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에서 벗어난 달과같이

사람 사는 기분이 날씨처럼 변한다고 한다. 맑게 개인 청명한 날이 있는가 하면 구름이 끼거나 비가 오는 날이 있다. 바람이 몹시 불거나 황사가 끼는 날도 더러 있다. 물론 겨울에는 눈이 내리는 날도 있다. 이처럼 오늘은 즐겁다가 내일은 슬프고 또 다른 날은 화가 나거나 짜증이 나는 일이 생겨 하루하루의 생활 감정에 변화가 오면서 살아가는 세월이 엮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 사는 일에는 언제나 애환이 섞인다. 슬픔과 기쁨이 교차하고 신이 날 때도 있고 의기소침하여 매사에 의욕이 떨어질 때도 있다. 하지만 노래에 박자와 리듬이 있는 것처럼 사람 사는 생활에도 자기 페이스를 지키는 리듬과 박자가 있다. 이것을 잘 조절하고 맞춰가는 것이 지혜로운 생활이다.

수행자를 경책하는 말에 ‘바람에 흔들리지 말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순간의 기분에 치우쳐 자기중심을 잃지 말라는 뜻이다. 또 외부의 자극에 초연해지라는 뜻이 기도 하다. 사람의 마음을 흔드는 바깥 경계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8가지가 있다고 한다. 내게 이익이 돌아올 때와 반대로 손해가 돌아올 때가 내 마음이 흔들리는 2가지 경우이다. 또 남이 나를 직접적으로 칭찬을 하거나 비방을 할 때가 2가지가 된다. 우쭐거려지거나 화를 내게 되는 경우로 면전에서 직접 당하는 수가 있고 내가 없는데서 칭찬하고 비방한 것이 제 3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해 올 때도 우리의 마음은 흔들린다. 그리고 괴롭고 즐거운 경우에도 마음은 흔들려 깊은 고민을 하거나 들떠버리는 수가 생긴다. 이를 팔풍(八風)이라 하여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 바위 같은 마음이 되라고 하였다. 감정의 동물인 사람이 어찌 상황에 따른 느낌이나 기분이 없으랴마는 마음의 정중(正中)함을 잃지 말라는 뜻에서 하는 말이다.

꽃바람 물결 속에 일난풍화(日暖風和)의 계절이 되어 한동안 상춘의 인파가 명산대찰을 비롯한 명승지로 몰리고 있더니 어느새 초여름의 기온이 되어 더위가 느껴지기 시작한다. 신록이 번지는 산색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이 아름다운 자연 앞에 내가 살아서 보고 있다는 사실이 그저 감사하게 느껴진다. 확실히 사람이 자연으로 돌아가면 괴로워 할 일이 없고 고민할 것이 없어지는 것처럼 생각된다. 하긴 제나라 경공(景公)은 우산(牛山)에 올라갔다가 지는 해를 보고 울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자연의 심미(深味) 속에 들어가 자연과 하나가 될 때 나는 없어지고 물아가 하나가 된 자연만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일어난다. 다만 경공은 우산에서 바라본 산천의 아름다운 모습을 오래 보지 못하고 언젠가 죽어 이 세상을 떠날 것이 슬퍼 울었다는 것이다.

무문(無門)선사는 사시송(四時頌)을 읊어서 사람들을 달랬다.

“봄에는 온갖 꽃 피고 여름에는 시원한 바람이 분다. 가을에는 달이 좋고 겨울엔 흰 눈이 있다. 부질없는 생각 가슴에 담아 두지 않으면 지금보다 더 좋은 인생은 올 수 없다네 (春有百花秋有月 夏有凉風冬有雪 若無閑事掛心頭 便是人間好時節).”

문제는 사람이 자기 마음을 번뇌에 물들이기를 좋아한다는 것이다. 어느덧 사람의 마음은 중생의 업 속으로 들어와 잘못된 생각의 노예가 되어버린다. 사실 아무렇지도 않는 일에 스로의 마음을 분별하면서 근심 걱정을 일부러 하고 탐 진 치 삼독을 이기지 못하여 불만에 빠져 불평을 하게 되는 것이다.

사람에게는 시절 인연이 있다. 한 해에 사계의 순환이 있는 것처럼 삶에도 굴곡이 교차되는 시간의 내왕이 있다. 해가 뜨면 낮이 오고 해가 지면 밤이 오는 이치가 시절인연이다. 배휴(裵休)가 쓴 청량국사의 비명(碑銘)에 “태양도 밤의 어둠은 없애지 못하고 자모(慈母)도 죽은 자식의 시신을 곁에 두지 못한다 (大明不能破長夜之昏 慈母不能保身後之子)”고 했다.

그래서 부처님은 시절인연을 관찰하라는 말씀을 남겼다. 하루 세끼 때를 맞추어 밥을 먹듯이 시간에 따라 살아가는 일이 온다는 것이다. 밝은 시간이 오고 어두운 시간이 오는 것처럼 좋은 일이 오는 수도 있고 궂은 일이 오는 수도 있다. 궂은 일은 장애를 만나 시련을 겪는 것이다. 이때를 부처님은 달이 구름에 가려 빛을 비추지 못하는 때라 하였다. 동시에 내 마음에 어둠이 깃들어 심지가 밝지를 못하는 때이다. 기분이 우울하거나 나쁜 상태가 되어 구름 낀 하늘처럼 되어 버린다. 화창한 생기가 사라지고 풀이 죽어 회색의 얼굴빛이 되기가 일쑤다. 가장 불행한 순간을 맞이한 사람처럼 염세적 생각이 머리를 채운다. 이리하여 행복을 불행으로 보는 전도된 착각이 마음을 지배해 버리는 것이다.

“구름에서 벗어난 달처럼 살아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살아라.”

모두 부처님 경전에 나오는 말씀들이다.

요산 지안 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8년 5월 제90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