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을 쇠고 나서

금년은 설을 쇠고 나도 가슴 속에 쓸쓸한 감회가 길게 남는다. 나이 탓에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세월 가는 시절 인연이 먼 하늘의 구름을 바라보는 것처럼 자꾸 허허로운 생각이 일어날 때가 많다. 60대 중반인 우리 같은 연령에서는 나이가 한 살 많아졌다는 것이 살아남아 있을 해수를 한 해 줄인 것이라는 사실이 더욱 선명히 의식되어지면서 정말 철학자 하이데거의 말처럼 묘지를 향해 걸어가는 도보의 행진 같다는 생각도 든다.

설날이라 다른 날보다 일찍 일어나 예불을 하러 법당에 들어가니 혹한의 한파가 법당에도 들이닥쳐 공기가 너무나 차가워 창불을 하고 행선축원을 하는데 음성이 제대로 나오지도 않았다. 산중 추위는 때로는 처마 밑에 어는 고드름 같은 추위다.

공양간에 내려가 떡국을 한 그릇 먹고는 절 식구들로부터 세배를 받은 다음 큰절로 내려가 사리탑 보궁을 참배하고 방장실과 주지실에 가 세배하고 올라왔다. 극락암도 잠시 올라갔다 내려와, 설 인사를 나누고 싶은 몇몇 스님들께 전화 인사를 드렸다. 봉선사 월운 노사와 경주의 호진 스님, 범어사의 무비 스님, 지리산의 활성 스님과 설 인사를 나누었다.

낮에는 찾아오는 신도님 가족들도 몇몇 있었다. 해마다 그랬듯이 세뱃돈을 준비하여 봉투에 넣어 서랍에 넣어 두고 한 개씩 나누어 주기도 했다. 신권을 구해 빨간 봉투에 넣고 만복운흥(萬福雲興)이라 컴퓨터로 글을 찍어 넣었다. 모두 한 해의 운수가 대길하여 온갖 복이 뭉게구름이 일어나듯 크게 일어나라는 하는 축원의 말을 쓴 것이다. 연례행사로 치러지는 절집안의 풍경도 설이 되면 명절 분위기가 조금은 살아난다. 큰절에서는 새벽 예불 끝에 대중이 통알(通謁)을 하면서 시방불보살에게 설 예배를 드린다. 뒷방으로 다니면서 노스님들에게도 세배를 드린다. 이렇게 설날의 하루는 세배의 하루가 되어 지나간다.

올해는 무엇을 하고 어떻게 지낼까? 매일 똑같은 일과를 가지고 지내면서도 무슨 별수나 있는 것처럼 새해의 연두가 되면 이런 생각을 안 해보는 것도 이상할 것이다. 모든 것이 잘 되기를 정말이지 바라고 싶다. 무엇보다 내가 맺고 있는 모든 인연들이 더욱 좋아지는 방향으로 발전해 주기를 간절히 빌고 싶다. 평소에 신세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끝없이 좋은 일이 많아져 그들이 모두 잘되어 내 기분 좋아졌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사적으로도 누구나 정초가 되면 한 해가 다복하고 무사히 넘어가 지기를 비는 기도를 하는 것처럼 사람의 마음에는 언제나 원시적이고 원형적인 소망이 있다. 어쩌면 이것은 불쌍한 자신의 서글픈 초상화를 솔직하게 바라보는 자기 연민의 적나라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일 수도 있을 것 같다. 세상일이 내가 원하는 대로 되던, 되지 않던 나는 나대로의 바람을 가지고 사는 것이다. 그리하여 가슴에 담은 원 때문에 쓸쓸해지기도 하고 슬퍼지기도 하고 괴로워지기도 한다. 그래서 사람이 가지는 소원을 슬픈 원이라 하여 비원(悲願)이라는 말도 쓴다. 물론 보살들이 이타정신으로 중생을 구제하는 것도 비원이 된다.

밤에는 조용한 시간이 찾아왔다. 산의 숨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혼자 방안에 앉아 있다가 오랜만에 노래 한 곡을 되풀이해 들었다. 명성왕후의 주제곡을 부른 조수미의 노래 ‘나 가거든’이란 노래가 너무나 애잔하고 슬프다. 노래 가사에도 슬픈 시의 운율이 가슴을 아리게 하는 것 같다.

“쓸쓸한 달빛 아래 내 그림자 하나 생기거든 그땐 말해 볼까요?

이 마음 들어나 주라고 문득 새벽을 알리는 그 바람 하나가 지나거든

그저 한숨 쉬듯 물어볼까요? 나는 왜 살고 있는지.

나 슬퍼도 살아야 하네, 나 슬퍼서 살아야 하네…..”

어쩌면 비운의 운명을 노래한 이 가사의 일부분이 너무 애처롭게 사람을 슬픔으로 몰고 가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조용히 다시 사리불의 독백을 읊조려 보았다.

“나는 사는 것을 원하지도 아니 하고 죽는 것을 원하지도 아니 한다.

품팔이가 품삯을 기다리듯이 나는 내게 올 인연을 기다릴 뿐이다.”

슬퍼서 살면서도 인연은 기다려야 하는 것. 그렇다 태어남도 기다림이요 죽음도 기다림의 한 과정일 뿐이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2년 2월 13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