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축유연(莫逐有緣)하고 물주공인(勿住空忍)하라.
(유의 인연을 따르지 말고 공의 인에도 머물지 말라.)
유의 인연이란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는 현상계의 이런 저런 차별상을 말하는 것으로, 가시감각적인 세상의 경계를 말한다. 세간법이라고 부르는 인연에 따라 일어나는 세속의 일에 집착하여 속박당하지 말며, 동시에 모든 것을 부정하여 공하다고 보는 공의 관념에 빠져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공인(空忍)이란 공의 이치를 터득한 지혜라는 뜻인데, 이는 세간법을 부정하는 출세간법(出世間法)을 말하는 것으로 상대적인 양변에 치우쳐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유(有)는 상견(常見)을 이루고, 공(空)은 단견(斷見)을 이룬다.
유무(有無)를 동시에 초월해야 대도에 들어갈 수 있으므로 세간법을 버리고 출세간법을 취해서도 안되며 출세간법 마저도 버려야 하는 것이다. 무상대도 그 자체에는 세간법이니 출세간법이니 혹은 중생이니 부처니 하는 차별이 없다는 것이다.
일종평회(一種平懷)하면 민연자진(泯然自盡)이라.
(한가지로 생각을 평탄히 하면 쓰러져 저절로 다해지리라.)
평회(平懷)란 생각을 쉬어 어느 쪽에도 끌려가지 않는 중도에 머무는 상태다. 양변을 여의어 중도에 안주하면 일체의 변견에 치우친 허망한 경계는 쓰러져 저절로 없어진다는 것이다. 즉 헛된 것이 없어지면 헛되지 않은 것이 드러난다는 망궁진로(妄窮眞露)의 이치를 설파했던 것이다.
<선가귀감(禪家龜鑑)>에서는 “수행의 요긴한 것은 다만 범부의 망정이 다하면 그만이지, 달리 성인의 견해가 있는 것이 아니다(修行之要 但盡凡精 別無聖解)”고 했다.
또한 <원각경(圓覺經)>에서는 “헛된 것인 줄 알면 여의는 것이라 방편을 지을 것이 없으며, 헛됨을 여의면 곧 깨달음이라 수행의 점차가 없다”고 했다.
도가 나타나 중도의 묘용을 발휘하려면 상대적 차별을 여의어 어느 쪽에도 머물지 말아야 한다는 이 뜻은 <신심명> 전문에 걸쳐 시종일관 강조되는 내용이다. 그리고 그렇게만 할 경우 바람이 잠잠해지면 파도가 없어지듯 허망한 분별의 경계가 모두 사라지게 되는 법이다.
요산 지안 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8년 8월 제9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