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 `그래 그게 당신한테 뭐가 문제요`

`그래? 그게 당신한테 뭐가 문제요?` –

법륜스님

즉문즉설 – ▒ 문 저희 남편은요, 공무원인데..

학력이 좀 짧아서 그런지 몰라도 승진이 안 돼요.

중학교만 나오고 시골에서 고생 많이 하다가 공무원 시험 보고 7급부터 시작해서 지금은 서기관이 됐는데 과장을 하다가 과장 보직도 떨어지고..

엄청 괴로워하고 작년에는 우울증에 걸려 약도 먹고 그랬거든요.그 힘들어하는 모습이 너무 보기가 안됐었는데..

이번에 승진이 또 안 됐어요.

작년처럼 심하지는 않은데 그래도 많이 힘들어해요.

잠도 잘 못 자고..

집착하지 말라고 그래도 해결을 못 하고..

▒ 답 지금 자기 얘기를 하는 거예요? 남편 얘기를 하고 있는 거예요? (남편 얘기요..) 그래, 남편 고쳤으면 좋겠다 이거죠? 요점이..

(네) 남편을 어떻게 고쳐? 자기도 자기를 못 고치는데..

그런 남편을 보는 내가 힘들다는 거죠? 질문의 요지가..

(아니에요) 그럼 자기는 하나도 힘 안 들어요? 그런 남편을 보는 것이? (이해가 돼요) 이해가 되는데 뭐가 문제예요? (남편이 괴로워하지 않고 좀 행복했으면 좋겠어서..) 그러니까 남편을 좀 고쳐줬으면 좋겠다..

이 말이잖아요? (그렇죠..) 남편 고쳐서 내 문제 해결할 수 있으면 사람들이 무슨 문제가 되겠어요? 겨울에는 많이 안 추웠으면 좋겠다, 여름에는 많이 안 더웠으면 좋겠다 비는 적당히 왔으면 좋겠다, 사업은 잘됐으면 좋겠다 남편이 직장에서 잘 적응했으면 좋겠다, 승진했으면 좋겠다 승진은 못 해도 받아들였으면 좋겠다..

지금 이 얘기잖아요? (지난번에 절에 같이 갔었는데 절을 하다가 눈물을 쏟더라고요)남편이 죽었다 하더라도 ‘그래? 그게 당신한테 뭐가 문제요?’ 이렇게 묻는 게 나예요.

남편이 죽은 것도 아닌데 뭐가 문제예요? (남편이 괴로워하는 것을 어떻게..) 남편이 괴로워하는 것을 자기가 어떻게 해요? 나도 자기 문제에 대해서는 조언을 할 수 있지만, 자기 원하는 대로 해줄 수는 없어요.

그럼 내가 하느님이게..

자기는 뭐가 문제냐니까? (괴로워하는 남편을 보기가 굉장히 힘들어요) 남편이 승진을 못 했다 그러면, 구조조정할 때 누군가는 나가기도 해야 하는데, 승진 못 되는 일이야 당연히 있지.

그럴 때 내가 승진 못 했다는 것을 문제삼으면 괴롭고 직장에서 나간 사람도 있는데, 그래도 나는 직장에 있다는 것을 보면 어때요? 다행이지.

그래서 어느 쪽을 볼 거냐 문제예요.

내가 여기서 내려가다가 넘어져서 다리가 하나 부러졌다면 부러진 다리만 보고 멀쩡할 때를 생각하면 재수가 없는 것이고 안 부러진 다리를 보고 생각하면 그래도 한쪽 다리는 안 다쳤으니 잘된 일이고..

그러니까 일어난 일은 똑같은데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서 다행으로 될 수도 있고, 불행으로 될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버스를 타고 가다가 차가 굴렀어..

팔이 하나 부러졌어.

그런데 주위를 둘러보니까 아무도 안 다쳤는데 내 팔만 똑 부러졌어..

재수 없죠? 그런데 나는 팔이 부러졌는데 다른 사람은 다 죽어버렸어..

그럼 어때요? 재수 좋지.

그래서 재수 좋고 재수 없고..

그런 건 따로 없어요.

일어난 상황은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녜요.

지금 남편 일도, 승진에 집착을 하는데 승진이 안 되니까 괴로움이 되는 것이고 직장에서 쫓겨난 사람들에 비하면 굉장히 좋은 경우에요.

