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경전 (14)연기설

② 행(行, sa?sk?ra)은 행위, 행업의 뜻으로 무명으로 말미암아 식(識)을 일으키는 움직임을 말한다. 육체적 행위는 신행(身行)이 되고, 말은 구행(口行)이 되고, 생각으로 하는 것은 의행(意行)이 된다. 다시 말하면 무명이 움직이는 상태 발동력을 행(行)이라 한다.

③ 식(識, vijñana)이란 심의식(心意識)의 주체를 말하는 것인데 모든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행위의 주동이 되는 것으로 생각을 일으키는 주체라 할 수 있다. 오식, 육식, 칠식, 팔식의 구분이 있다.

④ 명색(名色, n?mar?pa)은 이름만 있고 형상이 없는 심식(心識)을 名이라 하고 색(色)은 地·水·火·風의 사대(四大)1)로 이루어진 육체를 말하는 것인데 사람이 태어나는 과정에서 말할 때 탁태(托胎)된 이후 신심이 발육하기 시작하는 초기로 아직 오관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⑤ 육입(六入, sa??yatana)은 육처라고도 하는데 눈[眼], 귀[耳], 코[鼻], 혀[舌], 몸[身], 마음[意] 뜻의 여섯 감관을 말한다. 앞의 명색이 여섯 가지의 감관을 통하여 활동하도록 구성된 조직 기관이라 할 수 있다. 식, 명색, 육입은 시간적인 선후의 관계라기보다는 동시적인 것으로 보아야 한다. 식이 발생하기 위한 조건으로 명색과 육입이 동시에 놓여져야 하기 때문이다.

⑥ 촉(觸, spar?a)은 육입이 바깥 경계를 접촉하는 상태를 말한다. 육진(六塵)을 반연하는 것이다.

⑦ 수(受, vedan?)는 감관이 외계를 접촉하므로 그 좋고 나쁘고 즐겁고 불쾌감을 느끼는 감수작용(感受作用)이다. 이 감수에는 고(苦), 낙(樂), 사(捨)가 있다고 한다.

⑧ 애(愛, t????)는 욕애2)·갈애로 목마른 자가 물을 구하듯이 욕구를 가지고 무엇에 애착하는 본능적이고 맹목적인 충동이다. 무명에서 나오는 힘이라 할 수 있다.

⑨ 취(取, up?d?na)는 애(愛)에서 일어나는 집착심으로 ‘나’라는 집착, ‘내것’이라는 집착이 굳어져서 소유하여 자기 것으로 만들려고 하는 강한 의지이다.

⑩ 유(有, dhava)란 존재의 뜻으로 과보의 원인이 되는 업 작용을 유(有)라 말한다. 이 존재의 세계를 욕심세계의 존재, 형상세계의 존재, 무형세계의 존재의 삼유로 구별하기도 한다.3)

⑪ 생(生, j?ti)이란 태어나 생존을 보유하는 것이다. 오온(五蘊, pauca-skandha)4)의 존재와 육근을 수용하는 생활의 상태이다.

⑫ 노사(老死, jar?-mara?a)는 육체의 인연이 다하여 소멸되는 늙어서 죽음이다.

—————————————————————————————————-

1) 사대(四大)의 지(地)는 굳고 단단한 성질로 만물을 실을 수 있는 것을 본질로, 수(水)는 습기의 성질로 모든 물(物)을 포용하는 것을 본질로, 화(火)는 온도를 의미하고 물(物)을 성숙시키는 것을 본질로, 풍(風)은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고 물(物)을 성장시키는 것을 본질로 한다. 이것을 오늘날 질소(N), 수소(H), 탄소(C), 산소(O)로 대치시켜 설명할 수 있다.

2) 욕망은 구체적으로 욕애(欲愛), 유애(有愛), 무유애(無有愛)로 나누어진다. 욕애는 오욕에 대한 욕망으로 감각적인 쾌락을 추구하는 욕망이고, 유애는 오래도록 살고 싶거나 죽은 후에 천상에 태어나서 영원히 살고 싶어하는 존재에 대한 욕망이고, 무유애는 사후에 허무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욕망으로 무존재가 되고자 하는 욕망이다.

3) 여기서 말하는 삼유는 ‘삼계(三界)’를 말한다.

4) 온(蘊)이란 곧 집합·구성 요소를 의미하는데, 오온(五蘊)은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다섯 가지이다. 처음에는 오온이 인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되었으나 더욱 발전하여 현상세계 전체를 의미하는 말로 통용되었다. 오온이 인간의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색’은 물질요소로서의 육체를 가리키며, ‘수’는 감정·감각과 같은 고통·쾌락의 감수(感受)작용, ‘상’은 심상(心像)을 취하는 취상 작용으로서 표상·개념 등의 작용을 의미한다. ‘행’은 수·상·식 이외의 모든 마음의 작용을 총칭하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의지작용·잠재적 형성력을 의미한다. ‘식’은 인식판단의 작용, 또는 인식주관으로서의 주체적인 마음을 가리킨다. 약해서 명색(名色:名은 4온에 해당)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오온은 현상적 존재로서 끊임없이 생멸(生滅)변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주(常住)불변하는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불교의 근본적인 주장으로서의 무상(無常)·고(苦)·공(空)·무아(無我)를 설하는 기초로서 설명되었다. 부파불교의 아비달마(阿毘達磨) 철학에서는 ‘식’은 마음의 주체[心王], ‘수’,’상’,’행’은 마음의 부분적 작용·상태 등의 속성[心所]이라고 하며, ‘행’에는 또한 마음의 작용 이외에 물질·마음을 작용시키는 힘[心不相應行]도 있다. ‘색’의 개념도 원시불교에서의 상식적·구체적 존재에서 물질의 형식·성질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오온설의 철학적 의미는 모든 인간계가 실체가 없는 가화합(假和合)·개공(皆空)으로 이루어진 현상적 존재이기 때문에 집착하지 말아야 할 것을 설명하고 있다. 즉 오온가화합(五蘊假和合), 오온개공(五蘊皆空) 등의 말뜻이 그것이다.

지안스님강의. 월간반야 2003년 10월 (제35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