홑이불에 한기 들고

지피생한불등암 紙被生寒佛燈暗 홑이불에 한기 들고 불등은 희미한데

사미일야불명종 沙彌一夜不鳴鍾 사미승은 밤이 새도 종을 치지 않는구 나.

응진숙객개문조 應瞋宿客開門早 나그네로 와서 자고 문 일찍 연다 투덜 대겠지만

요간암전설압송 要看庵前雪壓松 암자 앞 눈에 눌린 소나무를 봐야겠네.

이 시는 고려 말 문신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1287~1367)의 시다. 원 제목이 ‘산중설야(山中雪夜)’로 되어 있는데 누군가 산중 암자에서 하룻밤을 묵는데 날은 춥고 밤새 눈이 온 모양이다. 지피는 종이 이불이란 말이지만 홑이불을 가리킨다. 사람이 잘 수 있는 인법당 한 구석에서 한기를 느끼면서 잤는데 법당에 켠 장등이 희미하게 비치고 새벽이 되어 날이 새는데도 절간의 종이 울리지 않는다. 종을 치던 사미승이 눈 때문에 종각에 올라가지 못한 모양이다. 날이 점점 밝아지자 나그네는 소나무가 이고 있는 눈을 보고 싶다. 암자 앞 설경이 나그네를 불러내는 것이다. 절 식구는 아직 아무도 밖에 나오지 않아 객이 먼저 나가 절문을 열자니 괜히 미안스럽다. 사미를 불러내 문을 열어 달라면 일찍도 설친다고 필시 투덜댈 것이다.

익재는 고려 조정의 문하시중을 네 번이나 역임한 정치가로 큰 활약을 한 인물이지만 학자 문인으로도 이름이 높다. 원나라에 오래 머물면서 중국의 학자들과 교류도 많았다. 과거 시험에 당락을 결정하는 지공거(知貢擧)를 여러 차례 역임하면서 당대의 학자 이색(李穡)을 등과시킨 이가 익재이다 이색의 아버지 이곡(李穀)도 그의 문하생이었다.

지안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6년 12월 제 73호

홀연히 콧구멍이 없다는 소리 듣고

홀문인어무비공 忽聞人語無鼻孔 홀연히 콧구멍이 없다는 소리 듣고

돈각삼천시오가 頓覺三千是吾家 몰록 온 우주가 내 집인 줄 알았네.

유월연암산하로 六月 岩山下路 유월의 연암산 아래 길에

야인무사태평가 野人無事太平歌 하릴없는 들사람 태평가를 부르구나.

이 시의 작자 경허(鏡虛)선사(1849~1912)는 한말의 어지러운 때를 산 고승이지만, 불교 특히 선불교를 중흥시킨 선사로 추앙받는 스님이다. 속성은 송(宋)씨이며 전주출신이었다. 9세에 출가하여 은사인 계허(桂虛)스님 밑에서 지내다가 마을의 선비에게 한학을 공부하여 나중에 불교 경론을 익힌 뒤, 22살에 동학사의 강사가 되어 학인들을 가르쳤다.

30살 때인 어느날 은사인 계허스님을 만나러 한양을 가다가 심한 폭풍우를 만났다. 가까운 인가를 찾아가 비를 피하려 하였으나, 마침 돌림병이 퍼져 어느 집도 문을 열어주지 않았다. 할 수 없이 마을 밖 큰 나무 밑에서 밤을 새며, 병에 걸려 죽을지 모른다는 죽음의식에 시달리다가, 생사를 해결하지 못한 자신의 본분공부를 자각하고 다시 발심하는 계기를 얻었다.

동학사로 되돌아 온 그는 학인들을 해산시킨 후, 방문을 걸어 잠근 채 문 밑으로 주먹밥을 넣을 수 있는 구멍을 만들고, 목 밑에 송곳을 꽂은 널빤지를 바쳐 놓고 졸음을 쫓으며 용맹정진을 시작 했다. 그리하여 세 달이 지난 어느 날 “시은(施恩)만 지고 도를 이루지 못한 중이 죽어 소로 태어나되 코 구멍이 없이 태어난다”는 말이 무슨 뜻이냐고 묻는 제자 원규(元奎)의 말에 오도(悟道)를 했다. 그때 지은 시다. 말하자면 경허 스님의 오도송이다.

그 후 그는 제방에서 선을 지도하면서 선의 생활화와 일상화를 모색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때로는 파격적인 행동을 서슴지 않아 역행의 대명사로 불릴 정도로 많은 일화를 남겼다. 문둥병에 걸린 여자와 동침을 했고, 여자를 희롱하여 몰매를 맞기도 했으며 술에 만취하여 법당에 오르는 등 숱한 기행을 보였다. 만년에는 절을 떠나 봉두난발하여 거짓 가명을 쓰면서 촌락을 다니며 무애행을 보였다. 또 다시 유관(儒冠)을 쓰고 훈장이 되어 서당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다가 64세의 일기로 1912년 4월 25일에 입적했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4년 6월 제43호

[불교용어사전]상사

자신을 위해 수행하고 다른 이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자리이타`의 두가지 생각이 없는 이를 하 사라고 한다. 자신의 해탈만을 추구하고 타인을 구제할 뜻을 내지 않는 이를 중사라고 한다. 보살 의 상사는 자리이타의 정신을 지녀 나와 이웃을 함께 구제하려는 `보살`을 가리키는 용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