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행원품 (16) – 보개회향원 2

<경문>

선남자여, 이상 말한 것이 보살마하살의 열 가지 대원을 모자람 없이 갖춘 것이니라. 만약 보살들이 이 대원에 따라 들어가면 곧 능히 일체중생들을 성숙되게 하며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따르게 되며 보현보살의 모든 행원을 이루게 되느니라. 이렇기 때문에 선남자여, 이러한 뜻을 잘 알아야 하느니라.

만약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시방의 한량없고 가없는 말로 다할 수 없는 부처님 국토의 작은 먼지 수만큼의 일체 세계에 가득한 가장 으뜸가는 칠보와 인간과 천상에서 가장 뛰어난 편안하고 즐거운 것들로 그 곳 일체 세계에 있는 중생들에게 보시하며, 그 곳 일체 세계의 불보살께 공양하되, 그 곳 부처님 국토의 작은 먼지 수만큼의 수많은 겁을 지내도록 계속하여 끊어지지 않게 한 공덕과 어떤 사람이 이 대원을 귀에 한번 들은 공덕을 비교한다면 앞의 공덕이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며 천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며, 나아가 가장 적은 분수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느니라. 만약 다시 어떤 사람이 깊은 신심으로 이 대원을 지녀 외우거나 네 구절의 게송 하나만 써 베끼더라도 속히 능히 오무간업을 제거해 없애고, 세상 사람들의 몸과 마음에 생기는 병들과 온갖 고뇌 그리고 작은 먼지 수만큼의 많은 일체 악업을 모두 다 소멸하고 모든 악귀들마저 멀리 떠나가리라.

이렇기 때문에 만약 누군가가 이 대원을 외우는 자는, 세상에 나감에 아무런 장애가 없음이 마치 공중에 달이 구름을 빠져나오는 것 같아 불보살의 칭찬을 받으며, 모든 인간과 천상이 다 예경을 할 것이며 일체중생들이 응당 공양하게 될 것이니라.

<풀이>

여기에서는 열 가지 보현보살의 행원 하나하나를 설명하고, 다시 이 행원을 수지독송할 것을 권하며, 그 공덕을 설해 놓았다. 사람이 사람으로서 위대한 점은 보현의 이러한 행원을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대원을 가진 사람에게 불가능이란 없다. 고도의 정신에서 발휘되는 지극한 원력이 있으면 불가능한 일이 가능한 일로 바뀐다. 사실 누구나 목숨을 버릴 정도의 초인적인 의지를 발휘하면 초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신앙의 영험에 관한 무수한 설화가 있지만 병을 기도로 낳게 하거나, 재난의 액을 불가사의하게 벗어났다는 이야기들은 흔하게 있다. 사람의 마음속에는 좋은 생각이 들어 있어야 한다. 거룩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신봉하는 불자라면 언제나 보현행원을 수지해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사람의 행실은 잘못된 습관에 빠져들기 쉬운 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약점들을 행원을 가짐으로써 사전에 극복할 수 있으며, 과거에 이미 잘못한 행위에 대한 대오반성이 행원을 실천할 때 저절로 따라 일어나게 된다. 불교는 이 세상의 길흉화복을 인과법으로 설명한다. ‘선인선과 악인악과(善因善果惡因惡果)’의 인과법칙이 이 세상을 지배한다. 원인이 좋으면 결과가 좋고 원인이 나쁘면 결과가 나쁘다. 식물이 종자에 따라서 생태가 다른 것처럼 우리가 만나는 인연도 우리들의 업종자에 의해서 만나지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 생활의 기본 원리는 스스로 좋은 원인을 만들고 남에게도 좋은 원인을 제공해 주는 것이다. 화엄경 본문에 ‘중생들은 결과만 두려워하고, 보살들은 원인만 두려워한다ꡓ’ 말이 있다. 중생들은 좋은 결과를 바라면서도 원인을 좋게 만들지 못한다는 뜻이다. 반면에 보살들은 결과에는 신경을 쓰지 않으면서 항상 좋은 원인을 스스로 만들어 간다. 원인이 좋으면 결과는 저절로 좋아지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보현행원의 법문은 사실 보편적인 삶의 철학일 뿐이다. 특별한 것이 아니고 대단한 것이라고 할 수도 없는, 생명 세계의 생명 발전에 대한 기본 원리를 설해 놓은 것이다. 달이 구름을 벗어나듯 보현행원으로 사는 사람은 이 세상에 아무런 장애가 없다고 한다.

고도의 정신력으로 탁월한 의지를 갖춘 사람에게 이 세상의 장애는 끼어들지 않는다. 나약한 사람에게는 장애로 작용되는 것도 원력이 뛰어난 사람에게는 장애가 되지 않는 법이다.『선문어록』에 자주 등장하는 ‘각하조고’(脚下照顧)’라는 말이 있다. ‘발밑을 살피라’는 말이다. 지금 내가 서 있는 자리가 아무 이상이 없는지, 다시 말해 좋은 원인이 심어지고 있는지 잘 살펴보라는 말이다. 우리는 수시로 지금 내가 잘하고 있는지, 바로 하고 있는지를 살펴야 한다. 마치 수험생이 공부를 잘해야 좋은 성적을 얻듯이, 공부는 하지 않고 놀고만 있지 않은지 자신을 돌아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나를 살피는 것이 만사 가운데 가장 우선되는 일이다. 내가 바로 될 때 내가 나일 수 있다. 내가 틀려지면 나는 나가 아니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8월 제57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