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일승법계도(약칭 법계도)는 맨 가운데의 법(法)자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각을 지어 돌아가게 되어 있다. 4면으로 4각을 이루는 모양을 하고 있는데 모두 54각이 있다. 이처럼 화엄일승법계도의 4면 4각은 보살 수행의 중요한 덕목인 4섭법(四攝法)과 4무량심(四無量心)을 상징하는 것이다.
4섭법(四攝法)이란 보살이 중생을 교화할 때 쓰는 네 가지 방법을 말한다. 즉, 보시를 함으로써 사람을 포섭하는 보시섭(布施㒤)과, 남에게 도움을 주어 이익되는 행동을 하는 이행섭(利行攝)과, 부드럽고 상냥한 말로써 대하는 애어섭(愛語攝), 그리고 상대방과 같은 처지가 되어 함께 일하면서 끌어들이는 동사섭(同事攝)이 있다.
4무량심(四無量心)이란 네 가지의 한량없는 큰 마음이라는 뜻으로, 자(慈), 비(悲), 희(喜), 사(捨)를 의미한다. 자비의 자(慈)는 나(吾)로 인하여 남이 즐거워지도록 하는 것으로 곧 기쁨을 주는 것이고, 비(悲)는 남의 슬픔을 덜어 주는 것으로서 고통을 함께 나누는 것이라고 풀이된다. 희(喜)는 시기와 질투를 하지 않고 남이 잘되는 것을 자신의 일처럼 기뻐하는 것이요, 사(捨)는 쓸데없는 고집이나 집착을 버리고 한결같은 마음인 평등한 마음을 쓰는 것이다.
이처럼 4섭법과 4무량심은 화엄경에서 설한 보살도(菩薩道) 실천의 근본정신으로 6바라밀 혹은 10바라밀과 함께 보살행원의 핵심내용을 이루는 것이다.
법계도는 일명 해인도(海印圖)라고도 하는데, 화엄경을 해인삼매(海印三昧) 속에서 설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특히 글자 사이에 그어진 선(線)은 영어의 대쉬(Dash)와 같은 것으로 원래는 붉은 획(劃)이었던 것이데, 글자를 빼고 이것만을 연결하여 해인도라고도 하며, 해인삼매 혹은 화엄사상을 상징하는 마크(Mark)로 쓰여 마치 도장처럼 찍어 쓰는 경우도 있다. 본래 붙여진 이름도 화엄일승법계도장이라 하여 도장이란 말을 붙여 썼는데, 법계도서인(法界圖書印) 이라 고도 불렀다. 그 외에 법성도라고 하는 이름도 있다.
이처럼 여러 가지 이름을 가지고 있는 법계도는, 의상 스님이 지은 반시(般時)라고 하는 7언 30송의 시를 하얀 백지 위에 검은 글자를 배열하고 글자 사이에 붉은획을 그어 글자와 글자가 연결되게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물론 이렇게 한 것에도 의미가 있는데, 이는 바로 화엄경에서 말하는 3종(種)의 세간(世間)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백지는 기세간(器世間), 검은 글자는 중생세간(衆生世間), 붉은 획은 지정각세간(智正覺世間)을 나타낸다.
여기의 기세간이란 중생들이 의지해 사는 산하대지의 환경을 말하며, 지정각세간이란 부처님의 깨달은 세계를 가리키는 말인데, 세간의 세(世)는 시간을 뜻하고, 간(間)이란 공간을 뜻하는 말이다. 즉 현상계란 시간적이고 공간적인 상황 속에서 전개되는 일체 현상을 말하는 것이므로 시간과 공간의 카테고리(Cartegory)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불교의 교리는 이 두 가지를 주축으로 설해지는데, 시간적인 관찰에서 설해지는 것을 연기론(緣起론)이라 하고, 공간적인 관찰에서 설해지는 것을 실상론(實相論)이라고 한다.
요산지안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7년 2월 제7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