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경전 가운데 『본생경(本生經, Jataka)』이라고 하는 경전이 있다. 팔리어와 범어의 어원으로는 자타카(Jataka)라는 말인데, 이 뜻은 부처님의 전생에 있었던 이야기라는 뜻이며, 또 그것을 모아 놓은 경이라 하여 본생경(本生經)이라 한다. 여기에 나오는 이야기들은 불교의 경전에서만 취재된 것이 아니고 고대 인도의 일반적인 설화와 우화 비유 등에서 취재되어 종교적 의미로 승화되어 다양한 상징성을 띠고 설해지는 법문이다.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뒤 부처님의 제자와 신도들은 떠나간 부처님의 덕을 기리고, 그 인격을 사모하여 부처님을 오래오래 기억 속에 간직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게 된다. 예를 들면 부처님의 사리를 나누어 여러 곳에 사리탑을 세우기도 하고, 또는 부처님의 유물인 바루, 의복, 치아, 손톱 등에 이르기까지 부처님의 유품을 안치하는 탑을 세우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부처님이 계셨던 곳에 기념하는 건물을 세우기도 한다. 녹야원이나 기원정사가 세워진 것 등이 그 예이다. 녹야원(鹿野苑)은 최초로 설법을 하신 곳이고 기원정사(祇園精舍)는 부처님이 가장 오래 머무셨던 곳이다. 그리고 이러한 곳을 성지라 해서 순례하는 풍습이 생겨나기에 이른다.
이러한 경향과 함께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수하는 운동이 함께 일어나게 된다. 그리하여 부처님께서 설하신 교법만 전수하는 것이 아니라 부처님의 생애에 대한 여러 가지 사실들과 아울러 부처님의 위대함을 과거 전생까지 소급해 설명하는 전생의 이야기가 만들어지게 된다. 말하자면 한 인물의 전기가 과거의 전생 이야기에서부터 시작하여 역사적인 사실을 미화시키는 배경으로 등장하게 된다는 것이다. 물론 부처님이 생존하여 계셨을 때, 자주 부처님을 뵈옵고 생생한 감동을 받은 사람들이 모은 역사적인 사실의 이야기가 먼저 결집이 되고 난 뒤, 그런 다음에 차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처님을 직접 만난 일이 없는 사람들의 시대에 와서 부처님에 대해 다만 전해지는 이야기를 만들었으므로, 나름대로의 부처님에 대해 생애를 기억하고 이해하는 데 상상력이 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부처님을 초인적으로 설명하는 이야기와 신비적으로 꾸미는 이야기들이 만들어져 부처님을 성인으로 대하는 추앙심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그리하여 부처님은 보통 인간보다는 비범한 큰 힘을 가지고 있는 존재로 믿게 되면서 부처님의 그 비범한 큰 힘은 기적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믿게 된다.
『아함경』을 위시하여 초기경전에서는 여섯 가지의 신통이야기가 자주 나온다. 신통의 힘을 소유하고 있는 탁월한 수행자들의 위력을 묘사하면서 수행의 공덕을 찬탄하기도 한다.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부처님이나 그 제자들이 얼마나 큰 기적과 신통을 발휘했느냐는 역사적 사실의 확인보다는 후세에 와서 부처님을 존경하는 사람들이 부처님은 기적을 행할 수 있고 신통을 부릴 수 있다고 믿었다는 사실이다. 물론 경전 속에 나오는 장면에 보면 부처님과 제자들이 기적을 나타내는 모습이 있다. 그만큼 부처님에 대한 존경과 믿음이 커지면서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후 100년쯤 되자 부처님의 본생에 대한 이야기가 부처님을 설명하는 중요한 의미가 된다. ‘본생(本生)’이란 말은 이 세상에 오기 전의 본래의 생이란 뜻으로, 곧 과거세인 전생을 뜻하는 말이다. 이 본생의 이야기로 역사적 사실의 인간적 모습을 띠고 있던 부처님이 초인적이고 신화적인 인물로 부상되면서 부처님 설법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수준이 더욱 높아져, 불교의 교리가 더욱 심원하게 발전하는 계기가 된다. 동시에 이러한 과정이 후대에 와서 대승경전(大乘經典)을 낳게 하는 역사적인 배경이 된다.