우리 사회에서 직장에서 쫓겨나서 데모하고 난리인 경우도 많잖아요? 한진중공업, 쌍용자동차..

그런 사람들 생각하면 자기는 아무것도 아니지.

아이가 1등만 하다가 이번에 시험을 잘못 쳐서 2등을 했다 그러면 공부를 열심히 해야 1등을 하지, 2등 했다고 괴로워하고 술 먹고 난리를 피우면 1등이 되나? 5등이 되나? 자기 남편도 이제 자꾸 그렇게 하면 어떻게 될까? 밀려나겠지.

다음에는 승진 안 되는 정도가 아니라 쫓겨날지도 몰라.

왜? 우울증 약이나 먹고 그러면..

그렇죠? 그런 남편을 보는 자기가 안타깝잖아? 그런 것처럼 내가 보기에는, 남편을 보고 안타까워하는 자기가 안타깝다 이거예요.

자기가 괴로워한다고 그 문제가 해결되는 것도 아니잖아? 똑같애.

남편이 그런 조건에서 좀 긍정적으로 보고 자신을 콘트롤했으면 좋겠다는 것이 자기 바람이라면 스님이 질문자를 볼 때에는, 그런 남편을 보면서 마음을 좀 편안하게 해서 남편을 감싸주면 얼마나 좋을까..

이런 생각이 들어요.

그거 가지고 그렇게 난리 피지 말고..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면 되지, 남의 일에 너무 촛점을 맞추면 안 돼요.

아무리 부부라도, 아무리 자식이라도 마찬가지에요.

그러니까 그런 남편을 이해하고 봐내면 돼요.

그래도 고생하면서 직장에 다니고 있잖아? (네..) 그리고 굳이 남편하고 이야기를 한다면, 남편을 고치려고 하지 말고 그래도 세상 사람들 보기에는 남편이 중학교만 졸업해서 그 정도면 많이 올라갔잖아? 그러나 본인은 그렇게 생각 안 하겠지.

더 올라가고 싶겠지.

하지만 세상은 뜻대로 안 돼요.

그래서 자기가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가 하면 ‘부처님 감사합니다.

우리 남편, 어려운 가운데서도 직장에 다녀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렇게 기도해야 하고 직장을 그만두면 ‘그래도 지난 20년 동안 직장에 다녀 우리 가족이 여기까지 오게 돼서 감사합니다’ 이렇게 기도를 해야..

남편이 힘들고 막 헤맬 때 아내가 그런 마음을 내야 아내하고 같이 있으면 마음이 좀 편안해지는 거예요.

스님 말을 어떻게 생각해요? (울면서) (감사합니다) 고마운 줄 알아야 하는데 고마운 줄도 모르고..

여기 박수 한번 쳐주세요..

(대중들 박수)

무여스님─마음을 쉬어라

– 마음을 쉬어라

-무여스님-

종교는 달리 말하면 행(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불자들은 꼭 수행을 해야 합니다.

‘수행을 한다, 도를 닦는다, 마음공부를 한다, 참선을 한다’는 등 여러 가지로 표현을 하지만, 모두가 ‘마음을 닦는다’ 는 뜻입니다.

흔히들 마음은 태허공(太虛空) 같다고 합니다.

곧 텅빈 허공과 같다고 합니다.

마음은 허공과 같다는 것입니다.

형체도 없고 모양도 없습니다.

마음은 물체가 아니므로 물체를 닦듯이 닦을 수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형체가 없는 이 마음을 어떻게 닦아야 하는 것인가? 이 미혹중생의 때 묻은 마음을 어떻게 닦아야 마음을 올바로 닦는 것이 되는가? 그것은 마음을 맑게 하는 것입니다.

흐리고 탁해져 있는 중생의 마음! 그 마음을 맑게 하는 것이 마음을 닦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마음이 흐리고 탁한 이유는 무엇일까 요? 그것은 번뇌망상 때문입니다.

중생들은 세세생생을 살아오면서 이런 저런 인연으로 얽히고 설켜 탐진치 삼독심을 일으키게 됩니다.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은 여러 마음들이 번뇌망상을 치성하게 하고 막 들끓게 하는 것입니다.

이 흐려지고 탁해진 마음을 바르고 맑게 하는 것을 ‘마음 닦는다’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마음을 닦는 가장 쉬운 방법은 마음을 쉬는 것입니다.

