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의 일우탑

보은의 일우탑

지금으로부터 약 4백년전. 이 땅에 침입한 왜구들은 많은 절에 불을 지르고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노략질해갔다.

왜구의 불길은 의상대사가 화엄대학교를 열었던 계룡산의 천년고찰 갑사에까지 옮겨져 천여칸의 화엄대찰이 일시에 잿더미로 화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이 평정된 후 뿔뿔이 흩어졌던 스님들은 폐허가 된 절을 찾아 다시 모여들기 시작했다.

『여보게, 학인들이 이렇게 찾아드니 아무래도 중창 불사를 시작해야 할 것 같네.』

『사중 살림도 살림이지만 마을 신도들도 난리에 시달려 모두 생활이 어려운데 불사가 여의할까?』

난을 피해 피난을 가지 않고 절을 지킨 인호, 경순, 성안, 병운 등 네 스님은 갑사를 다시 중창하여 지난 날처럼 많은 학인스님들이 공부할 수 있는 도량을 이루기로 의견을 모으고 모두 시주에 나섰다.

어느 날 해 질 무렵, 동쪽으로 길을 떠난 인호스님은 어디선가 절박스러운 듯 울어대는 소 울음소리를 들었다.

『저 울음소리가 아무래도 예사롭지 않군.』

인호스님은 울음소리가 나는 곳으로 발길을 옮겼다.

가까이 가보니 고삐가 소나무에 칭칭 감긴 어미소가 거의 숨이 넘어갈 지경에 이르렀고 옆에는 송아지 한마리가 어미소의 아픔을 안타까워하는 듯「음메에~」거리며 소나무 주위를 맴돌고 있었다.

스님은 소의 고비를 잘라서 소를 구해 주었다.

「자 이제 시원하지? 마음 놓고 풀을 뜯어먹어라.」

소를 구해준 후 스님은. 다시 길을 재촉했다.

스님들이 전국을 돌아다니며 시주하기 어느덧 7년 인호스님을 비롯 4명 스님은 주린 배를 달래며 비바람 풍랑속에 구한 시주금을 한데 모아 대웅전건립불사를 시작했다.

목수의 손길이 바빠지면서 법당이 제법 그 모양새를 드러내게 되자 스님들은 흐뭇한 눈길을 주고받았다.

그러나 그 기쁨은 일시적이었다.

서까래를 얹어야 하고 아직도 법당이 완성되려면 돈이 더 필요한데 계획한 공사금이 예산보다 훨씬 부족했다.

4명 스님은 걱정이 태산 같았다.

불사를 중단하고 다시 시주에 나선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인호스님은 소 한마리가 절 안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었다.

인부들이 못 들어오게 내몰았으나 소는 막무가내로 들어와 인호스님 앞에 멈췄다.

「스님, 너무 상심치 마십시오. 저는 스님의 은혜를 갚기 위해 이렇게 왔습니다.

법당건립불사를 제가 도와 드릴 것입니다.」

소는 이렇게 말하고는 느릿느릿 절 밖을 나가는 것이었다.

잠을 깬 인호스님은 꿈이 하도 생생해서 다시 꿈속의 소를 되살려 보았다.

「아, 바로 그 소였구나!」

인호스님은 몇년전 시주 길에 구해준 소 생각이 퍼올랐다.

스님이 문밖으로 나서니 이게 어찌된 일인가.

꿈에 본 그 소가 스님을 기다리기나 한 듯 문밖에 서 있는 것이 아닌가.

소는 스님을 쳐다보고는 어디론가 사라졌다.

그러고는 3일 후 서까래를 한 마차 싣고 왔다.

소의 도움으로 대웅전 불사는 순조롭게 진행됐다.

이제 마지막으로 법당 마루만 깔면 불사는 완공을 보게 됐다.

「마루는 단단한 향나무가 좋은데‥‥」

「향나무는 구하기도 어렵거니와 번번이 소한데 신세만 질 수 없으니 이번엔 우리들이 직접 시주에 나서도록 하세.」

옛부터 울릉도 향나무와 백두산 향나무가 유명하여 각기 나누어 떠났다.

백두산에 도착한 스님들은 향나무를 구하긴 했으나 운반할 일이 걱정이었다.

인호스님과 경순스님은 서로 궁리를 하고 있는데 어디선가 미풍이 일더니 그 바람을 타고 오는 듯 갑자기 소가 나타났다.

「걱정마십시오. 제가 운반해 드릴 것입니다. 어서 이 나무를 제등에 얹으세요.」

소는 마치 무쇠로 된 듯 그 무거운 나무를 지고도 끄덕없이 훌쩍 가버렸다.

절에 와보니 소는 어느새 향나무를 절에 실어다 놓고 또 나가는 것이었다.

소는 다시 울릉도에 나타났다.

향나무를 등에 지고 바다를 헤엄쳐 건너갔다.

무쇠같던 소도 여러 차례 걸쳐 바다를 오가며 향나무를 운반하더니 지쳤는지 입가에 횐 거품을 일기 시작했다.

스님들이 먹이를 주었으나 소는 먹지도 않고 여러 차례 쓰러지면서도 쉴새없이 울릉도 향나무를 뭍으로 옮긴 후 계룡산 불사의 현장까지 무사히 운반을 마쳤다.

필요한 향나무가 다 마련되자 목수들은 나무를 켜고 다듬어 법당 마루를 깔았다.

법당 안에는 은은한 향내음이 가득됐다.

그러나 향나무 운반을 마친 후 지쳐 쓰러진 소는 영 일어나질 못했다.

법당 불사가 완공되던 날, 인호스님 등 네 스님은 고맙다는 인사를 하려고 소에게로 갔다.

소는 큰 눈을 껌벅이며 스님들을 번갈아 바라보더니 제 할 일을 다 했다는 듯 스르르 눈을 감은 채 숨을 거두고 말았다.

스님들은 눈물을 흘리며 소의 무덤을 잘 만들어준 후 왕생극락을 빌었다.

「아무래도 그 소는 우리 절과 전생부터 깊은 인연이 있었을 걸세. 그리고 그 소가 아니었다면 우리가 어떻게 법당을 중창할 수 있었겠나. 후세에까지 소의 거룩한 뜻을 기리기 위해 탑을 세우세.」

스님들은 절 입구에 소의 공을 칭송하는 3층탑을 세우고『공우탑』이라 명했다.

지금도 갑사를 오르다 보면 중장리에 석탑이 하나 서 있으니 이 탑이 바로 공우탑이다.

<한국불교전설99>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