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자고비수자류 雁自高飛水自流 기러기 높이 날고 물은 절로 흐르는데
백운홍수잡산두 白雲紅樹雜山頭 산머리에 흰 구름 단풍이 섞여있다.
계변낙엽미귀로 溪邊落葉迷歸路 개울가엔 낙엽 쌓여 갈 길이 안보이고
임리소종산객수 林裡疎鍾散客愁 숲속에 먼 종소리 나그네 시름을 흩는구나.
이 시는 가을 산을 노닐다가 읊은 시로 원제목이 추일유산(秋日遊山)으로 되어있다. 붉게 물든 단풍이 흰 구름과 뒤섞여 가을 산의 운치를 더하는데 아련한 그리움이 수심이 되어 하늘을 나는 기러기를 따라가고 있다. 낙엽이 길을 덮어 돌아갈 길을 잃고 서성거릴 즈음 멀리 절간에서 희미한 종소리가 꿈결처럼 들려온다. 수심에 잠겨 있던 나그네는 종소리를 듣고 선정에서 나오듯 수심에서 빠져 나온다.
인생살이가 결국 나그네 수심 같은 것이다. 고단한 일상을 따라가면서 시름시름 앓고 사는 것이 인생살이 아니겠는가? 무심히 살아가는 도인들의 세계에도 자연을 느끼는 감상은 부풀대로 부풀어 감정의 포화가 꽉 찰 때도 있다. 내면의 정서는 한껏 자기 외로움을 달래는 독백으로 가득 차기도 하는 것이다. 무심하다는 것이 무감각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람의 가슴은 결코 화석이 될 수는 없다.
이 시의 작자 부휴선수(浮休善修1543~1615)는 이조 중기의 스님으로 부용영관(芙蓉靈觀)의 법을 이어 받았다. 20살에 출가한 것으로 기록되어 전하고 사명유정(四溟惟政)과 함께 당시에 널리 명성을 떨쳤던 스님이다. 독서를 많이 하여 박학다식했고 글씨도 잘 썼다. 한때 지리산에 머물 때 어떤 미친 중의 무고로 제자 벽암각성(碧巖覺性)과 함께 옥에 갇히는 수난을 당했으나 나중에 무조가 밝혀져 오히려 왕궁에 불려가 도를 설해주고 임금으로부터 후한 선물을 받아 나왔다. 뛰어난 인품과 덕화에 그를 따르는 무리가 항상 700여명에 달했다고 한다. 광해군 7년 제자 각성에게 법을 부촉하고 세수 73, 법랍 54로 입적하였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4년 11월 제4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