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스님─뭐가 바쁜가

뭐가 바쁜가?

-성수스님-

살 때 살 줄 알고 살아야, 갈 때 갈 줄 알고 갑니다.

오늘부터 해 지기 전에 자신이 자신을 한 번 만나보세요.

뭐가 바쁜가? 죽자 살자 일하는 것이 늙어 죽는 것밖에 하는 것이 없어요.

늙으면 간다고 하지만 갈 곳도 안 찾아 놓고 한 치 앞 갈 길도 모릅니다.

또 갈 놈이 누군지도 모르고 간다고 하니 전부 남의 다리 긁고 수박 겉핥고 살아요.

오늘부터 정말 ‘내가 누구냐?’ 하고 물어보세요.

한 번 물어서 대답 안 하고 두 번 물어서 답이 없으면, 세 번 만에 죽어야 됩니다.

자기가 자기 말 안 듣는 놈에게 밥주고 물주고 하겠습니까? 정신 바짝 차리고 살면 ‘하나 둘 셋’ 할 때 나와서 서로 끌어안고 춤을 덩실덩실 추며 노래를 부릅니다.

천하만물은 무비선(無非禪)이요, 세상만사는 무비도(無非道)로다.

나무 아미타불! 내가 나를 한 번 만나서 끌어안고 보면 지금 부른 노래처럼 천하만물은 진리 아님이 없고 세상 만가지 일이 道 아님이 없습니다.

네 탓이니 내 탓이니 늙었다고 원망 불평하지 말아야 합니다.

오늘 해 지기 전에 등을 땅에 붙이지 말고 눈 붙이지 말아야 합니다.

등을 땅에 붙이면 뱀의 몸을 받고, 눈 붙이면 장님 연습하는 겁니다.

나는 90세가 다 되었는데도 눈이 초롱초롱합니다.

아직까지 낮에 등을 땅에 붙인 일도, 눈 붙인 일도 없어요.

눈을 붙이고 흐리멍덩하게 살면 피가 탁해집니다.

여러분은, 오늘부터 부처님 흉내내야 됩니다.

여러분이 불교 믿는다고 할 때 믿을 ‘신(信)’자 하나라도 똑똑히 알고 믿어야 합니다.

절에는 뭐 하러 가느냐고 하면 안 늙어 죽는 법 배우러 간다고 해야 합니다.

‘불살생’이 파리나 모기도 죽이지 말라는 뜻도 있지만, 사실은 생사고뇌에 죽지 말라는 말입니다.

죽는 일하며 산다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

나는 아직 47년째 병원에도 안 가고 약도 안 먹고 밥도 다섯 숟가락 밖에 안 먹어요.

절에 와서 복 지으려고 부처님께 실컷 절하고 나가다가 신에 흙이 묻었다고 남에게 욕하면 절한 복을 다 쏟아버리게 됩니다.

심보를 잘 써야 합니다.

알고 살아야 할 것이 참 많습니다.

하루에 한 마디씩 내가 본 세상을 쓰면 좋습니다.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이 밝은 시간을 정말 금쪽같이 아껴야 합니다.

밝은 기운을 가지고 앞을 내다보며 여유있게 살아야 됩니다.

그러자면 남은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하루에 한 마디씩 써야 합니다.

눈도 보배고, 귀도 보배고, 코도 보배고, 입도 보배고, 손도 보배고, 발도 보배입니다.

이 여섯 가지를 관리 잘해서 잘 쓰면 존경받고 잘못 쓰면 자기 아들딸에게도 밟힙니다.

정말 받기 어려운 사람 몸을 받았을 때, 기와집 짓고 자가용 타면서 잘 사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이 집주인을 만나봐야 합니다.

남의 집에서 몇십 년씩 살면서 집주인도 안 물어보고 만나볼 생각도 안 하고 전부 허탕으로 살고 있어요.

하루 한 마디씩 쓰면서 눈에게 귀에게 코에게도 물어보면 대화가 됩니다.

성수스님─모든 불자여

모든 불자여

성수스님

우주의 만물은 자기 나름대로 결과를 맺는데 만물의 영장인 우리는 실속없이 썩고야 마네 자 – 우리도 썩지 않는 진리를 자연 저이들에게 배워봅시다.