번뇌망상의 마음을 놓는 것이고, 번뇌망상의 마음을 비우는 것입니다.

마음을 비운다, 마음을 쉰다, 마음을 놓는다는 것은 다 같은 말입니다.

이는 일체 생각을 하지 않고 마음을 가지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곧 번뇌망상 때문에 이 마음이 탁하고 흐려져 있으므로 생각을 하지 않으면 마음이 고요해집니다.

번뇌망상으로 인해 흐려지고 탁해진 마음은 마치 파도 치는 바다와 같습니다.

남해안이나 동해안에 집채만한 파도가 밀려올 때면 온 바다 밑의 더러운 것들이 전부 소용돌이를 쳐서 바닷물이 탁해집니다.

이때는 바로 1m 아래도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날씨가 맑아지고 바다가 잔잔해지고 고요해지면 바다 밑이 아주 깨끗 하게 잘 보입니다.

10m 아래까지도 깨끗하게 보입니다.

또 비유하자면 장마철에 계속 흐리고 비가 오다가 어느 때 어느 곳에는 햇빛이 반짝 나기도 합니다.

우리의 마음도 이와 같습니다.

늘 번뇌망상이 잔뜩 치성하다 가도 어떤 순간 그치는 수가 있습니다.

번뇌망상이 뚝 끊어진 자리, 그 자리가 부처 자리일 수도 있습니다.

마음공부를 하거나 불교적인 분위기에 서 생활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생각 자체가 놓여지고 마음이 쉬어지게 됩니다.

우리 마음도 번뇌망상을 피우지 않고 고요해지면 맑아 집니다.

마음이 맑아지면 안락해집니다.

마음만 편해 지는 것이 아니라 몸까지도 편안해집니다.

편안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즐겁기까지 합니다.

기쁘다고 할 수도 있고 즐겁다고도 할 수 있는 오묘한 기분을 느끼게 됩 니다.

그것을 흔히들 ‘법열(法悅)’이라고 하는데, 법 에서 느끼는 그 기쁨이라는 것은 삶의 진정한 행복이 됩니다.

법열을 느껴보지 못하고 체험하지 못하면 반쪽 인생 밖에 못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음이 아주 맑아져 안락을 느끼는 그런 상태가 되면 큰 병이 아닌 사소한 병이나 괴로움은 저절로 낫게 됩니다.

참선, 염불, 수행을 잘 하면 건강은 저절로 좋아집니다.

여기에서 만족하지 말고 더욱 깊게 들어가면 더 진정 한 행복을 느끼게 됩니다.

이때는 선정의 경지, 삼매의 경지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주 맑고 밝은 상태가 되면 자연스럽게 행동까지 거룩해집니다.

부처님쪽으로 차츰 차츰 가까워지며, 거룩하고 존경스 럽고 훌륭한 모습이 저절로 드러나게 됩니다.

일반 불자들이 이 경지에 이르기에는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맑고 향기 나는 그런 사람이 되리라’ 고 하면서, 부단히 노력하고 애쓰는 생활이 진정한 불자로 가는 길이 됨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월간 [법공양] 9월호에서-

진각스님─관상

관상 /

-진각스님-

늘…..

자신을 한탄하고 원망하고 또는 주위의 사람들을 미워하고 원망하면 그 마음은 바로 자신의 얼굴에는 수심이 가득찬 얼굴로 나타 나느니라.

그 수심 가득한 얼굴은 마침내 자신의 관상을 변하게 한다.

반대로……

늘….

자신의 환경을 감사하고 남을 미소로 대하고 악의를 버리고 자신은 항상 베푸는 습관을 하면 그 마음이 바로 얼굴에는 미소 가득한 모습으로 변하여 나타 나게 된다.

그 미소 머금은 얼굴의 관상으로 어찌 무엇인들 않되리.

상이 좋다는 것은 태어날때 부터 갖는 것이 아니라 살아 나감으로 스스로 변한다.

그 모든 변화는 바로……..

그대의 마음 속에서 부터 나오는 것 이다.

이제 모든 사람을 즐거운 마음으로 대하라.

이제 모든 사람에게 자비로운 미소로 대하라.

이제 자신에게도 즐거운 미소를 주어라.

그리하여..

지금의 울상으로 된 그대의 관상 부터 바꾸라.

그러면 반드시 복과 덕이 따를 것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