라고도 한다. 부처님께서 가섭에게 비구의 금계에 대해 설하신 경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