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어떤 스님이 죽기 전에 사후 발원을 하면서 극락세계에 태어나기를 발원하지 않고 돈 없는 세계에 태어나기를 발원했다는 설화가 있다. 원생극락국(願生極樂國)이 아닌 원생무전국(願生無錢國)으로 기도를 했다는 말이다. 돈 때문에 어지간히도 고통을 당하고 속이 상했기 때문인지 아니면 돈 때문에 일어나는 사바세계의 죄악을 보다 못해 정토발원이 무전국발원으로 말이 바뀌어졌는지 모르겠지만 오늘날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많은 이야기이다.
아직까지 언론에 뉴스거리로 계속 보도되고 있는 금융 비리사건을 비롯해 부정부패에 얽힌 사건들은 모두 돈 때문이라는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다. 몇 사람이 구속됐다는 보도도 있었지만 부패의 온상에 서식하던 독초가 몇 개 뽑힌 것일 뿐 숨어 있는 독초들이 많을 것이라고 국민들은 믿고 있다.
소위 먹고 살만한 고위직에 있는 사람들이 왜 이렇게 돈해 약해 망신을 당하고 국민들을 실망케 하는지 알 수가 없다. 돈 몇 푼에 인격을 팔아버린 탓인가? 배금주의 실상이 반사회적 부패의 모습으로 나타난 근래의 나라사정은 온통 돈 때문에 망하는 꼴인 것 같다. 오래 전에 터진 비자금사건을 비롯하여 증권파문 등 장기간을 계속에 부패연류의 소식이 끊이지 않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가 부패지수가 꽤 높은 나라인 것 같다. 개혁을 주도하여 사회정의를 구현해야 할 시대적 요청이 부패의 지수가 높아 잘 실행되지 않는 것 같다.
흔히 사람들은 생존경쟁이라는 말을 자주 써 오면서 돈을 벌어야 산다고 생각하고 돈에 대한 절박관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돈을 버는 것이 생활의 의무처럼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의무를 이행하는데 있어서 공공의 윤리인 도덕적 규범에 따라 페어플레이를 해서 개인의 이익이 도모되어야 함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스포츠경기에 있어서 룰을 지키고 경기를 해야 하듯이 돈을 벌어 생계를 유지하는 데도 사회도덕을 지켜야 하고 국법을 지켜야 함에도 순간의 욕심에 눈이 어두워 이를 외면하다 보면 자연히 양심마비증세가 오게 되는 것이다. 견물생심(見物生心)이라 했듯이 인간은 곧잘 이利 끝에 유혹당하여 망신을 당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사회에 만연하고 있는 부정부패의 각종 비리가 생계에 허덕이는 가난한 사람들이 자행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제법 권력과 재력을 가진 자들이 자행한다는 점이다. 배가 고파 빵을 훔쳐 먹는 ‘장발장’식 범죄가 아닌 호화와 사치를 극도로 누리고 싶어 하는 백만장자를 꿈꾸는 자들의 소행이 부패를 번식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바로 우리사회에 부(富)의 윤리가 없다는 것을 반증한다.
부를 가진 사람들이 사회공익을 위하여 보시하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베풀어 주는 정신을 가져 부의 혜택이 이웃에게도 전해지게 하는 것이 부의 윤리이다. 나만 잘 살기 위하여 부를 소유하겠다는 것은 따지고 보면 이 세상에 아무도 없이 나 혼자만 살겠다 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것이다.
99개를 가진 사람이 1개 가진 사람을 보고 당신의 1개는 있으나마나한 것이니 100개를 채우게 나 달라 하는 식으로 가난한 사람들을 착취하여 부자가 되려는 사람들도 있다. 어찌 이런 경우가 있을 수 있는가? [승만경]에 보면 부처님이 승만부인에게 중생을 위해 널리 쓸 수 있도록 재물을 많이 모으라고 한 말씀이 나온다.
어떤 부자가 남에게 인심을 잃고 원성을 사면서 부자가 되었다. 그 사람을 원망하는 사람이 많았다. 그럼에도 부를 누리고 향락을 즐기며 살았다. 그런데 그 사람이 죽었을 때 이상한 전신이 왔다. 조의를 표하는 조문이 아닌 ‘축사망’이라는 축전이 온 것이다. 있을 수 없는 이러한 일이 실제로 있었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경제성장과 함께 부의 윤리도 바로 세워져야 한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2년 7월 14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