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비유경

어느 날, 한 남자가 넓은 들판을 거닐고 있었다.

그때 갑자기 커다란 코끼리가 달려오기 시작했다.

이에 놀란 사내는 언덕 위에 있는

커다란 나무로 온 힘을 다해 뛰기 시작하였다.

가쁜 숨을 몰아쉬며 간신히 언덕에 오른 사내는

나무 옆으로 깊숙이 파인 우물을 발견했다.

마침 나무 뿌리 하나가 우물 속으로 밧줄처럼 드리워져 있었고, 사내는 코앞까지 다가온 코끼리를 피해 뿌리덩굴을 잡고 황급히 우물 속으로 몸을 숨겼다.

사내는 안도의 숨을 내쉬며 위쪽을 쳐다보았다. 그때

사내의 머리 위로 어디선가 흰 쥐와 검은 쥐가 나타나 사내가 잡고 있는 뿌리 덩굴을 갉아대기 시작했다.

사내는 다급한 마음에 더 아래로 내려가고자 밑을 보았다. 우물 아래에선 네 마리의 커다란 독사가 혀를 날름거리고 있었다. 하물며 더 아래 우물 바닥에선 커다란 독룡이 아가리를 벌리고 독무를 뿜어대고 있는 것이 아닌가.

두려움에 몸서리치며 다시 위를 보니, 코끼리의 포효 소리가 들리고 느닷없이 일어난 언덕의 불길이 나무를 태우고 있었다.

이제는 죽었구나, 생각하고 있던 사내의 눈에, 나무 등걸에 자리한 벌통 하나가 보였다.

그 벌통에선 한 번에 다섯 방울씩의 꿀이 떨어지고 있었다.

절체절명의 순간에도, 사내는 달콤한 꿀 향기의 유혹을 떨칠 수 없었다.

나무가 바람에 흔들릴 때마다 벌들이 달려들어 침을 쏘아댔지만,

사내는 아랑곳 않고 혀를 내밀어 벌꿀의 맛을 보았다.

천하에 이런 맛이 없었다.

마침내 그는 벌꿀에 취해, 꿀벌이 달려드는 것도, 혀를 날름거리는 네 마리의 독사도, 입을 한껏 벌린 채가 우물 바닥에 자리한 독룡도 모두 잊어버렸다.

머리 위에선 자기가 잡고 있는 나무뿌리를 쥐들이 갉아 먹고 있다는 사실도, 밖에선 그 뿌리가 난 나무가 통째로 들불에 타고 있고, 아직도 커다란 코끼리가 날뛰고 있다는 사실도 다 잊어버렸다.

오직, 벌꿀을 받아먹으려 혀를 날름거리기에 혈안이 되어 있을 뿐이었다.

이 이야기에 대해 부처님은 자세히 해설을 해주셨다.

사내가 노닐고 있던 언덕은 무명(無明)을 뜻한다.

즉, 갈 길도 방향도 모르는 채 어둠 속을 해매고 있다는 것이다. 코끼리는 무상, 즉 덧없음을 뜻한다. 이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다. 인간도 결국은 나고 병들고 늙고 죽는다는 것이다. 사내가 몸을 숨긴 우물은 현실의 삶, 생사를 말한다. 사내가 잡고 있는 나무와 뿌리덩굴은 목숨을, 그 목숨을 갉아먹는 흰 쥐와 검은 쥐는 낮과 밤 즉 시간의 흐름을 말한다. 시간이 지나면 누구나 목숨이 다한다는 것이다.

목숨이 다하면 어떻게 될까? 밑에서 혀를 날름거리는 네 마리의 독사는 지(地), 수(水), 화(火), 풍(風)의 사대(四大)로서, 땅, 물, 불, 바람의 4요소는 그 당시 세계관의 네 가지 근본 구성요소이다. 다시 말해, 밧줄이 끊어지면 지수화풍 사대(四大)의 구성요소로 돌아가며, 이로서 독룡으로 비유된 완전한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들에 일어난 불은 늙음과 병듦을 말하는데, 이 불로서 죽음을 재촉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기상황에서도 이 모두를 잊고 사내가 취해있는 다섯 방울의 벌꿀은 오욕(五慾)을 말한다. 오욕이라 함은 인간이 본능적으로 인지하는 다섯 가지의 감각기관인 눈, 코, 귀, 입, 촉감을 즐겁게 하여 일어나는 욕심을 말한다. 인간은 좋은 것을 보고, 좋은 향을 맞고, 좋은 소리를 듣고, 좋은 것을 먹고, 좋은 감촉을 느끼는 것, 이 다섯 가지의 욕심을 채우고자 모든 것을 잊어버린다는 것이다. 혹은 이 다섯 가지를 재물, 애욕, 음식, 명예, 수면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벌들이 와서 쏘는 것은 삿된 생각이 끊임없이 수시로 일어나는 것이다. 인간은 이런 삿된 생각의 따끔거리는 아픔도 견디며 벌꿀에 취해있는 것이다.

– 불설비유경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