그이들은 나면서 자라 익어지면 헛된 이 몸 버릴 줄 안다 그 시기를 한 치도 어김없이 실천 수행하였기 때문에 전 인류들이 모두 함께 기뻐한다 우리 인류들은 나기도 어렵거니와 살기도 잘못살아 익기도 전에 늙어서 썩어지니 세상 모두가 싫어하네 자연은 열두달 내로 자신의 결실을 맺고 세존은 열두해 만에 성불하셨네 우리 범부는 열두생을 지내도 성취하기 어렵다.

자연은 밤이나 낮이나 남의 걱정 않은 결과요 세존은 한번도 헛점없는 결과니라 우리 범부는 잠시도 가만히 못 있으니 무슨 도를 이루겠나 그러나 오분만 헛점없이 노력하면 내가 나를 만나 보리라 물에 뜬 달 만지기 어렵고 가지고 있는 나를 보기 어렵네 부처님 진리를 알고 보면 범부 속에 부처있네 보이는 만물은 다 진리요 세상이 모두가 다 도니라 옥같이 귀한 말 아무데나 쓰지 말고 한발 한발 귀한 걸음 헛되이 갈 수 있나 금쪽같이 귀한 시간 허송이 웬말이냐 허물알고 고쳐가면 성인군자 되거니와 자기허물 외면하면 불보살도 소용없네 우리 중생 어느 누가 본래 부처 아니었나 중생 놀음 즐기다가 이 모양되었구려 천하의 중생들아 우주만물 모두가 내것 아님 없건마는 몇 생이냐 찾았더냐 가지고도 외면하고 쓰면서도 모른다니 억울하게 사는중생 고해바다 벗어나소 경문에서 도를 알면 사바세계 웬말인고 언어문자 밖에두고 사바에서 무엇하나 대지만물 그대로가 자기정체 보이건만 그를 두고 따로보니 병 중에도 병이로다 자기부처 썩혀두고 남의 부처 찾아가니 억만겁을 찾아가도묘한이치 백화일색 하나로다 산속에서 산을 찾아 몇 생을 헤맺던고 치구심만 쉬고나면 본래부처 그자릴세

성수스님─그렇지 스님

“그렇지 스님”

-성수스님-

경북 태백산 동암에는 열 여덟 조사가 나온 대 명당이라 많은 수좌들이 좌선을 하고 있었으나 항상 식량이 넉넉하지 못하여 그 중의 한 스님은 늘 걸망을 지고 마을로 탁발을 다녔다.

(탁발 다닌)그 스님은 일평생 한 말이라고는 한마디 “그렇지..” 뿐이였다.

문전에 서서 있으면 어른이나, 아이나 ” 동냥 줄까요? ” 하면 ” 그렇지..

” 라는 대답 뿐이였다.

남녀,노소,고하를 막론하고 주거나, 물으면..” 그렇지..”할 따름 이였다.

하루는 짓궂은 농부가 물이 가득찬 논에서 벼를 베다가 “이 벼 한 단 져다가 부처님께 공양 올려 달라”고 농담으로 말했다.

스님의 “그러지…”라는 대답에 농부는 볏단을 일부러 크게 묶어서 무논에다 둥글둥글 굴려 물을 흠뻑 적셔 논둑에다 내어 주었다.

스님은 “그렇지..”하고는 태백산 동암까지 하루 온종일 지고 올라갔다.

그때부터 스님을 천진불이라 불렀다 한다.

그러한 스님도 탁발을 하여 절에 왔을 때 대중들이 조용히 공부하고 있으면 공부하는 방 앞에서 합장 배려했지만 만약 문 밖에 이야기 소리가 들리면 걸망을 큰방 앞에다 힘껏 던지고는 큰 한 숨을 쉬곤 하였다 한다.

일생동안 그렇게 탁발하여 대다가 하루는 대중 스님 모두 모이라 하고는 평생 처음 입을 열되,,, “이 우치한 산승을 도솔천 내원궁에서 부르니 하는 수 없이 대중시봉을 더 못하고 가게 되어 죄송하다.”는 말을 남기고는 열반에 드니 사리가 무수히 나왔다 한다.

스님은 일생동안 “그러지..”란 말로 보내며 평생 좌복에는 한번도 앉을 여가가 없었다고 한다.

우리 사부대중도 이런 훌륭한 도인 스님의 행적을 거울삼아 말없이 행동으로 근본을 삼고 수행과 덕을 쌓아야 한다.

우리 소인배들은 행(行)은 외면하고 말이 앞서니 어느 누구도 믿지 않는다.

말 이전에 실천하기로 다 같이 노력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