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우스님─’내가 없다’는 것을 알고 닦는 복이 진짜 복

`내가 없다’는 것을 알고 닦는 복이 진짜 복

고우스님

요즘 기복을 많이 하잖아요.

이 말씀을 들어보면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요.

어리석은 사람이 그렇게 한다는 거예요.

왜 그런가요? 복은 내가 있다고 생각하는 데서 닦습니다.

그러니까 그건 어리석은 사람입니다.

도는 내가 연기 현상이고, 실체가 없고, 무아라고 아는 사람, 이런 사람이 복을 닦으면 그건 괜찮아요.

진짜 복을 닦는 겁니다.

[서장]에서는 이것을 청복, 깨끗한 복이라 해요.

이 복은 남도 살리고 나도 살리고, 나도 이익되고 남도 이익되는 복이기 때문에 그 복은 괜찮습니다.

그래서 부처님은 복혜양족존이라 합니다.

부처님은 복과 혜, 둘 다 갖춘 분입니다.

이건 ‘내가 있다’고 닦는 복은 아닙니다.

‘실체가 없다’라고 알고 닦는 복은 괜찮습니다.

우리가 그 복에 대해서 어떤 마음으로 하고 있느냐에 따라서 진짜 복이 있고 가짜 복이 있는 거예요.

‘내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보시하고 공양하고 복 짓는 그것이 헤아릴 수 없더라도 ‘내가 있다’는 생각으로 하면, 내가 있으니까 삼업도 있다는 말입니다.

신구의의 삼업이 그대로 있어요.

그러니까 실체가 없고, 공이고, 무아라는 걸 알면 삼업도 같이 없어집니다.

없다는 것을 알고 복을 닦으면 그 자체가 업도 녹이고 죄도 멸하는 게 됩니다.

‘내가 있다’고 생각해서 복을 아무리 짓더라도 욕심과 화, 그리고 어리석음은 없어지지 않으니 진정한 복이 못된다는 말입니다.

복 짓는 것으로 죄를 없애고자 하더라도 후세에 아무리 복을 많이 얻더라도 죄가 항상 따라다닙니다.

그래서 그 복은 소용이 없습니다.

무아로 닦는 복이라야 진짜 복입니다.

뒤에 나오지만 양무제가 ‘절 짓고 보시했는데 복이 되느냐?’ 하니까 달마 스님이 ‘공덕도 없고 복도 없다’ 하지요.

양무제는 유아로 복을 닦았기 때문에 복이 없는 거예요.

만약 양무제가 연기 현상이고 실체가 없고 무아라는 걸 안 후에 복을 닦았다면 그건 한량없는 복이 되지요.

우리가 복을 어떻게 닦는냐에 따라서 향방이 갈리는 겁니다.

마음 속에서 죄의 모든 인연을 없앨 줄 알면, 무아로서 죄를 없앤다는 것이죠? 이런 사람은 ‘나다-너다’를 여읜, 실체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에요.

내가 없는데 무슨 죄가 있어요? 이것이 진짜 참회입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