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에 봄이 다해

강호춘진낙화풍 江湖春盡洛花風 강호에 봄이 다해 꽃잎은 바람에 날리는데

일모한운과벽공 日暮閑雲過碧空 해 저문 하늘에 구름은 어딜 가나

빙거요득인간환 憑渠料得人間幻 너로 인해 인간사 허깨빈 줄 알았으니

만사도망일소중 萬事都忘一笑中 한 번 웃고 만사를 모두 잊어버리자

늦은 봄 떨어진 꽃잎이 바람에 날리는 어느 날 석양 무렵 운수납자 한 사람이 길을 가다 서산에 떠가는 구름을 바라본다. 그러다가 자기의 한 생애도 속절없는 구름과 같은 신세임을 새삼 느꼈다. 아니 세상만사가 모두 뜬구름이다. 일장춘몽이라 해온 말 그대로 한바탕 꿈과 같은 세상사는 그대로 하늘에 떠가는 뜬구름이다. 『화엄경』에는 “삶이란 한 조각 구름 일어나는 것이요, 죽음이란 한 조각 구름 사라지는 것(生也一片浮雲起 死也一片浮雲滅)”이라 하였다.

불교 수행에 있어서 무상을 느끼는 어떤 계기가 빨리 올수록 발심이 잘 된다고 한다. 출세간의 도를 닦는 일에 있어서 세간의 무상을 느끼는 것은 그만큼 도심배양에 큰 힘이 되는 것이다.

이 시는 부휴당(浮休堂) 선수(善修1543~1615)의 문집에 나오는 시이다. 스님은 17세에 출가 제방을 다니며 정진하다 부용(芙蓉)의 법을 이었다. 임진왜란 때 승장(僧將)이 되기도 했던 그는 한때 유가의 글을 오래 공부해 시문에 능했다. 그의 문집 부휴당대사집이 남아 있는데 5권 가운데 4권이 시로 되어 있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6년 5월 제66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