부처님의 행적이 과거 전생에까지 소급되어 비약적으로 상상되고, 이 윤회사상은 부처님의 역사상의 한 생애가 과거 생의 오랜 인행(因行)과 관계지어져 설명된다. 바꾸어 말하면 부처님이 정반왕(淨飯王, Suddhodana)의 아들로 태어나 출가하여 고행한 금생인 한 생의 사실만으로는 성불하기가 힘들었을 것이며, 이미 과거의 무수한 생 동안에 수행을 한 인행시(因行時)의 공덕으로 금생에 성불하였을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그 구체적인 인행시의 수행 모습을 기술하게 되는데, 그것은 일반 민중에게 부처님에 대한 감동과 감명을 더 깊게 주기 위한 방편이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리하여 기술된 것이 바로 ‘자타카(Jataka)’, 즉 『본생경(本生經)』이다.
이 『본생경』은 그때까지 민간에 성행하고 있던 전설과 설화들을 결합하여, 한편으로는 민간신앙과 밀착하게 된다. 민간설화가 각색되어 『자타카』에 유입되고 그것이 다시 경전의 체계를 갖추어 비유와 인연설화로 불법을 설하는 매체어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생경}은 다른 경전과 마찬가지로 부처님이 직접 설한 형식을 취하여 불교 경전의 한 부류를 이루어 초기불교의 사상을 엿보는 중요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이 『자타까[본생경]』은 22편에 547장의 전생이야기로 엮어져 있다. 먼저 서게라는 삼보에 귀의하는 게송이 나오고 그 다음 세 가지 인연이야기가 나온다. 「먼 인연 이야기」와 「멀지 않은 인연 이야기」 그리고 「가까운 인연 이야기」가 나온다. 「먼 인연 이야기」란 아주 오래된 전생 이야기를 말하고 <가까운 인연 이야기>란 가까운 전생 이야기를 뜻한다.
「먼 인연 이야기」에서는 ‘수메다’라는 바라문이야기가 나온다. 흔히 선혜 보살이라고 한역되어 알려지고 있는 부처님의 먼 전생 이야기를 뜻하는 내용이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지금부터 4아승지 10만 겁 전의 옛날에 아마라바이티[不死城]이라는 도시가 있었고 거기에 ‘수메다’라는 바라문이 살고 있었다. 그 어머니도 아버지도 모두 훌륭한 가문의 집안에서 태어나 7대로 내려오면서 도리에 어긋난 일을 한 일이 없이 남으로부터 비난을 받지 않았고 더없이 아름답고 뛰어난 얼굴을 갖추고 있었다. 그리고 그는 다른 일은 돌보지 않고 오직 바라문의 학예만 공부하고 있었다. 그가 어렸을 때 그의 부모는 세상을 떠났다. 그러자 그 집의 재산을 관리하던 집사가 쇠로 만든 장부를 가지고 와서 돈과 금, 은, 진주와 그 밖의 보물을 넣어둔 창고를 열고 “도련님, 이만큼은 도련님의 어머니 재산이고, 이만큼은 아버지의 재산이며, 이만큼은 조부의 재산이고, 이만큼은 증조부의 재산”이라고 설명하면서 7대를 거슬러 올라가 조상의 재산 몫을 이야기 해 주고 “이제 이것을 도련님이 맡아” 달라고 하였다. 이에 현명한 수메다는 ‘이만한 재산을 모아 두고도 우리 아버지나 할아버지 그 밖의 조상님네는 세상을 떠날 때는 한 푼도 가져 가지 못했다. 그러나 나는 이것을 가져 갈 종자를 심어야겠다.’고 생각하여, 그 나라 임금님께 알리고 북을 치면서 온 도시 안을 돌아다니며 많은 사람들을 모아 보시를 행한 뒤에 자신의 집을 떠나 고행의 길에 들어갔다. 이 뜻을 밝히기 위하여 수메다의 이야기를 한다.
이상은 「먼 인연이야기」의 서두에 서술되는 이야기이다. 이것은 부처님의 먼 과거 전생이야기를 수메다를 통하여 하고 있는 것이다. 조상의 재산을 전부 보시하고 출가 고행의 길을 떠났다는 것은 여러 가지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자타카}의 이야기들은 남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고 봉사하는 보살행 실천을 뜻하는 이야기이다. 베풀어 주는 마음, 보시하는 마음에서 선근이 심어지고 이 마음에서 성불의 길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지안스님 강의. 월간반야 2003년 11월 (제3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